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자료명

인도네시아 유망품목군 수출 확대 전략

관련국가 인도네시아 분야 무역·투자
발간기관 KOTRA 발간일 2023-09-22



표지



목 차


제1장 인도네시아 경제 분석

제1절 거시경제 동향

제2절 대외교역 및 투자 동향


제2장 유망품목 분석

제1절 유망품목 도출

제2절 50대 유망품목


제3장 유망품목군별 수출 확대 전략

제1절 유망품목군 분류

제2절 수출 확대 전략


제4장 결론 및 시사점


요 약


□ 글로벌 경제국으로 도약하는 인도네시아


[ P정치 ]

‘Making Indonesia 4.0’ 정책과 지정학적 이점 적극 활용

 ⬝ 7대 제조업(자동차, 전자 등) 집중 육성과 세계 10대 산업국 진입 목표

 ⬝ 니켈, 보크사이트 등 주요 광석 수출금지 정책으로 외국인 투자 유도

 ⬝ G20, ASEAN 정상회의 등 국제회의 주도를 통한 국제사회 입지 강화


[ E 경제 ] 

 글로벌 경기침체에도 불구, 아세안 최대 경제국의 규모 확대 지속

 ⬝ 아세안 1위, 세계 16위 수준 경제 규모 보유국

 ⬝ 경제성장률 5%대 전망, 세계 평균(2.8%) 대비 높은 수준 유지

 ⬝ 제조업 GDP 비중 가장 크며 최근 물류운송업, IT산업 성장 강세


[ S 사회 ]

 세계 4위 인구(2.76억 명) 기반의 글로벌 테스트베드 잠재력 보유

 ⬝ 2억 명 이상의 노동 가능 인구와 높은 경제활동 참가율

 ⬝ 국민소득 연평균 6.4% 성장 기록하며 구매력 지속 상승

 ⬝ 단일국 최다 이슬람 인구로 할랄 시장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최적


[ T 기술 ]

고부가가치 산업 발전 도모와 디지털 라이프의 내재화

 ⬝ 내연기관차 및 전기차 허브로의 도약을 위한 집중 육성 계획

 ⬝ 교통, 무역, 금융, 교육, 농업 등 10대 우선 분야 국가 디지털 정책

 ⬝ 세계 1위 수준의 모바일 사용시간과 디지털 친화력


[ E 환경 ]

지속가능성과 친환경 중심의 국가 대전환기 돌입

 ⬝ 인구 과밀, 지반 침수 등 문제 해결을 위한 수도 이전 국가 프로젝트

 ⬝ ‘미래 스마트 열대우림 도시’ 누산타라 신수도, 2045년 탄소중립 목표

 ⬝ 석탄화력발전 건설 금지로 탈탄소화 및 친환경 전환 본격화


[ L 률 ]

시대변화 반영 구조개혁, 필수 인증 등 현지 법령·인허가 재정립

 ⬝ 투자유치와 일자리 창출 구조개혁 정책의 핵심인 옴니버스법

 ⬝ 49개 시행령으로 외국인 투자 우대 분야, 고용환경, 인허가 등 정립

 ⬝ 2024년부터 생활용품, 식품, 의약품에 대한 할랄 인증 의무화


□ 한국의 對인도네시아 수출 확대를 위한 새로운 접근 방식 필요


◦ 인도네시아의 주 수입 대상국은 중국, 싱가포르, 일본이나 그 비중이점진적으로 줄고 있으며, 최근 對말레이시아 수입 급증이 특이점

* ’18∼’22년 인니의 對중·싱·일 수입 의존도(%) : 45.0 → 45.6 → 44.3 → 44.0 → 43.9

** 말레이시아는 급성장세(3개년 CAGR, 17.3%)로 ’22년 인도네시아 수입 대상국 4위에 등극


◦ 20년간 한국은 인도네시아의 수입 대상국 상위권(4~9위)에만 위치, 쟁 우위 선점 전략과 수출 확대로 최상위권(3위권 내) 도약 필요

* 한국 순위: (’03~’10) 6~9위 → (’11) 4위 → (’12~’13) 5위 → (’14) 4위 → (’15~’22) 5~7위



문서첨부
댓글 운영정책
  • 댓글입력
댓글목록 0개
  •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