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비즈니스를 위한 | 경제외교활용포털

서비스 이용을 위해
로그인 해주세요.

해외시장정보

협력대상국 시장정보

정상외교에 따른 현지 동향 및 투자환경 분석 자료를 제공합니다.
우리 중소기업의 해외진출에 도움이 될만한 최신 해외시장 동향 관련 정보를 모았습니다. 국별·분야별 검색으로 원하는 자료를 쉽게 찾아 볼 수 있습니다.

협력대상국 시장정보 제목, 관련국가,발간기관, 발간일, 분야, 본문내용 항목별 순서대로 안내하는 표입니다.
초고령사회 일본의 에이지테크(Age-tech)
관련국가 일본 발간기관 KOTRA 발간일 2025-09-30
분야 기타 PDF 다운로드 PDF 보러가기


  • 표지




    작성자   KOTRA 후쿠오카무역관 김성영, 황신혜


    목   차


    I. 서론 

    1. 일본 고령화 심화와 돌봄인력 부족 

    2. 일본의 고령사회 대책 


    II. 본론 

    1. 일본의 에이지테크 

    2. 3대 핵심분야 및 분야별 사례분석 

    - 고령자 자립생활기술(AIP Tech) 

    - 고령자 돌봄 기술 (Care Tech) 

    - 사람 중심의 고령자 기술 수용 서비스 (Senior Technology Adoption Service) 


    III. 시사점: 진출전략


    요 약


    □ 조사 배경 및 목적


    ㅇ 일본은 고령화 사회의 심화와 돌봄 인력 부족 문제에 직면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과 기술적 접근이 필요해지고 있음. 특히, 고령자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돌봄 인력의 부담을 덜어 주기 위한 방안으로 ‘에이지테크(Age-Tech)’가 도입되고 있음


    ㅇ 동 보고서에서는 일본의 고령화 현황, 돌봄 인력 부족 문제, 그리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에이지테크 기술 및 사례를 분석하며, 이를 바탕으로 한국 고령화 사회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


    □ 요약


    ㅇ 일본은 2025년까지 고령화율이 29.3%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돌봄·간병 인력의 수요는 급증할 것으로 전망됨. 일본은 고령화 사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돌봄 정책과 함께 로봇·ICT 기술을 활용한 ‘에이지테크’를 주요 대책으로 제시하고 있음


    ㅇ 에이지테크의 3대 핵심 분야인 고령자 자립생활기술, 고령자 돌봄 기술, 사람 중심의 고령자 기술 수용 서비스 분야로 나누어 돌봄 인력 부족 문제 해결 및 고령자 삶의 질 개선에 도움이 되는 일본의 기술 사례들을 살펴봄


    □ 시사점


    ㅇ 한국 역시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만큼, 일본의 에이지테크 민관 협력 및 기술 도입 사례를 참고해 실효성 있는 고령자 돌봄 기술을 개발을 촉진하고, 이를 통해 돌봄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할 뿐 아니라 신산업 발전의 기회를 마련할 필요가 있음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