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후속조치
정상회담 합의내용 이행을 위해 개최한 정부간 공동위, 협의회 등 정부조치 결과입니다.
공지사항 목록 번호, 사절단명,
파견기간, 진행단계 항목별 순서대로 안내하는 표입니다.
한-영국 자유무역협정(FTA) 4차 개선협상 |
관련국가 |
|
관련기관 |
산업통상자원부 |
분야 |
보건·의료, 산업·통상, 정보통신 |
개최일자 |
2025-03-10 |
등록일자 |
2025-07-07 |
담당자 |
사무관 박태현
(산업통상자원부 / 자유무역협정협상총괄과 )
|
|
한-영국 자유무역협정(FTA) 4차 개선협상 개최
❖ 3. 10. (월) ~ 14. (금), 영국 런던
❖ 서비스, 공급망, 디지털, 바이오경제 13개 분야 협상
|
우리나라와 영국 간 자유무역협정(FTA) 개선을 위한 제4차 공식협상이 3. 10. (월) ~ 14. (금) 영국 런던에서 개최된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 통상교섭본부는 이번 협상에 우리 측 권혜진 자유무역협정교섭관과 영국 측 아담 펜(Adam Fenn) 기업통상부 부국장을 각각 수석대표로 하는 60여 명의 양국 대표단이 참여한다고 밝혔다.
한·영 양국은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Brexit) 이후 한-EU FTA 수준의 한-영 FTA를 타결(’19년 서명, ’21년 발효)하였고, 이후 양국 간 교역·투자·경제협력 관계 심화, 무역과 성평등·디지털무역·바이오경제 등 신통상분야 신규·개선규범을 반영한 높은 수준의 FTA를 마련하기 위해 지난 2023년부터 개선협상을 진행해 왔다.
이번에 개최되는 제4차 개선협상에서는 상품협정문, 공급망, 디지털무역, 정부조달, 바이오경제 등 13개 분과에서 세부 협의를 진행하여 한-영 FTA 개선협상 타결을 위한 실질적 논의 진전을 모색할 계획이다.
권혜진 자유무역협정교섭관은 “대내외적인 통상환경의 불확실성이 점차 심화되는 상황에서 한국과 영국의 교역·투자 확대 및 신규 유망분야에서 기업간 협력강화 필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라고 강조하며 “한-영 FTA 개선협상에서 기업친화적인 원산지 기준 개선, 바이오·공급망 협력 및 디지털 규범 마련 등에 주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공지사항 목록 번호, 사절단명,
파견기간, 진행단계 항목별 순서대로 안내하는 표입니다.
이전 글 |
한-폴란드 외교장관회담: 방산 협력
|
다음 글 |
우즈베키스탄 지역난방 현대화 사업의 실행력 제고를 위한 현지 실무 협의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