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비즈니스를 위한 | 경제외교활용포털

서비스 이용을 위해
로그인 해주세요.

해외시장정보

협력대상국 시장정보

정상외교에 따른 현지 동향 및 투자환경 분석 자료를 제공합니다.
우리 중소기업의 해외진출에 도움이 될만한 최신 해외시장 동향 관련 정보를 모았습니다. 국별·분야별 검색으로 원하는 자료를 쉽게 찾아 볼 수 있습니다.

협력대상국 시장정보 제목, 관련국가,발간기관, 발간일, 분야, 본문내용 항목별 순서대로 안내하는 표입니다.
한-중미 FTA 전체발효에 따른 수출 유망품목
관련국가 니카라과,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코스타리카, 파나마 발간기관 KOTRA 발간일 2021-03-03
분야 산업·통상 PDF 다운로드 PDF 보러가기


  • 한-중미 FTA 전체발효에 따른 수출 유망품목 표지






    목 차


    Ⅰ. 한-중미 FTA 개요

    1. 진행 경과
    2. 주요 내용


    Ⅱ. 중미시장 개요 및 기회 요인

    1. 참여국 개요
    2. 중미시장 특성과 기회 요인


    Ⅲ. 한-중미 FTA 전체발효에 따른 국별 수출 유망품목

    1. 코스타리카
    2. 엘살바도르
    3. 온두라스
    4. 니카라과
    5. 파나마


    Ⅳ. 결론 및 시사점


    요 약


    한-중미 FTA 개요


    ◦ 한-중미 FTA는 우리나라가 체결한 16번째 FTA이자 중미 5개국과 동시에 체결한 최초의 FTA로 파나마의 발효로 전체발효(’21.3.1일).
    * 니카라과·온두라스('19.10.1일), 코스타리카('19.11.1일), 엘살바도르('20.1.1일), 파나마('21.3.1일) 발효


    ◦ 북미-남미지역을 연결하는 미주지역 FTA 네트워크가 완성되었으며, 양측의 상호 보완적 산업 구조로 교역 확대 및 투자 활성화 기대
    - 우리의 중미 신시장 개척에 따른 수출시장 다변화, 중미의 아시아 시장 진출 거점 마련 계기


    한-중미 FTA 전체발효에 따른 수출 유망품목


    ◦ 한-중미 FTA 전체발효에 따른 관세 인하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한 한국산 자동차부품 (타이어, 배터리 등 포함), 화장품, 음료, 의약품의 對중미 수출 증대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


    한-중미 FTA 전체발효에 따른 수출 유망품목

    유망품목

    유망국가


    현지 바이어 의견

    자동차 부품

    코스타타리카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니카라과

    파나마


    - 한국산 자동차부품 품질에 대한 높은 만족도

    - 한-중미 FTA를 통해 우수한 업체의 진출이 증가해 품질 및 가격 측면에서 만족스러운 거래 기회가 확대되고 있음

    - 한-중미 FTA 관세 인하 즉시 판매가 급증하지 않더라도 가격 인하에 따라 장기적으로 판매량이 증가하는 등 긍정적인 효과 예상

    화장품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니카라과


    - 소득증가로 스킨케어에 대한 중미 소비자의 관심이 증대. SNS, 인플루언서 등을 통해 K-뷰티가 중미 소비자에게 자연스럽게 전파

    - 한국산 화장품은 가격 대비 우수한 품질, 신선한 패키징 등이 강점

    - 한-중미 FTA 발효에 따른 관세 인하로 한국산 화장품에 우호적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기대

    음 료

    엘살바도르

    파나마


    - 중산층 확대에 따라 과일·건강음료 위주로 시장 다변화 - 한-중미 FTA의 관세 인하 효과 기대(파나마 알로에음료 발효즉시 무관세) - 현지에 도입되지 않은 신개념 음료(비타민음료, 숙취해소음료 등)를 접할 수 있는 기회 확대

    의약품

    코스타리카


    - 한국의 對코스타리카 수출 상위품목으로 공공 의료부문의 의약품 부족현상을 해소하기 위한 정부 주도의 입찰 기회 다수

    - 코로나19 이후 한국산 의약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진 점도 긍정적 요소

    - 의약품의 관세가 비교적 낮은 편이나 한-중미 FTA를 통해 한국산 제품의 인지도 및 이미지 제고에 도움이 될 전망

     

    결론 및 시사점


    ◦ 코로나19 및 디지털 전환으로 변화하는 중미 소비자의 소비성향을 파악하여 중미시장 공략

    ◦ 개별국 보다 중미 통합시장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파나마에 물류거점을 구축하거나 중미 전역에 유통망을 구축한 기업을 활용하는 전략 마련

    ◦ 우리나라가 가입한 중미경제통합은행(CABEI) 회원국 우대정책을 활용하여 중미 정부 주도의 다양한 인프라 사업에 참여 확대 방안 모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