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제목

‘세계 최대·최고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조성방안 발표

관련국가 네덜란드, 미국, 영국, 일본, EU 관련기관 산업통상자원부
분야 산업·통상, 정보통신
개최일자 2024-01-15 등록일자 2024-01-17
담당자
사무관 라정인 유용상 권한임(산업통상자원부 / 반도체과 전력계통혁신과 기술안보과)  
사무관 용찬재 허관 홍훈표 김휘태(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기획재정담당관 원천기술과 미래인재양성과 정보통신산업정책과)  
사무관 이금석(기획재정부 / 조세특례제도과)  
사수관 김기태(금융위원회 / 산업금융과)  
사무관 조계환(국토교통부 / 산업입지정책과)  
사무관 김규환(교육부 / 인재양성지원과)  


‘세계 최대·최고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조성방안 발표


❖ 시스템 반도체 시장점유율 10% 달성, 공급망 자립률 50% 달성 목표 

❖ 622조원 투자 지원 위해 산단 지속 조성 및 전력·용수 인프라 적기 공급 

❖ 양산형 소부장 실증 테스트베드 신설, 24조원 규모 정책금융 지원으로 투자 가속화 

❖ 메가 클러스터 내 3대(판교, 수원, 평택) 연구개발·교육 거점 구축

❖ 국내외 반도체 연구 인프라를 연계(MoaFab)하여 글로벌 과학기술허브로 육성


정부는 1.15.(월), 반도체 인재양성 현장에서 ‘민생을 살찌우는 반도체 산업’을 주제로 세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 토론회」를 개최했다. 지역주민·반도체 업계·학생·젊은 연구자 등 110여명의 국민들이 모인 가운데 정부는 세계 최대·최고의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조성방안’을 보고하고, 토론회를 통해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의 성공을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는 경기 평택 · 화성 · 용인 · 이천 · 안성 · 성남 판교· 수원 등 경기 남부의 반도체 기업과 관련 기관이 밀집한 지역 일대를 의미한다.


글로벌 반도체 주도권 확보 경쟁이 ‘클러스터간 대항전’으로 전개되고 있는 상황에서,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구축을 위해 정부는 ➊ 인프라· 투자환경, ➋ 생태계, ➌ 초격차 기술, ➍ 인재를 4대 중점과제로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조성방안’을 마련했다.


메가 클러스터 인프라·투자환경 조성


1. 전력·용수 등 핵심 인프라 적기 공급


2. 매력적인 투자환경 조성


민생과 함께하는 튼튼한 반도체 생태계


1. 소부장·팹리스 경쟁력 제고를 통한 국내 반도체 밸류체인 완성


2. 글로벌 반도체 동맹 기반 공급망 강화

미국·일본·EU·영국·네덜란드 등 반도체 밸류체인 핵심국과 정상 외교를 통해 구축한 ‘글로벌 반도체 동맹’을 기반으로,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협력기반을 공고히 다져나갈 계획이다.


미국 기술 및 공급망 협력, EU와 영국 설계 및 기술 협력, 일본 화이트 리스트 복원, 네덜란드 첨단 장비 안정적 공급


먼저 네덜란드를 포함한 주요 협력국과 글로벌 공급망 협력 플랫폼을 구축하여 핵심소재 등에 대한 공급망 국제공조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해외 우수 대학・연구소 등과의 연구 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미국, EU 등 현지에 「산업기술 협력센터」를 설치하는 한편, 미국·독일 등 글로벌첨단 연구팹과 연계하여 첨단패키징 기술개발 제품 성능평가 등 기술 협력을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지난해 12월 네덜란드 국빈방문 계기 발표한 약 1조원 규모의 삼성전자와 ASML간 공동 R&D센터 국내 건립도 입지 선정 등이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다.


전 세계적인 반도체 인력부족 현상에 공동 대응하기 위해 석·박사부터 학부생을 아우르는 인력 교류 프로그램을 본격 운영할 계획이다. 지난 12월, 네덜란드 국빈방문 계기에 양국간 개설을 합의한 「한-네 첨단 반도체 아카데미」는 다음 달 1차 양성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다. 또한, 반도체 장비 주요국(미·네·일)과의 양자 수출통제 대화채널을 기반으로 무역안보 이슈 대응을 위한 공조를 강화하고, 「산업기술보호법」 개정을 통해 기술 유출에 대한 처벌과 이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는 등 국내 산업기술 보호를 위해서도 더욱 노력할 계획이다. 


AI 시대를 주도할 반도체 초격차 기술 확보


1. (판교) 저전력·고성능 AI 반도체를 활용한 K-클라우드 추진


2. (수원) 화합물 반도체 전주기 지원으로 4대 전략분야 육성


3. (평택) KAIST 차세대 반도체 R&D 허브 조성


4. 국내·외 반도체 연구 인프라(나노팹) 연계·협력체계 구축


미래 반도체를 이끌어갈 우수 인재 양성 및 해외 인재 유치


1. 수요 맞춤형 반도체 전문 인력 양성


2. 해외 우수인재 유치 및 교류 활성화



댓글 운영정책
  • 댓글입력
댓글목록 0개
  • 댓글이 없습니다.
국별수출입, 통계조회 수출입무역통계 관세율조회 세계HS정보시스템 해외직접투자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