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비즈니스를 위한 | 경제외교활용포털

서비스 이용을 위해
로그인 해주세요.

해외시장정보

협력대상국 시장정보

정상외교에 따른 현지 동향 및 투자환경 분석 자료를 제공합니다.
우리 중소기업의 해외진출에 도움이 될만한 최신 해외시장 동향 관련 정보를 모았습니다. 국별·분야별 검색으로 원하는 자료를 쉽게 찾아 볼 수 있습니다.

협력대상국 시장정보 제목, 관련국가,발간기관, 발간일, 분야, 본문내용 항목별 순서대로 안내하는 표입니다.
무공해 자동차 미국 시장 환경 분석 및 진출 전망
관련국가 미국 발간기관 KOTRA 발간일 2020-12-18
분야 무역·투자 PDF 다운로드 PDF 보러가기


  • 책자 표지 디자인



    목 차


    I. 미국 무공해 자동차 시장 동향

    1. 미국 무공해 자동차 시장 개요
    2. 미국 무공해 자동차 시장 현황 및 성장 전망


    II. 무공해 자동차 유형별 보급 현황 및 트렌드

    1. 배터리 전기 자동차
    2.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3.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III. 환경 분석 및 주요 정책

    1. 유형별 충전소 보급 현황 및 전망
    2. 연방 정부 정책 및 인센티브 프로그램
    3. 주요 지역별 정책 및 인센티브 프로그램


    IV. 성공사례 및 진출 방안

    1. 성공 사례
    2. 진출 방안


    요 약


    미국 무공해 자동차 시장, 서막이 시작되다


    ㅇ 지구 온난화 현상에 따른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로 인해, 주요국들은 친환경 인프라 조성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도입하여 무공해 자동차 산업을 지원하고 수요 창출을 위해 노력 중


    미국 무공해 자동차 시장 규모 및 전망


    ㅇ 무공해 자동차는 순수 전기차로 불리는 배터리 전기차(B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PHEV), 수소연료전지차(FCEV)로 구분


    ㅇ 미국 무공해 자동차 시장 규모는 2019년 기준 약 138억 3,350만 달러 규모 기록. 2020년 시장 규모는 130억 590만 달러로 예측
    - 코로나19로 인한 경기침체와 글로벌 저유가 상황이 지속되어 2019년 대비 5.98% 감소하였으나, 2021년부터 본격 성장 예상


    ㅇ 해당 시장은 2020년부터 향후 5년간 연평균 19.7% 성장해 2025년에는 약 366억 7,960만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


    배터리 전기 자동차(BEV) 시장 분석


    ㅇ 미국 배터리 전기 자동차 판매 규모는 2020년 기준 약 71억 400만 달러로, 2019년의 72억 8,030만 달러 대비 2.4% 감소할 전망. 2020년부터 5년간 연평균 20.46% 성장해 2025년에는 약 217억 710만 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예측


    ㅇ 미국의 배터리 전기 자동차 시장은 시장 점유율 66%를 차지하는 테슬라(Tesla)사가 선점 중. 그 외, 주요 생산기업들이 다양한 배터리 전기 자동차 모델을 개발·판매하고 있으며, 현재 시중에 판매 중인 배터리 전기 자동차 모델은 약 22종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PHEV) 시장 분석


    ㅇ 미국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시장 규모는 2019년 기준 약 33억 9,450만 달러를 기록. 이는 2020년 약 11% 감소할 전망이나, 향후 회복세를 되찾으며 2025년까지 약 105억 4,140만 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


    ㅇ 토요타(Toyota)는 미국 내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 부문 선도기업으로서, 2012년 처음 선보인 프리우스(Prius)를 비롯해 새롭게 출시한 2021년형 RAV4 Prime 등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 모델을 보유. 이 외에 현재 판매 중인 모델은 약 32종


    수소연료전지 자동차(FCEV) 시장 분석


    ㅇ 미국 내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판매 규모는 2019년 기준 약 2,080대를 기록. 2020년에는 약 940대로 감소할 전망이나, 2021년부터 다시 성장세를 보여 2025년에는 5,080대 규모로 성장 예상


    ㅇ 현대·토요타·혼다 3사가 경쟁 구도를 이루고 있으며, BMW 또한 2022년부터 수소연료전지 크로스오버 모델을 생산할 계획


    연방 및 주 정부 차원의 친환경 정책이 밑거름 역할


    ㅇ 미국 전역에 약 2만 8,223개의 전기 충전소와 45개의 수소 충전소 설립. 연방 및 주 정부의 친환경 정책으로 전기차 보급 가속화, 2030년까지 약 130만 개의 신규 전기차용 충전기 필요 예측


    ㅇ (연방 정책) 바이든 대통령 당선인은 청정에너지 인프라 구축에 약 2조 달러의 대대적인 투자 계획 발표. 현재 신형 BEV 및 PHEV 구매에 최대 $7,500의 세액공제 혜택을 제공하여 무공해 자동차 구매 장려
    * 2030년까지 전기차 충전소 50만개 추가, 모든 대중버스 무탄소 전기 버스 전환 등


    ㅇ (주별 정책) 캘리포니아 포함 12개 주에서 무공해 자동차 프로그램 도입. 모델 연도별 무공해 자동차 생산 비중 증가 및 리베이트를 통해 소비자 수요 창출과 증대 노력
    * 캘리포니아, 콜로라도, 코네티컷, 메인, 메릴랜드, 매사추세츠, 뉴저지, 뉴욕, 오리곤, 로드아일랜드, 버몬트, 워싱턴 주 무공해 자동차 프로그램 시행 중


    □ 주요 부품, 충전 인프라, 플랫폼 기술 분야 적극 고려


    ㅇ 진입장벽이 높은 완성차 보다는 센서, 모터, 배터리등 주요 부품 분야와 충전기, 에너지 저장 기술 등의 인프라 시설 분야로 우회 진출이 더 유리할 수 있음을 고려


    ㅇ 차세대 전기 자동차 시장은 플랫폼 확보가 관건으로 기술협력 및 제휴로 미국 시장 진출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