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후속조치
정상회담 합의내용 이행을 위해 개최한 정부간 공동위, 협의회 등 정부조치 결과입니다.
공지사항 목록 번호, 사절단명,
파견기간, 진행단계 항목별 순서대로 안내하는 표입니다.
한-카타르 스마트팜 협력위원회: 한국형 스마트팜 혁신밸리 모델 구축 |
관련국가 |
|
관련기관 |
농림축산식품부 |
분야 |
농림축산식품 |
개최일자 |
2025-05-13 |
등록일자 |
2025-05-13 |
담당자 |
사무관 한우리
(농림축산식품부 / 농산업수출진흥과)
|
|
농식품부, 제2차 한-카타르 스마트팜 협력위원회 개최
❖ 카타르 내 한국형 스마트팜 혁신밸리 모델 구축을 위한 협력 방안 및 스마트 농기자재 사막기후 실증방안 등 논의
|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는 5월 13일 (화) 오전, 전주 농촌진흥청 국제회의장에서 카타르 자치행정부와 「제2차 한-카타르 스마트팜협력위원회」를 개최했다.
한-카타르 스마트팜협력위원회는 지난 ’23년 10월, 양국 정상 임석 하에 개정·체결된 스마트팜 협력 업무협약(MOU)에 근거하여 운영되는 국장급 실무위원회다. 양국은 지난해(’24. 2월) 카타르 도하에서 개최된 제1차 협력위원회를 계기로 카타르 경제실무단이 방한하여 한국 스마트팜 수출 기업을 실사하고, K-농기자재의 카타르 사막기후 현지 실증을 추진하는 등 스마트농업 분야 협력을 확대하고 있다.
이번 위원회의 우리측 대표단은 농식품혁신정책관(김정욱)이 수석 대표를, 카타르측은 자치행정부 식량안보국 국장(마수드 자랄라 알마리)이 수석대표를 맡았다. 양측은 ① 카타르가 올해 2월 발표한 국가 식량안보전략 등 카타르 농업 정책에 대해 논의하는 한편, ② 한국 스마트팜 혁신밸리 모델의 카타르 내 구축을 위한 투자 협력 방안과 ③ K-농기자재의 카타르 혹서기 기간 실증 연장을 위한 추진계획 등을 협의하였다.
농식품부는 ’23년 4월부터 농산업수출진흥과를 신설하고, 케이(K)-스마트팜의 해외 진출에 각별히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를 위해 중동 등 수출 유망국에 시범온실을 조성하고 있으며, 올해는 사우디에 시범온실을 착공하였다. 이에 더하여, 스마트팜 중점지원무역관 지정을 확대하고, 스마트팜 컨소시엄의 해외 수주를 밀착 지원하는 등 민간 기업의 해외 진출 활성화를 위한 다각적인 정책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김정욱 농식품혁신정책관은 “중동은 K-스마트농업 기술의 우수성을 접하고 한국과의 정책 협력 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하고 있는 중점 협력국가”라며, “앞으로도 케이(K)-스마트농업 기술이 수출 유망국에 보다 쉽게 진출할 수 있도록 정부 간 협력을 강화하는 한편, 수출 기업의 해외 진출 지원 체계를 공고히 하는 등 정책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
공지사항 목록 번호, 사절단명,
파견기간, 진행단계 항목별 순서대로 안내하는 표입니다.
이전 글 |
이전글이 없습니다.
|
다음 글 |
한-말레이시아 자유무역협정(FTA) 제9차 공식협상: 상품·서비스·원산지·경제협력 등 8개 분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