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후속조치
정상회담 합의내용 이행을 위해 개최한 정부간 공동위, 협의회 등 정부조치 결과입니다.
공지사항 목록 번호, 사절단명,
파견기간, 진행단계 항목별 순서대로 안내하는 표입니다.
|
한-영국 자유무역협정(FTA) 6차 개선협상 개최 |
| 관련국가 |
|
관련기관 |
산업통상부 |
분야 |
산업·통상 |
| 개최일자 |
2025-11-10 |
등록일자 |
2025-11-10 |
| 담당자 |
사무관 박태현
(산업통상부 / 자유무역협정협상총괄과)
|
|
|
|
한-영국 자유무역협정(FTA) 6차 개선협상 개최
❖ 11.10.(월) ~ 14.(금), 서울
❖ 서비스, 투자, 디지털무역, 금융, 총칙 등 8개 분과 협상
|
|

최근 통상환경의 불확실성을 극복하고 견고한 수출경제를 확립하기 위해 적극적인 통상정책을 추진할 필요성이 커진 가운데, 유럽 내 주요 교역·투자 상대국인 영국과의 FTA를 개선하기 위한 제6차 개선협상이 11.10(월)~14(금) 서울에서 개최된다.
산업통상부(장관 김정관) 통상교섭본부는 이번 협상에 우리 측 권혜진 통상교섭실장과 영국 측 아담 펜(Adam Fenn) 기업통상부 부국장을 각각 수석대표로 하는 60여 명의 양국 대표단이 참여한다고 밝혔다.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Brexit) 후 한·영 양국은 한-EU FTA 수준으로 한-영 FTA(’21년 발효)를 체결한 바 있다. 양국은 엄격한 현행 원산지 기준을 완화해 양국 간 투자·교역을 확대하고, 공급망 교란 대응 등 미래지향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24년 1월 1차협상을 시작한 이래 지금까지 5차례 공식 협상과 다수의 회기간 회의를 개최했다. 양국은 6차 협상에서 서비스·투자 등 잔여 쟁점에 대한 협상을 진행할 계획이다.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협상장을 방문, 양측 수석대표와 협상단을 격려하며“개선된 한-영 FTA는 추가 시장개방과 더불어, 공급망 교란 대응, 디지털 통상 규범 정립 등 새로운 통상 이슈를 포괄적으로 반영한 현대적인 협정이 될 것”이라고 강조하고,“금번 협상에서 잔여 쟁점을 최대한 합의하여 조속한 협상 타결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
|
❚ 한-영 외교장관 회담 2025.11.12.

G7 외교장관회의 참석을 위해 캐나다를 방문 중인 조현 외교부 장관은 현지시간 11.11.(화) 오후 이벳 쿠퍼(Yvette Cooper) 영국 외교장관과 첫 양자회담을 가졌습니다.
조 장관은 쿠퍼 장관의 취임(2025.9월)을 축하하며, 양국간 경제·통상, 국방·안보, 과학기술 등 각종 분야에서 실질협력을 심화해나가자고 하였습니다. 또한, 현재 진행 중인 한-영 FTA 개선 협상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여 이를 바탕으로 양국간 경제협력 관계가 한층 더 강화되기를 희망한다고 하였습니다.
쿠퍼 장관은 취임 축하에 사의를 표하고, 양국이 AI, 기후, 국방 등의 분야에서 새로운 협력 기회를 발굴해 나가기를 희망한다고 하고, 특히 신재생 에너지 분야에서의 협력을 강화하여 경제성장과 고용창출에 기여하기를 바란다고 하였습니다.
|
공지사항 목록 번호, 사절단명,
파견기간, 진행단계 항목별 순서대로 안내하는 표입니다.
이전 글 |
한-캐나다 국방·방산협력 컨퍼런스
|
다음 글 |
다음글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