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비즈니스를 위한 | 경제외교활용포털

서비스 이용을 위해
로그인 해주세요.

해외시장정보

협력대상국 시장정보

정상외교에 따른 현지 동향 및 투자환경 분석 자료를 제공합니다.
우리 중소기업의 해외진출에 도움이 될만한 최신 해외시장 동향 관련 정보를 모았습니다. 국별·분야별 검색으로 원하는 자료를 쉽게 찾아 볼 수 있습니다.

협력대상국 시장정보 제목, 관련국가,발간기관, 발간일, 분야, 본문내용 항목별 순서대로 안내하는 표입니다.
코로나19 이후 신북방지역 소비시장 변화
관련국가 러시아, 우즈베키스탄, 우크라이나, 카자흐스탄 발간기관 KOTRA 발간일 2021-03-30
분야 무역·투자 PDF 다운로드 PDF 보러가기

  •  



    코로나19 이후 신북방지역 소비시장 변화 표지




    목 차


    Ⅰ. 신북방지역 주요국 소비시장 동향

    1. 러시아
    2. 우크라이나
    3. 우즈베키스탄
    4. 카자흐스탄


    Ⅱ. 코로나19 이후 소비트렌드

    1. 온라인 쇼핑 확대
    2. 비현금 결제 증가
    3. 음식료 배달시장 성장
    4. 재택근무 및 원격교육 확산
    5. 홈엔터테인먼트·스마트 홈의 대중화


    Ⅲ. 소비트렌드 주도 현지 기업


    Ⅳ. 유망 소비재 품목


    Ⅴ. 우리 기업의 대응전략



    요 약


    신북방지역 주요국 소비시장 동향


    ◦ 러시아는 2021년 코로나19의 영향에서 벗어나 총 가구지출이 상승하고 소비자 심리도 개선될 것으로 판단
     * 루블화기준 총 가구 지출은 전년대비 7.87% 상승하고 경기개선에 대한 기대도 최저점을 지난 것으로 보임


    ◦ 우크라이나의 가계소득은 중기적으로 타 국가에 비해 빠르게 늘어날 것으로 보이며 온라인 시장 중심의 회복세 확산 예상


    ◦ 우즈베키스탄과 카자흐스탄의 경우에도 2020년 하반기~2021년 상반기에 소비심리가 호전되면서 정상적인 소비시장회복 예상
    * 우즈베키스탄의 기업대상 설문결과 50%의 기업이 향후 개선예상
     ** 카자흐스탄의 소비정상화는 시간이 필요하나 소비심리는 상승추세


    코로나19 이후 주요 소비트렌드


    ◦ (온라인 쇼핑확대) 비대면방식의 소비가 증가하면서 온라인 쇼핑이 크게 확산되는 추세
     * 코로나로 인한 봉쇄조치, 최근의 인터넷인프라 강화 등의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온라인 시장 확대
     ** 아제르바이잔, 몽골 등에서는 전용 쇼핑몰보다는 SNS 융합 또는 기존 오프라인 몰의 온라인 전환 판매방식 혼용


    ◦ (비현금결제 증가) 온라인 쇼핑 확산추세와 함께 모바일이나 인터넷 등을 통한 비현금성 거래 증가
     * 인프라가 갖추어져 있는 대도시를 중심으로 금융기관의 플랫폼이나 모바일앱, QR코드 등을 통한 지출 확대


    ◦ (음식료 배달시장 성장) 코로나 상황에 따른 봉쇄조치 등으로 음식료 배달문화 활성화
     * 러시아 최대 식품 배달 앱 Delivery Club과 Yandex Eda는 각각 17.6%, 10.1%의 시장점유율을 기록


    ◦ (재택근무 및 원격교육 확산) 기업근무환경 및 교육시장도 비대면 방식으로 빠르게 전환
     * 러시아의 경우 2020년 4월 초부터 러시아 기업과 기관의 78%가 재택근무를 실시했으며 재택근무 및 원격교육과 관련한 노트북, 전자기기, 소프트웨어 시장도 크게 확대되는 추세


    ◦ (홈 엔터테인먼트·스마트 홈의 대중화) 대외활동의 제한으로 가정 중심의 기능 및 오락 활동 강화
     * 코로나19 의무격리 영향으로 2020년 러시아 온라인 게임 시장은 전년대비 10% 성장
     ** 영화관, 각종 콘서트 등의 문화 활동이 제한되자 홈 엔터테인먼트,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 확대


    소비트렌드 주도 현지기업


    ◦ 전자상거래: Wildberries(러), Kaspi(카작), Prom(우크라이나)
    ◦ 음식료 배달: Sbermarket(러), Express24(우즈벡), Delivio(우크라이나), TokTok(몽)
    ◦ 기타: Vilavi(러, 유통), 166(우크라이나, 운송)


    유망소비재 품목


    ◦ 홈뷰티·홈코노미 제품: 미용관리: 네일아트기기, 그루밍제품, 여드름 패치, 센서, CCTV, 카메라, 스마트 스위치 및 램프, 청소용품 등


    ◦ 식품류·건강보조식품: HMR, 간편식품류, 영양제 및 식이보충제 등


    우리 기업의 대응전략


    ◦ 유통전략 다변화 / 온라인 결제시장 진입확대 / 건강 및 기능성식품 시장 성장 대응 / 교육 컨텐츠 시장 진출 모색 / 현지 온라인 유통 전용 제품라인업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