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자료명

코로나19 이후 국제 분업구조 재편과 우리산업의 경쟁전략

관련국가 말레이시아, 미국, 미얀마, 베트남,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일본, 중국, 캄보디아, 태국, 필리핀, 호주, EU 분야 산업·통상
발간기관 KOTRA 발간일 2021-01-25


코로나19 이후 국제 분업구조 재편과 우리산업의 경쟁전략



목 차


Ⅰ. 서론

1. 연구배경
2. 연구 목적 및 범위


Ⅱ. 한국의 교역 및 GVC 구조 분석

1. 코로나19 이후 한국의 교역동향
2. GVC 구조 변화와 경쟁력 분석
3. GVC 구조 재편 방향


Ⅲ. GVC 재편과 주요국 산업정책

1. 주력시장: 미국, 중국, EU, 일본
2. 주요 신흥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태국, 인도, 러시아, 브라질


Ⅳ. 해외 현지법인의 GVC 재편과 대응 설문결과

1. 해외 현지법인 현황과 구조
2. 해외 현지 사업의 구조 변화와 대응
3. 코로나19사태의 현지법인 영향과 대응


Ⅴ. 결론

1. 핵심 산업의 협력 가능성
2. 해외 산업정책에 기초한 협력가능성


요 약


 ◦ (GVC 전망) 코로나19 사태의 글로벌 확산으로 인해 주요 산업의 공급차질과 수요절벽으로 인해 글로벌 교역을 대폭 위축됨과 동시에 글로벌 산업 구조 재편이 가속화 될 전망


◦ (연구 목적) 코로나19 이후 한국의 교역 동향과 국제 산업연관 분석을 바탕으로 주요 산업별 가치사슬 변화 등을 살펴보고 주요국의 산업 정책을 바탕으로 경제협력 전략 방안 도출 필요
- 코로나19 사태를 조기에 수습한 중국 제외 대부분의 주요 경제권에서 수출이 두 자릿수 이상 감소한 가운데 한국의 수출은 강한 회복탄력성을 보임


◦ (분석 결과) 한국의 산업별 대외경쟁력 변화 분석 결과, 우리 제조업의 산업구조 변화와 글로벌 가치사슬 구조 심화에 따른 수출경쟁력 변화가 뚜렷
- 2020년 대비 2019년 전자 및 광학기기와 운송기기 등의 산업에서 수출경쟁력이 뚜렷하게 증가
- 반면, 2019년에 전반적인 산업 편중도가 심화되었고, GVC 구조에 따라 총량기준과 부가가치 기준 경쟁력의 격차가 발생하는 산업도 존재


◦ (GVC 재편 방향) GVC 구조 재편의 주요방향은 ①GVC를 활용한 생산구조의 축소와 수요지역에 근접한 생산단계 구축, ②공급체인 단위의 다양화, ③디지털화 등으로 나타날 수 있음
- GVC 방식 생산비중의 전 세계적 정체, 中 인건비 상승과 동남아 관심도 증가 → 수요지역에 근접한 니어쇼어(Near-Shore)현상이 확대될 것
- 특히, 코로나19 사태는 공급망의 디지털 전환도 가속화 할 것


◦ (미래 핵심 산업) 주요국의 산업 정책의 핵심적 내용은 ‘미래산업의 핵심 역량 강화’, 주로 ICT 산업, 바이오 및 의료, 친환경 에너지 등이 선정됨


◦ (신흥국 산업 정책) 신재생에너지와 로봇 등 미래산업 육성과 동시에 현재 자국 주력 산업의 역량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수립됨


◦ (진출 전략) 개별 산업의 현재 상황에 맞는 협력 방향을 설정하며, 현재 우리의 산업별 경쟁력과 GVC 재편 방향을 동시에 고려할 것

 

문서첨부
댓글 운영정책
  • 댓글입력
댓글목록 0개
  •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