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비즈니스를 위한 | 경제외교활용포털

서비스 이용을 위해
로그인 해주세요.

해외시장정보

협력대상국 시장정보

정상외교에 따른 현지 동향 및 투자환경 분석 자료를 제공합니다.
우리 중소기업의 해외진출에 도움이 될만한 최신 해외시장 동향 관련 정보를 모았습니다. 국별·분야별 검색으로 원하는 자료를 쉽게 찾아 볼 수 있습니다.

협력대상국 시장정보 제목, 관련국가,발간기관, 발간일, 분야, 본문내용 항목별 순서대로 안내하는 표입니다.
일본 수소 산업 정책 동향과 시사점
관련국가 일본 발간기관 KOTRA 발간일 2025-09-25
분야 자원·에너지 PDF 다운로드 PDF 보러가기


  • 표지




    작성자   KOTRA 나고야무역관 백현수


    목   차


    제1장  일본의 수소 산업 정책 

    제2장  일본 수소 산업 생태계 현황 조사 

    제3장  일본 수소 산업의 현주소 평가 

    제4장  주요국 수소 정책 비교 제5장 시사점


    요 약


    □ 일본의 수소 산업 정책 및 규제 동향


     일본 정부는 50년간의 수소 정책 추진 경험을 바탕으로 2024년 「수소사회추진법(약칭)」을 제정하여, 저탄소수소 공급·이용 촉진을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


    - ’23년 수소기본전략 업데이트를 통해 기존 기술 확립 중심에서 상용화 촉진을 위한 산업전략을 구상 및 보완하여 정책 방향성 전환

    - 2050년까지 민관합동 15조엔 투자를 통해 수소 도입량 2,000만톤, 가격 20엔/Nm³ 달성 목표


     수소 생태계 전반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가격차 보전(CfD) 제도, 거점정비 보조금 등 핵심 지원제도를 도입(24년)


    - 수소·암모니아 공급 비용과 화석연료 간 가격차를 정부가 보전하는 CfD 방식 보조금(예산규모 3조엔), 공급망 거점 구축을 위한 인프라 건설비 지원(57억엔) 등

    - 민간 기업의 대규모 투자·운영 리스크 분담을 위한 15조엔 규모 민관펀드 운영

    - Green Innovation Fund를 통한 향후 10년간 2조엔 규모 R&D 투자 예정


    □ 수소 산업 생태계 현황 및 기술력


     일본 수소 관련 시장은 2040년 90조 7,080억엔(2021년 대비 3.5배)으로 급성장이 예상되며, 연료전지차(FCV) 및 수소발전 분야가 성장을 견인


    - 수소 생산시장: ('24) 1,570억엔 → ('33) 2,070억엔 (연평균 4.1% 성장)

    - 수소 이용시장: ('25) 1,123억엔 → ('50) 33,350억엔으로 급속 확대 전망


     글로벌 선도 기술력 보유로 수소 밸류체인 전 영역에서 경쟁 우위 확보


    - 가와사키 중공업의 세계 최초 액화수소운반선 기술, 미쓰비시 중공업의 수소 100% 전소 가스터빈, 도시바의 고체산화물형 수전해장치 등 핵심 기술 확보

    - 저장·운송, 연료전지, 수소터빈 분야에서 세계적 선도 지위 유지


     대기업 중심 생태계 형성으로 종합상사와 중공업·에너지 기업이 공급망 전 과정 주도


    - 수소차·연료전지·충전 인프라 등 분야에서 실증 프로젝트 추진(도요타, 파나소닉 등)

    - 미쓰비시상사, 이토추상사 등이 해외(호주, 중동, 남미) 청정수소 조달 프로젝트 다수 참여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