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비즈니스를 위한 | 경제외교활용포털

서비스 이용을 위해
로그인 해주세요.

해외시장정보

협력대상국 시장정보

정상외교에 따른 현지 동향 및 투자환경 분석 자료를 제공합니다.
우리 중소기업의 해외진출에 도움이 될만한 최신 해외시장 동향 관련 정보를 모았습니다. 국별·분야별 검색으로 원하는 자료를 쉽게 찾아 볼 수 있습니다.

협력대상국 시장정보 제목, 관련국가,발간기관, 발간일, 분야, 본문내용 항목별 순서대로 안내하는 표입니다.
2020 중동 주요국 스마트 테크 수요와 진출 방안
관련국가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요르단, 이스라엘, 카타르, 쿠웨이트, 터키 발간기관 KOTRA 발간일 2020-11-12
분야 정보통신 PDF 다운로드 PDF 보러가기


  • 책자 표지 디자인



    목 차


    Part 1 /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무역관)

    1. 사우디 스마트 테크 육성 정책 개요
    2. 사우디 스마트 테크 진출 · 협력 유망 분야
    3. 사우디 스마트 테크 진출 전략
    4. 참고자료


    Part 2 / 아랍에미리트 (두바이무역관)

    1. UAE 스마트테크 육성 정책 개요
    2. ICT 및 응용 산업 진출 · 협력 유망 분야
    3. UAE 스마트 테크 진출 전략
    4. 참고자료


    Part 3 / 요르단 (암만무역관)

    1. 요르단 스마트테크 육성 정책 개요
    2. ICT 및 응용 산업 진출 · 협력 유망 분야
    3. 요르단 스마트 테크 진출 전략
    4. 참고자료


    Part / 이스라엘 (텔아비브무역관)

    1. 이스라엘 스마트테크 육성 정책 개요
    2. ICT 및 응용 산업 진출 · 협력 유망 분야
    3. 이스라엘 스마트 테크 진출 전략
    4. 참고자료


    Part 5 / 카타르 (도하무역관)

    1. 카타르 스마트테크 육성 정책 개요
    2. 카타르 스마트 테크 진출 · 협력 유망 분야
    3. 카타르 스마트 테크 진출 전략
    4. 참고자료


    Part 6 / 쿠웨이트 (쿠웨이트무역관)

    1. 쿠웨이트 스마트테크 육성 정책 개요
    2. ICT 및 응용 산업 진출 · 협력 유망 분야
    3. 쿠웨이트 스마트 테크 진출 전략
    4. 참고자료


    Part 7 / 터키 (이스탄불무역관)

    1. 터키 스마트테크 육성 정책 개요
    2. ICT 및 응용 산업 진출 · 협력 유망 분야
    3. 터키 스마트 테크 진출 전략
    4. 참고자료


    요 약


    장기 국가발전 전략 속에서 ICT산업 육성 노력 확대


    ○ 중동 주요국, 2020~2030년 달성 목표의 장기 국가비전제시 및 스마트 시티, 각종 서비스의 디지털화 등 관련 인프라 구축 노력 제고
    - 사우디 Vision 2030 : 5천억 달러 규모의 NEOM신도시 개발
    - 스마트 두바이 2021 : 두바이를 ‘진정으로 스마트한 도시’로 개발
    - 뉴 쿠웨이트 2035 : 24만가구 수용가능한 신도시 10개 구축
    - 요르단 REACH 2025 : 경제 및 주요 산업 분야의 디지털화
    - 터키 2020-2023 국가 스마트시티 전략 : 주요 8개 도시 스마트 인프라 구축
    - 카타르 스마트 TASMU : 5개 분야(교통, 물류, 환경, 보건, 스포츠) 디지털화


    ○ 중동에서는 UAE와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카타르 등 GCC 및 이스라엘 주도의 5G 서비스 상용화 본격화
    - 5G는 가상현실(VR : Virtual Reality),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인공지능 등의 최첨단 서비스 구현에 필수적인 요소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준비하기 위한 스마트 기술 접목 수요 증대


    ○ 보건 의료 분야의 스마트 기술 접목
    - 환자 원격 모니터링, 비대면 통한 만성 질환자 및 고령자 관리, 디지털 환자정보 관리 시스템 등 팬데믹 시대를 맞이한 다양한 ICT기술 수요 가시화


    ○ 언택트 시대 도래에 따른 교육과 정부 서비스의 디지털화
    - 비대면 교육이 일상화됨에 따라 이러닝(E-learning) 관련 콘텐츠, 스마트 기기 수요 급증
    - 온라인 및 모바일 플랫폼 통한 스마트 정부 서비스 제공, 핀테크 등 전자 결제 수단의 디지털화 관련 이용 확대


    ○ 식량안보 이슈, 스마트팜으로 해결
    - 혹독한 기후환경으로 대부분의 식량을 수입에 의존해야 중동 국가들의 경우 식량안보 차원의 스마트 온실, 수직농장, 지능형 관개시스템 등 첨단 ICT기술이 접목된 선진 농업 기술 도입에 적극적


    현지 혁신산업 투자 활성화 지원 기관과의 유기적인 협력 필요


    ○ 현지 기업을 장기적 관점에서의 동반자적 협력의 대상으로 접근


    ○ 현지 직접 투자 혹은 현지 파트너와의 적극적 협력을 통해 국내외 정책 지원 기관으로부터 더 많은 금융 및 행정적, 제도적 혜택 수혜 가능
    - 국방·통신 등 국가 기간산업을 제외하면, 터키, 이스라엘, 요르단 등은 외국기업의 본토 단독 투자가 수월
    - GCC국가들은 경제자유구역(Free Zone)내 외국기업 지분율 100%허용하나 본토 내 외국기업 단독 법인 설립은 조건부 허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