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비즈니스를 위한 | 경제외교활용포털

서비스 이용을 위해
로그인 해주세요.

경제외교 핵심성과

합의내용

정상회담 계기에 체결한 경제분야 합의 내용입니다.

합의내용 합의기관(국내), 합의기관(해외), 관련국사, 분야, 합의일자, 장소, 담당자 항목별 순서대로 안내하는 표입니다.
한-중국 경제·통상 협력 강화
합의기관(국내) 산업통상자원부 합의기관(해외) 상무부 관련국가
중국 중국
분야 산업·통상 합의일자 2025-11-01 장소 대한민국 경주
담당자
사무관 오정훈 (산업통상자원부 / 통상협력국 동북아통상과)  



민생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한·중 경제·통상 협력 강화


❖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 중국 상무부 왕 원타오 부장과 양자 면담 개최

 무역구제 사전 소통, APEC 개최 경험 공유, 산업단지 협력 강화 등 합의



한-중국 MOU 서명 기념 촬영


산업통상부 김정관 장관은 중국 상무부 왕 원타오 부장과 11.1(토) 경주(소노캄 호텔)에서 한중상무장관회의를 개최하고, 양국의 민생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중 간 경제·통상협력을 강화하기로 하였다.


먼저 김 장관은 ‘세계를 평안하게 하려면, 먼저 협력이 있어야 한다’는 삼국지연의에서 손권과 동맹을 맺으며 제갈량이 한 말을 인용하며, 한중간 협력과 대화를 통해 당면한 현안을 해소하고 미래지향적인 한중 관계를 발전시켜 나가자고 제안하고, 한국이 금년 APEC을 성공적으로 개최하도록 지지해 준 중국측에 사의를 표하며, 내년도 중국 주최 APEC도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경험을 공유하겠다고 하였다.


양측은 WTO 중심 다자무역체제와 RCEP 차원 협력을 지속하기로하는 한편, 무역구제 조치 전 양측의 다층적인 협력채널을 통해 상호 소통하여 사안의 원만한 해소를 위해 노력하기로 하였다. 


또한, 양측은 한중 산업협력단지(한국 새만금, 중국 산둥성 옌타이, 장쑤성 옌청, 광둥성 후이저우)에서 상호 투자를 확대하고, 중국측은 새만금에 관심이 있는 기업들로 구성된 투자 조사단을 파견하기로 하였으며, 희토류를 포함한 핵심광물의 공급망 안정화를 위해 소통 채널을 활용하여 협력해 나가기로 하였다.

 

왕 부장은 가까운 시일 내 김 장관이 중국을 방문하여 양국 간 경제·통상 협력 방안에 대하여 심도 깊은 논의를 할 것을 제안하였고, 이에 김 장관은 적극 검토하겠다고 답변하였다. 


  • 관련정보 안내 입니다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