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제목

산업ODA로 카자흐스탄과 산업기술 협력 가속화

합의기관(국내)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합의기관(해외) 국가기술예측센터 외
관련국가 카자흐스탄 분야 ODA·인력양성
합의일자 2024-06-12 장소 카자흐스탄 아스타나
담당자
선임 최주혜(한국산업기술진흥원 / 산업기술ODA실)  



산업ODA로 카자흐와 산업기술 협력 가속화


❖ KIAT, 엘리베이터 R&D 파크 조성 및 희소광물 분야 기술 협력 추진키로



한국산업기술진흥원(원장 민병주, 이하 KIAT)은 12일(현지시간) 카자흐스탄 아스타나에서 ① ‘카자흐스탄 엘리베이터 연구개발(R&D) 파크’ 조성을 위한 협의의사록과 ② ‘희소광물 및 산업기술 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KIAT는 산업통상자원부 산업통상협력개발지원(ODA)의 일환으로 올해부터 100억 원을 투입하여 알마티시에 승강기 R&D 센터, 안전 시험센터, 인력양성센터 등 3개 센터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 수행기관 :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오페주식회사, 한국승강기대학교 산학협력단, 경남테크노파크


오는 2028년 말까지 조성될 엘리베이터 R&D 파크는 카자흐스탄의 승강기 자체 생산 역량 강화를 지원하기 위해 추진하는 것이다.


현재 카자스흐탄의 엘리베이터 산업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시설 노후화로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번 사업이 카자흐스탄 엘리베이터 부품 수입 의존도를 낮추는 계기가 되는 한편, 표준화된 부품 개발을 위해 양국 관련 기업들 간 협력도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KIAT는 이와 함께 카자흐 국가기술예측센터(이하 NCTF)*와 희소금속 및 산업기술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국가기술예측센터(NCTF : National Center for Technology Foresight) : 카자흐스탄 산업건설부 산하기관 중 하나로, 생명과학, 기계공학, 에너지, 화학 등 산업기술 분야 전반의 사업화·혁신 기술 이전·투자 유치 등 담당


양 기관은 희소금속을 우선순위로 하여 협력 방안을 찾고, 향후 자동차 등으로 협력을 확대해 가기로 했다.


이날 체결식은 한국-카자흐스탄 비즈니스 포럼에서 한국 산업통상자원부와 카자흐스탄 산업건설부 장관 임석하에 진행되었다.


민병주 KIAT 원장은 “우리가 보유한 산업기술 역량을 카자흐스탄과 공유함으로써 동반성장의 기반을 다지게 되어 기쁘다”며, “중앙아시아 최대 교역국인 카자스흐탄과 산업기술 전반에 걸친 협력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댓글 운영정책
  • 댓글입력
댓글목록 0개
  • 댓글이 없습니다.
국별수출입, 통계조회 수출입무역통계 관세율조회 세계HS정보시스템 해외직접투자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