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비즈니스를 위한 | 경제외교활용포털

서비스 이용을 위해
로그인 해주세요.

경제외교 후속사업

정부후속조치

정상회담 합의내용 이행을 위해 개최한 정부간 공동위, 협의회 등 정부조치 결과입니다.

공지사항 목록 번호, 사절단명, 파견기간, 진행단계 항목별 순서대로 안내하는 표입니다.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IPEF) 공급망협정 4월 17일(수) 국내 발효
관련국가
IPEF
관련기관 산업통상자원부 분야 산업·통상
개최일자 2024-04-12 등록일자 2024-04-12
담당자
사무관 김유정 (산업통상자원부 / 인도태평양통상기획팀)  
사무관 신정미 (기획재정부 / 경제안보공급망기획단 총괄기획과)  
사무관 정현오 (기획재정부 / 통상조정과)  
사무관 윤지수 (외교부 / 북미경제외교과)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IPEF)

공급망협정 4월 17일(수) 국내 발효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IPEF) 공급망협정이 4.17.(수) 우리나라에서 정식 발효될 예정이다. 우리나라는 지난 3.18.(월) 비준서를 기탁했으며, 협정상 발효 규정에 따라 30일 후인 4.17.(수) 국내 발효된다. 공급망협정은지난 2.24.(토) 미국, 일본, 싱가포르, 피지, 인도 등에 대해 먼저 발효되었으며, 우리나라는 이에 이은 6번째 비준국이다.


공급망협정은 공급망 관련 최초의 다자간 국제협정으로, 보다 안정적인 역내 공급망 구축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평시에는 공급망 복원력 증진을 위한 투자확대, 물류개선, 공동 연구개발(R&D) 등의 협력을 추진하며, 공급망 위기 발생 시에는 즉시 14개국이 공동으로 대응할 수 있는 위기대응네트워크(Crisis Response Network)*를 운영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핵심광물 등 주요 원자재를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공급망 위기 대응능력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위기대응네트워크(CRN) : 공급망 위기 발생 시, 회원국이 요청하면 15일 내 긴급회의를 개최하여 수요-공급기업 매칭, 대체 운송경로 발굴 등 극복방안을 논의 

** 특정국 의존도가 50% 이상인 품목이 4,000개를 상회(연 100만불 이상)하며(’22년), 특히리튬, 코발트, 흑연 등 핵심광물의 특정국 수입의존도가 80%를 상회(’23년)



  • 보도자료 안내 입니다
    보도자료
  • 관련정보 안내 입니다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