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제목

2024 중동 미래 파트너십 사절단

주최기관 주관기관 산업통상자원부 KOTRA
관련국가 아랍에미리트, 중동 분야 과학기술,무역·투자,정보통신,자원·에너지
사업기간 2024-03-06 ~2024-03-07 장소 UAE 두바이
담당자
사무관 이한솔(산업통상자원부 / 무역진흥과)  


10대 유망시장 무역사절단 첫 개시

수출테크기업과 중동 미래산업시장 선점


❖ 수출테크기업 22개사 선정··· 중동 핵심 프로젝트 발주처·투자그룹과 수출 상담회 열려

❖ 정상외교, 한-GCC FTA, 한-UAE CEPA 타결을 실제 수출성과 창출로 연결


정부가 역대 최대 7,000억 불 수출 달성을 목표로 전략적 시장 개척을 위해 10대 유망시장 무역사절단을 개시한다. 


10대 유망시장 무역사절단은 기존의 지역 무역사절단(지자체 주도), 경제사절단(민간 주도)과 달리 중앙 정부가 전략적 방향성을 토대로 4대 메가트렌드(공급망 재편, 탄소중립, 디지털, 인구구조 변화) 중심의 유망시장과 품목을 선정하고, 정상외교 등 경제협력·현지 대형 전시회 등과 연계하여 우리 기업의 수출 계약 체결을 지원하는 신규 프로그램이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는 그 첫 시작으로 3.6~7일 양일간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에 「2024 중동 미래 파트너십 사절단」을 파견한다. 글로벌 사우스벨트 구축의 핵심 지역인 중동은 최근 산업 대전환 추진에 따라 석유화학, 신재생, 도로교통 등 다양한 부문의 기반 시설(인프라) 투자가 진행 중인 유망 시장이며, 향후 아프리카 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적 요충지로 손꼽힌다. 


’23년 기준 우리나라 전체 수출액 중 중동이 차지하는 비중은 아직 약 3% 가량에 불과하나, 지난해 어려운 여건에도 불구하고 수출이 빠르게 증가(전년 대비 7.3%)*하며 우리 기업의 유망 수출시장으로 자리잡고 있다. 


특히, 작년 정상순방과 한-UAE CEPA(10월), 한-GCC FTA(12월) 연속 타결 등으로 신(新)중동붐이 가시화되며 중동으로의 진출을 희망하는 우리 기업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 ’23년 수출 증가율(전년대비, %) : 전체 △7.4, 중동 +7.3(UAE +11.9, 사우디 +9.4 등)


이번 사절단에는 미래 유망산업의 핵심 기술력을 보유한 수출테크기업들이 대거 참여하여 중동의 미래기술협력 수요를 집중 공략한다. 우리 측에서는 교통통제시스템, 그린수소, 로봇, 사물인터넷(IoT), 디지털솔루션 등 유망 협력분야의 테크기업 22개사가, 중동에서는 두바이 교통국·수전력청 등 주요 기반 시설(인프라) 프로젝트 발주처와 Kanoo Group 등 대표 투자그룹 등이 참석하여 이틀간 밀도있는 수출, 투자유치 상담을 진행할 계획이다. 


최근 중동 주요국들은 사우디(네옴시티), UAE(아즈반 태양광 발전), 쿠웨이트(압둘라 스마트시티) 등의 초대형 인프라 프로젝트 계획을 발표하며, 이를 위한 사물인터넷(IoT), 청정에너지등 미래기술협력에 집중하고 있다. 금번 사절단을 계기로 탄탄한 제조업과 연구 개발역량을 가진 우리 기업과, 중동·아프리카 지역의 중개 허브 역할을 하는 중동 기업인들이 만나 새로운 시너지가 창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안덕근 장관은 “2월 들어 우리 수출은 설 연휴에도 불구하고 5개월 연속플러스를 기록하고, 대중국 무역수지도 흑자 전환에 성공하는 등 수출 7,000억 불 달성을 위한 청신호를 보이고 있다”며, “이번 중동 무역사절단은 지난 정상외교, 한-UAE CEPA, 한-GCC FTA 등 경제협력 성과를 실제 수출성과로 연결하는 촉매제가 되어 최근의 수출 상승 모멘텀을 공고히 하는 데에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정부는 앞으로 중동을 시작으로 10개 유망시장에 순차적으로 무역사절단을 파견하여 새로운 시장 트렌드에 따른 수출 기회를 선제적으로 발굴,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10대 유망권역 무역사절단 1차 파견 계획


1. 10대 유망권역 무역사절단 개요


□ (개요) 4대 메가트렌드*를 중심으로 10개 수출 유망시장을 선정하고, 대형 전시회 등 계기 우리 기업을 파견하여 수출 계약체결 지원


* 공급망 재편, 탄소중립, 디지털, 인구구조 변화


□ (특징) 정부가 전략적 방향성을 갖고 유망시장 · 품목을 선정(Top-Down)한다는 점에서 지자체가 지역 기업수요를 토대로 파견시장을 선정(Bottom-up)하는 기존 사절단과 차별화


① 유망권역 무역사절단

사업 기획: 중앙정부

주요 참석자: 유망품목별 주요기업, 유관 수출지원기관, 정부 담당자

참가 규모: 중규모(20여개사)

주요 목표: 신규 트렌드에 따른 전략시장별 수출기회 발굴


② 지자체 무역사절단

사업 기획: 지방자치단체

주요 참석자: 지역별 주요 기업, 유관 수출지원기관, 지자체 담당자

참가 규모: 소규모(10~20여개사)

주요 목표: 지역별 유망산업 수출 지원


③ 경제사절단

사업 기획: 민간주도

주요 참석자: 대·중견기업 대표, 한경협, 대한상의, 무역협회 등

참가 규모: 대규모(100개사 내외)

주요 목표: 경제순방과 연계한 비즈니스 지원


□ (주요행사) 개막행사, 비즈니스 상담회, 파트너사 공장 시찰등


2. 세부계획(안)


□ (일시·장소) ’24. 3.6.(수)~7.(목), UAE(두바이) 


□ (규모) 국내 테크기업* 22개사, 해외 바이어 60개사 

* 한-GCC FTA 경제협력 6개 유망분야(첨단산업, 에너지·자원, 스마트팜, 보건산업, 바이오경제, 시청각서비스) 


□ (성과목표) 수출 성약액 500만불, 신규 수출 프로젝트 10건 발굴

3월 6일 (수)

09:00~09:30   [개막식] 개막행사 및 계약·MOU 서명식 (호텔 반얀트리)

10:00~17:00   [상담회] 비즈니스 상담회 (호텔 반얀트리)

17:00~19:00   네트워킹 만찬 (호텔 반얀트리)

3월 7일 (목)

10:00~17:00    [방문시찰] 주요 파트너사 공장 시찰 (주요 산단)

17:00~19:00   주요 수출기업 간담회



중동 시장의 중요성 및 주요 동향


1. 중요성 및 전망


□ (중요성) 네옴시티(사우디), 아즈반 태양광 발전(UAE) 등 대형 인프라 · 플랜트 프로젝트 수주의 요충지이며, 산업 대전환에 따른 신규 투자활발


ㅇ 전체인구의 70% 가량이 40세 미만으로(’22년) 소비 잠재력도 풍부


한국-중동지역 주요국* 교역·투자 규모 (단위: 억불)


한국-중동지역 주요국* 교역·투자 규모

구 분

'19

'20

'21

'22

'23

교역량

897

594

808

1,270

1,126


수 출

177

147

156

175

188

수 입

720

447

652

1,095

938

* 레바논, 바레인, 사우디, 시리아, UAE, 예멘, 오만, 요르단, 이라크, 이란, 이스라엘, 카타르, 쿠웨이트, 팔레스타인, 리비아, 모로코, 이집트 등 21개국 기준(K-STAT) 


□ (’24년 시장전망) 프로젝트, 소비 활성화로 수출호조세 지속예상


ㅇ 신산업 육성에 따른 기가 프로젝트 발주에 따라 첨단기술협력과 함께 기계·철강 등 우리 주력 품목에서의 수출 기회 확대 전망


ㅇ 한국산 이미지 제고, 한·GCC FTA 타결 등 계기로 호조세 지속기대


2. 기회·위기요인


□ (기회요인) ➀ 정상외교, 한-UAE CEPA, 한-GCC FTA 타결 등에 따른 한국과의 파트너십 확대기조, ➁ 적극적 新산업 육성의지


➊ 한·UAE CEPA 체결(’23.10월) 및 한·GCC FTA 체결(’23.12월)로 주력수출품 가격경쟁력 확보 → 핵심부품에 대한 수요 확대 전망


➋ 미래 유망분야* 중심으로 첨단기술 기반 기술협력 수요 다수

* (한-GCC FTA) 첨단산업, 에너지・자원, 스마트팜, 보건산업, 바이오경제, 시청각서비스


□ (위기요인) ➀ 지정학적 리스크 고조, ➁ 제조업 현지화 움직임 강화


➊ 이스라엘-하마스 사태 장기화, 이란·예멘 등과 서방국가와의 갈등, 홍해를 둘러싼 물류 리스크 증가 등 

➋ 자국 제조업 육성에 따른 보호무역 기조 확산 우려



무역사절단 참가기업 명단


첨단산업 

에이트테크 (환경분야 인공지능 로봇) , 비스타컴 (무선통신, IoT, AI, AR 솔루션)

엔젤스윙 (드론 가상화 기반 디지털 트윈기술), 센테크이엔지 (정밀 계측기기(온도, 습도, 압력))

노이드 (범용 AI 플랫폼), 앙트러리얼리티 (디지털트윈 AI 솔루션, 생성형 AI 휴먼 챗봇)

티웨이브 (옥외용 무선랜AP/브리지, PoE 네트워크스위치), 플랜엠 (동형 학교 모듈러 시스템)

산중공업 (건설 특수장비(크레인, 유압드릴, 트럭크레인 등))


에너지 · 자원

에이버추얼 (공기·수질정화 및 에너지효율 나노반도체 기술), 오즈세파 (유수분리 나노필터)

비에이치아이 (수전해 기술, 해양그린수소 생산 플랫폼)


스마트팜 

어밸브 (AI 스마트팜 솔루션, 스마트팜 통합 플랫폼), K-BTS (딸기 수직농장 및 K-딸기 까페)


보건산업 

에이엠메딕스 (바이오소재), 메디픽셀 (메디컬 솔루션)

비보존제약 (통증 및 중추신경계 질환 의약품), 시너젠 (에너지 절감용 및 신재생에너지 연계 솔루션)

엑스바디 (근골격, 발 사이즈 측정기기)


바이오경제 

라다하임 (오가노이드 대량생산 및 표준화 플랫폼 개발)


시청각 서비스 

파울러스 (3D 영상 제작 기술), 빅토리아프로덕션 (AR/VR/MR/메타버스 교육용 교재, 컨텐츠 개발)



관련자료
댓글 운영정책
  • 댓글입력
댓글목록 0개
  • 댓글이 없습니다.
국별수출입, 통계조회 수출입무역통계 관세율조회 세계HS정보시스템 해외직접투자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