후속사업 결과
정상회담 합의내용의 이행 및 성과극대화를 위해 수출유관기관이 지원하는 관련사업입니다.
공지사항 목록 번호, 사절단명,
파견기간, 진행단계 항목별 순서대로 안내하는 표입니다.
한-베트남 경제협력 설명회 · B2B 상담회 |
주최기관 |
|
주관기관 |
KOTRA |
관련국가 |
|
분야 |
농림축산식품,무역·투자,정보통신,보건·의료 |
사업기간 |
2025-09-08
~2025-09-09 |
장소 |
베트남 하노이 |
담당자 |
차장 노현주(KOTRA / 경제협력지원팀)
과장 지혜(KOTRA / 하노이무역관)
|
|
베트남 당서기장 방한 후속 경협사절단 성과 이어져
❖ KOTRA, 하노이에서 경협 설명회 · 상담회 · 맞춤형 컨설팅 진행
❖ 베트남은 수출 · 교역 3위 글로벌 사우스 핵심국, 무역투자 증가 계속돼
❖ 한-베 164개사 참가, B2B 상담 등 통해 계약 · MOU 18건 등 창출
|
8월 또 럼(Tô Lâm)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 방한에 이어 진행된 경협사절단이 한-베 경협 이행 성과를 가속화시켰다. KOTRA(사장 강경성)는 9월 8일부터 9일까지 하노이에서 ‘한-베트남 경제협력 설명회․B2B 상담회’을 개최하고, 수출상담 220건, 계약·MOU 18건 성과를 거뒀다고 전했다. 이번 경협사절단에는 ICT, 보안, 의료, 농식품, 뷰티 분야 36개사가 참가, 베트남 현지 바이어, 유통망 128개사와 분야별 B2B 상담을 진행했다.

베트남 뷰티 전문 유통체인 B사는 “한국 화장품이 베트남 소비자 피부와 잘 맞고 품질 신뢰도가 높다”며 “혁신적 제조법과 세련된 홍보로 인기를 더하고 있다”고 밝혔다. 종합 소비재 유통 T사는 “베트남 소비자들은 성분 안전성 등의 정확한 표기를 중시하는데 한국 제품은 이런 면에서 앞서 있다”고 전했다.
실제 수출계약 및 협력 양해각서(MOU) 체결도 이어졌다. 일례로 건강음료 제조 B사, 조미김 수출 C사는 각각 5만 달러 규모의 수출계약을 체결했다. 또한 AI 농업 솔루션 제공 S사, 산업용 주방기기 제조 P사는 바이어와 2만 달러 규모의 협력 MOU를 체결했다.

본격 B2B 상담회에 앞서 사절단 및 현지 진출기업을 대상으로 ‘베트남 시장 설명회’와 ‘맞춤형 컨설팅 상담’도 진행됐다. 설명회 참가기업들은 인허가, 수출통관 절차, FTA 활용법, 현지 비즈니스 유의사항 등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베트남은 이미 우리의 3대 교역국이자 수출시장으로, 2024년에도 한베 교역액은 전년 대비 9.2% 증가한 868억 달러를 기록했다. 또한 한국기업 1만여 개사가 베트남에 투자 진출해 있으며, ’24년 대(對)베트남 투자도 무려 38% 증가해 글로벌 사우스 핵심 파트너 대상국으로 주목받고 있다. 올해는 한-베트남 FTA(자유무역협정) 체결 10주년이며 또 럼 서기장 방한으로 양국 간 경협이 더 활기를 띌 것이란 기대다.

이지형 KOTRA 부사장 겸 경제통상협력본부장은 “이번 사절단 사업은 베트남 당서기장 방한 후 경협 논의 이행 가속화를 위한 후속 조치”라며, “베트남은 이미 글로벌 사우스 핵심 국가면서 여전히 높은 성장성을 보이는 주요 경협 파트너 국가”라고 강조했다. 이어 “양국 간 경협이 실질적 비즈니스 파트너링 성과 확대로 이행되는데 KOTRA도 민관과 협력해 최선의 지원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공지사항 목록 번호, 사절단명,
파견기간, 진행단계 항목별 순서대로 안내하는 표입니다.
이전 글 |
베트남 동남신도시 사업설명회
|
다음 글 |
다음글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