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차
제1장 한-GCC FTA 개요
제1절 추진 경과
제2절 주요 내용
제2장 중동시장 개요 및 전략적 가치
제1절 GCC 참여국 개요
제2절 한-GCC 교역 동향
제3절 GCC 시장특성 및 전략적 가치
제3장 한-GCC FTA 타결에 따른 국별 수출 유망품목
제1절 사우디아라비아
제2절 쿠웨이트
제3절 아랍에미리트
제4절 카타르
제5절 오만
제6절 바레인
제4장 한-GCC FTA 타결에 따른 국별 협력기회
제1절 사우디아라비아
제2절 쿠웨이트
제3절 아랍에미리트
제4절 카타르
제5절 오만
제6절 바레인
제5장 기업 유의사항 및 시사점
요 약
제1장 한-GCC FTA 개요
1. 추진경과
ㅇ 한-GCC FTA는 ‘08년 1차 협상을 시작으로 ’09년 3차 협상까지 진행했으나, 정책재검토 등의 이유로 중단
ㅇ 이후 약 10년 뒤인 ’20년 GCC 장관회의에서 FTA 재추진 검토, 이후 ’23년 한국과 GCC 주요국과의 정상회담을 계기로 협상을 빠르게 추진하였고, ’23.12.28일에 타결
ㅇ ’24년 내에 정식 서명을 목표로 국내절차 추진 중
2. 주요내용
(상품) 상품 분야에서 양측 모두 품목수 기준 20년 내 관세 철폐 및 감축 80% 이상을 확보
ㅇ 품목수 기준 우리측은 89.9% 개방, GCC측은 80.5% 개방
ㅇ 우리측 주요 양허품목은 천연가스, 알루미늄 등과 대추야자, 홍차 등 농축수산물
ㅇ GCC측 주요 양허품목으로는 자동차, 자동차부품, 무기류, 기계류, 화학제품 및 화장품 등
(서비스)
ㅇ 영화비디오 배급서비스 개방을 통한 K-컨텐츠 확산 기반 마련
ㅇ 의료기관 현지 개원 허용, 현지 법률자문 로펌 설립 시 지분제한 조항 삭제 등으로 해당 분야의 우리 기업의 중동 진출 활성화 기여
제2장 중동시장 개요 및 전략적 가치
1. 한-GCC 교역 동향
(무역)
ㅇ ’23년의 한-GCC 교역액은 공통적으로 감소하였는데, 이는 對GCC 국가의 주요 수입품목인 원유의 가격 하락에 따른 수입액 감소에서 기인한 것으로 분석 가능
ㅇ 한편, ‘23년 한국의 對GCC 수출액은 ‘22년 대비 플러스 증가율을 보이고 있으며 주요 수출품목은 자동차, 건설중장비, 석유화학제품, 고무 타이어, 화장품 등
(투자)
ㅇ 한국의 對GCC 투자는 국별 국가개발계획에 따른 투자환경 개선 및 프로젝트 추진으로 투자 증가 기대
2. GCC 시장특성 및 전략적 가치
(시장특성) 막대한 국부펀드를 활용한 제조업 중심 미래 먹거리 투자 확대
ㅇ GCC 국부펀드 규모는 총 5.7조 달러로 전 세계 국부펀드 규모의 14%를 차지하며 이를 활용한 혁신산업분야 투자 확대와 외국인 투자유치를 위한 인센티브 확대 및 투자 여건 개선 추진
ㅇ 포스트 오일 시대 대비를 위한 제조업 중심의 미래산업 육성과 서비스 산업 확장 및 디지털 전환(AI, 핀테크 등)과 에너지 전환을 위한 인프라 관련 프로젝트 추진
(전략적 가치) 포스트 오일 시대 대비 혁신기술 기반 포괄적 동반자 관계 구축
ㅇ ’23년 UAE·사우디·카타르 순방을 통해 포괄적 전략동반자 관계 격상에 따른 산업 및 에너지 분야 등 경제협력 체계 구축
ㅇ AI · 제약 · 바이오 · 스마트팜 · 방산 · 스마트제조 등 미래혁신산업 분야 공동 생산, 핵심기자재 및 부품 공급망 구축 협력 강화
ㅇ 스마트시티, 스마트 인프라 등 다양한 분야의 메가 프로젝트 발주 증가에 따른 공동 사업 참여 기회 및 기술 협업 확대
제 3장 한-GCC FTA타결에 따른 국별 수출 유망품목
( 중 략 )
제 4장 한-GCC FTA타결에 따른 국별 협력기회
( 중 략 )
제5장 기업 유의사항 및 시사점
ㅇ 사우디아라비아 - 對사우디 수출품목 다변화 전망, 이슬람 율법에 반하는 품목에 대한 주의 필요
ㅇ 쿠웨이트 - 통관인증제도 등 수출 제반 행정절차 모니터링 필요
ㅇ 아랍에미리트 - 테스트베드 시장으로 활용 필요, 현지시장 특성 이해를 바탕으로 전략 수립
ㅇ 오만 - 자국민 의무고용 준수화 프로젝트 수주 시 현지화 비율 주의
ㅇ 카타르 - 종교적 관습이나 관행에 위배되는 제품 및 서비스는 상시 제재 가능하므로 주의
ㅇ 바레인 - WTO 정부조달협정(GPA) 수준으로 비차별 투명성 원칙 합의 및 상호시장 개방함에 따라 조달 프로젝트 참여기회 확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