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비즈니스를 위한 | 경제외교활용포털

서비스 이용을 위해
로그인 해주세요.

해외시장정보

협력대상국 시장정보

정상외교에 따른 현지 동향 및 투자환경 분석 자료를 제공합니다.
우리 중소기업의 해외진출에 도움이 될만한 최신 해외시장 동향 관련 정보를 모았습니다. 국별·분야별 검색으로 원하는 자료를 쉽게 찾아 볼 수 있습니다.

협력대상국 시장정보 제목, 관련국가,발간기관, 발간일, 분야, 본문내용 항목별 순서대로 안내하는 표입니다.
베트남産 의류에 사용된 한국産 직물도 베-EU FTA 특혜 부여
관련국가 베트남, EU 발간기관 산업통상자원부 발간일 2021-02-08
분야 산업·통상 PDF 다운로드 PDF 보러가기

  • 베트남産 의류에 사용된 한국産 직물도

    베-EU FTA 특혜 부여

    - 산업통상자원부 자유무역협정이행과 윤지수 사무관 -


    ❖ 지난 12.23일 이후 EU에서 수입 통관된 베산 의류부터 소급 적용

    ❖ 한국은 베트남 2위 직물 공급국(’20년 17.2억$), 對베 직물수출 증가 기대


    □ 한국산 직물(fabrics)을 사용하여 베트남에서 가공된 의류제품(HS 제61, 62류)도 EU 수출 시 베트남산으로 인정하여 베트남-EU FTA 상 관세인하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됨


    ㅇ 베트남산 의류가 EU 수출 시 베-EU FTA 상 특혜 관세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원칙적으로 베트남산 직물로 제작되어야 하나, 베-EU FTA에 예외적으로 ‘한국산 직물’에 대해서만 베트남산으로 간주하는 원산지 누적조항이 반영되어 특혜를 받을 수 있게 되었음(베-EU FTA 의정서1(제3.7조∼3.11조))


    ㅇ 동 원산지 누적조항은 지난 12.23일(EU 통관기준)부터 소급하여 적용됨


    참고 : 베트남-EU FTA상 원산지 누적조항의 의미



    對EU 수출시 특혜관세를 위해 ①‘직물 재직→의류 가공’까지 베트남內 실시 원칙, 예외적으로 한국(②직물 재직)→베트남(③ 의류 가공)이 실시하여도 누적으로 인정


    ㅇ 對EU 수출시 특혜관세를 위해 ①‘직물 재직→의류 가공’까지 베트남內 실시 원칙, 예외적으로 한국(②직물 재직)→베트남(③ 의류 가공)이 실시하여도 누적으로 인정

     

    □ 그간 양국 정부는 ‘원산지누적 교환각서*’ 체결 등 동 혜택을 받기 위해 필요한 행정요건 충족을 위해 긴밀히 협력해 왔음

    * 베-EU FTA 의정서1(제3.7조∼3.11조) 상 한국산직물 원산지누적 적용을 위해서는 한‧베 정부간 원산지 검증관련 상호 행정협력 제공 약속이 필요

     

    ㅇ 특히,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제4차 한-베 FTA 공동위원회 계기 베트남을 방문하여, 베트남 산업무역부 장관과 ‘원산지누적 교환각서’에 서명하고, 베측에 신속한 절차 진행을 촉구하였음(’20.12.11일)

     

    ㅇ 이후 양국은 동 교환각서 체결 사실을 EU 집행위원회에 통지하였고, EU측은 통지문이 접수된 지난 12.23일부터 특혜관세가 소급 적용됨을 2.4일자로 공식통보*하여 왔음

    * 2.4일 EU공한이 베-EU FTA 당사국인 베측에 접수 → 2.6일 베측이 우리측에 전달


    □ 베트남은 의류생산에 투입되는 직물의 약 80%(’19년 기준)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한국이 2위 직물 공급국인 만큼, 베-EU FTA 원산지 누적조항이 “한국산 직물”에만 적용되면 중국, 대만 등 경쟁국 대비 한국산 직물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됨

    * 베트남 국별 직물 수입비중(19년) : 55%(중국) 16%(한국), 12%(대만), 6%(일본)

     

    ㅇ 산업통상자원부는 우리 섬유업계가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한국섬유산업연합회 FTA 지원센터(02-528-4064~67), FTA종합지원센터(국번없이 1380) 등을 통해 한국산 직물 원산지 특혜 조항 활용 방법을 보다 상세히 안내하고 활용을 지원할 계획임

     


    한-베 섬유류 교역 및 베트남 對세계 섬유류 수출 현황


    □ 한-베트남 섬유류 교역 현황

     

    ㅇ ’20년 기준, 對베 섬유류 수출 23.5억불(-18.4%), 수입 40.2억불(-10.6%) 기록


    對베트남 섬유류 수출입 현황

    (단위: 천불, %)

    對베트남 섬유류 수출입 현황

    구 분

    수 출

    수 입

    ’19년

    ’20년

    증감률

    비중

    ’19년

    ’20년

    증감률

    비중

    섬유원료

    69,208

    60,866

    △12.1

    2.6

    4,258

    4,863

    14.2

    0.1

    섬유사

    135,435

    102,225

    △24.4

    4.3

    354,310

    337,176

    △4.8

    8.4

    직물

    2,095,983

    1,716,257

    △18.1

    72.9

    145,370

    145,934

    0.4

    3.6

    섬유제품

    583,559

    474,950

    △18.6

    20.2

    3,996,002

    3,536,796

    △11.5

    87.9

    섬유류 계

    2,884,095

    2,354,298

    △18.4

    100.0

    4,499,941

    4,024,769

    △10.6

    100.0

    출처: 한국무역협회


    □ 베트남 섬유류 對세계 수출 현황


    ㅇ ’19년 베트남의 섬유류 수출시장은 미국이 152억불(39.0%)로 1위, EU가 44억불(11.3%)로 2위 점유, 중국

    (10.9%), 일본(10.8%), 한국(10.3%) 등임


    최근 5년 베트남 섬유류 수출현황

     (단위: 백만불)

    최근 5년 베트남 섬유류 수출현황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비중)

    세계

    27,201

    28,123

    31,159

    36,264

    39,000 (100%)

    미국

    11,200

    11,659

    12,490

    13,958

    15,200 (39.0%)

    EU

    3,408

    3,596

    3,885

    4,304

    4,400 (11.3%)

    중국

    2,224

    2,669

    3,361

    3,970

    4,250 (10.9%)

    일본

    2,918

    3,036

    3,286

    4,008

    4,200 (10.8%)

    한국

    2,430

    2,662

    3,075

    3,830

    4,000 (10.3%)

    아세안

    1,119

    1,305

    1,506

    1,949

    2,100 (5.4%)

    기타

    3,722

    3,196

    3,556

    4,245

    4,850 (12.4%)

     출처 : 베트남 섬유의류산업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