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제목

K-Food+ 수출 혁신 전략 발표

관련국가 인도네시아 관련기관 농림축산식품부
분야 농림축산식품, 산업·통상
개최일자 2024-02-20 등록일자 2024-02-21
담당자
사무관 여종수 한우리(농림축산식품부 / 농식품수출진흥과)  
사무관 장용호(농림축산식품부 / 수출가공진흥과)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수출기업 육성하고,

K-Food+ 10대 수출전략 산업으로 키운다.


❖ 농식품부, 「K-Food+ 수출 혁신 전략」 발표(2.20)와 함께, 「K-Food+ 수출확대 추진본부」 간담회 개최, 해양수산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부처와 협업 강화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급변하는 글로벌 트렌드와 통상환경에 대응하고, K-Food+를 세계 시장을 선도하는 수출 전략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하여 「K-Food+ 수출 혁신 전략」을 발표했다.


* 케이-푸드 플러스(K-Food+) : 농식품(K-Food)에 지능형농장(스마트팜), 농기자재, 반려동물음식(펫푸드), 동물용의약품 등 전후방산업 포함(+)


송미령 장관, 「K-Food+ 수출확대 추진본부」 간담회 참석


지난해 민·관 협력을 기반으로 농식품과 전후방산업의 수출산업화를 추진한 결과, K-Food+ 수출은 대외여건으로 어려운 상황을 이겨내고 역대 최고 실적을 달성하였다. 또한, ① 농식품 수출 8년 연속 성장, ② 스마트팜 대형 수주* 등 전후방산업 수출 기반 마련, ③ 한-인니 정상회담 계기 할랄시장 진출기반 마련 등 의미 있는 성과로 수출 전략산업으로서 가능성을 확인**했다. 


* 주요 수주 : 넥스트온(쿠웨이트, 2,000만불), 플랜티팜(UAE, 410), 셀포트(카자흐스탄, 187) 등


** ’23년 K-Food+ 수출은 121.4억불로 바이오 산업(134)에 이어 12대 수출산업 수준주요 수출 품목(’23년 수출 실적, 산업부) : 반도체(986억불), 자동차(708), 일반기계(535), 석유제품(522), 석유화학(457), 철강제품(352), 자동차부품(230), 선박(220), 디스플레이(186), 무선통신기기(155), 바이오헬스(134)


*** ’23년 수출 실적 : (K-Food+) 121.4억불(전년比 2.6%↑), (농수산식품) 121.6(1.0%↑) 


정부는 이번 대책에서 ‘10대 전략 수출산업으로 도약하는 K-Food+’를 비전으로 삼고, 올해 K-Food+ 135억불, ’27년까지 230억불을 수출 목표로 설정했다. 이번 대책은 지난해 「K-Food+ 수출확대 추진본부」를 운영하며 논의된 개선과제들과 현장의 의견을 기반으로 마련되었다.(붙임 1, 2 참고)


또한, 농식품부는 지난 2월 14일 비상경제장관회의 논의결과를 바탕으로 부처 협업과제도 적극적으로 추진 중에 있다. 농식품부는 수출활성화를 위해 부처 간 벽을 허무는데 있어 주도적인 역할을 다할 예정이다. 


우선, 농식품부와 해양수산부(이하 해수부)는 올해 농수산식품 및 전후방산업 수출 목표 167억불(농식품 100, 전후방산업 35, 수산 32) 달성을 위해 물류 및 마케팅 분야에서 적극 협력해 나간다. 앞으로 부산항, 포항항 등 주요 항만 배후단지, 부산·울산항만공사의 해외 공동물류센터 등 물류 인프라를 공동으로 활용하고, K-Food Fair, 해외 안테나숍 등을 공동 추진한다.


아울러,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부처와는 ‘통상환경 대응 협력체계’를 구성하고 문화체육관광부와는 한류 기반 마케팅, 해외홍보관 등을 공동 추진하는 한편, 특허청과는 K-Food 모방제품 근절을 위해 공동 대응해 나갈 예정이다.


이번 대책은 K-Food+의 글로벌 경쟁력 제고에 중점을 두고 있다. 수출조직과 기업의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수출 지원체계를 개편함과 동시에, 투자 활성화 등 유망한 수출기업의 성장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K-Food+ 수출 영토를 다각적으로 확장해나갈 계획이다.


이와 관련,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 주재로 2월 20일(화) 오후, 에이티(aT) 센터(서울 양재동 소재)에서 「K-Food+ 수출확대 추진본부*」 간담회를 개최하였다.


* K-Food+ 수출확대 추진본부 : K-Food 뿐만 아니라, 스마트팜·농기자재·동물용 의약품·펫푸드 등 전후방산업을 수출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민‧관 협의체(본부장 : 농식품부 장관)


이날 간담회는 ’24년도 정부의 수출 전략을 수출기업 및 관련 기관 등과 공유하고 수출기업의 수출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논의하기 위하여, 주요 수출기업, 관계부처 및 관련 기관장 등이 참석*하였다.


* 해양수산부, 산업통상자원부, 주요 수출기업 CEO 및 유관기관장 약 30명 참석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K-Food 열풍, 세계 교역량 회복 등을 기회로 삼아 올해 수출목표를 달성하고, 중·장기적으로는 K-Food+가 세계 시장을 선도해나가는 주력 수출산업이 될 수 있도록 정책 역량을 집중하고 민·관 협력, 부처 간 협력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K-Food+ 수출 혁신 전략



◈ ’24년 수출목표 135억불 달성과 함께 K-Food+를 10대 수출산업* (~’27년)으로 육성하기 위해 경쟁력 강화 및 구조 개편 추진**

* ’23년 K-Food+ 수출은 121.4억불로 바이오 산업(134)에 이어 12대 수출산업 수준

** 수출 구조·체질 개선, 수출영토 확장, 민간협업·투자 확대, 스마트팜 대형 수주 등 포함



Ⅰ. 추진배경


□ K-Food+는 국가경제 기여 뿐만 아니라 농업소득 증대 및 생산기반 강화, 국가 브랜드 제고 등 부가가치가 높은 수출 전략산업


□ 글로벌 트렌드·통상환경 변화에 앞서나가며 비약적으로 성장* (Quantum jump)할 수 있도록 글로벌 경쟁력 강화 필요

* (’14~’23) 4%대 성장 → ’24년 135억불 목표 달성 후 성장세 확대


Ⅱ. 성과 및 진단


1. 2023년 성과             * '23년 K-Food+는 121.4억불로 전년 대비 2.6%↑


□ 민·관 ‘수출 원팀’이 되어 총력 지원한 결과, K-Food+ 수출은 대외여건으로 수출이 어려운 상황을 이겨내고 역대 최고 실적 달성


  ㅇ 농식품은 ’23년 91.6억불로 전년 대비 3.0% 증가, 8년 연속 성장


  ㅇ 전후방산업은 29.8억불(전년比 1.2%↑), 스마트팜 대형 수주* 등 성과

      * 넥스트온(쿠웨이트, 2천만불), 플랜티팜(UAE, 410만불), 셀포트(카자흐스탄, 187만불) 등


 2. 현 상황 진단


 □ 특정 품목·시장(美·日·中) 중심의 편중된 수출 포트폴리오 개선 필요


  ㅇ 美·日·中 의존도가 여전히 높음* → 중동·중남미 등 진출 필요

      * ’23년 농식품 수출액 중 美·中·日 비중 : (’19) 52% → (’21) 47 → (’23) 46

     ** 전후방산업은 농기계(52.4%), 북미시장 중심으로 수출 구조가 편중되어 있음


 □ 물류비 폐지*(’24~), 원자재·물류 리스크 등 대내외 환경 변화 직면

      * WTO 합의에 따라 ’24년부터 물류비 보조 중단 → 대체사업 발굴하여 추진 중


Ⅲ. 추진방향


비 전

K-Food+ 10대 전략 수출산업 도약(~’27년)


목 표

◈ ’24년 K-Food+ 수출 목표 135억불 달성

   * 농식품 100억불, 전후방산업 35억불

◈ 3대 新시장(중동·중남미·인도) 수출비중 확대

   * (’23년) 6.2% → (’24년) 8% → (’27년) 12%

◈ 유망 기업이 자생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수출기반 마련

   * 1억불 이상 수출기업·품목 확대 (’23) 21개 → (’24) 27


추진계획

1. 수출 구조·체질 개선 

• 수출업체 물류비 지원 → 수출통합조직 자생력 제고 위주 지원체계 개편

• 콜드체인·CA 등 신선 물류 인프라 구축, 개별업체 물류 협의 → 공동 협의로 비용 절감

• 수입규제 모니터링 등 통상환경 대응체계 마련(범부처 협업), R&D·수출보험 확대, 지역 농업 기반 식품 제조 수출 브랜드 육성


2. K-Food+수출영토 확장

• 3대 新시장(중동·중남미·인도), 할랄 진출 확대

• 아세안·EU 등에 시장개척요원 파견, 현지화 프로그램 지원, 美·中·日은 로컬시장 진출, 물류센터 이용 확대 등 기존 시장 내실화

• 검역해소 유망품목 수출 지원, 우선 수출검역협상 로드맵 마련


3. 한류 마케팅·온라인 수출활성화

• 농식품부 단독 마케팅 지원 → 범부처 협업*

  * 우수제품 홍보(PPL), 해외홍보관 설치(UAE)

• K-Food 로고, 안테나숍 설치 등 확대

• 글로벌 B2B 플랫폼 연계, 온라인 수출 활성화


4. 민간 투자 및협업 확대

• 대·중소기업 협업 수출 모델 발굴·추진

• 100대 유망 수출기업에 대한 전(全)주기투자 지원 등 민간 투자 활성화


5. 전후방산업 수출경쟁력 강화

• (스마트팜) 중동 등 유망국가 거점화, G2G 협력 강화

• (농기자재) 북미에서 유럽 등으로 시장 다변화 

• (동물약품) 수출용 GMP 신설, 금융지원 확대

• (펫푸드) 초기 시장 개척 집중(판로개척·시장조사)



댓글 운영정책
  • 댓글입력
댓글목록 0개
  • 댓글이 없습니다.
국별수출입, 통계조회 수출입무역통계 관세율조회 세계HS정보시스템 해외직접투자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