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제목

한-카자흐스탄 과학기술・디지털 협력 강화

합의기관(국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합의기관(해외) 과학고등교육부
관련국가 카자흐스탄 분야 ODA·인력양성, 과학기술, 자원·에너지
합의일자 2024-06-12 장소 카자흐스탄 아스타나
담당자
주무관 최선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미주아시아협력담당관)  



과기정통부, 카자흐스탄과 과학기술・디지털 협력 강화하기로


❖ 한-카자흐스탄 과학기술협력 양해각서(MOU) 체결 등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윤석열 대통령의 카자흐스탄 국빈 방문을 계기로 양국 간 과학기술분야 협력 양해 각서를 체결하는 등 과학기술・디지털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카자흐스탄은 천연자원이 풍부하며 중앙아시아에서 한국과의 경제협력 규모*가 최대인 국가이다. 금번 협력 체계 강화는 양국의 협력관계를 과학기술・디지털로 확장하고 실질적 협력과 투자 확대를 촉진 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교역규모(’23, KITA) 55.4억불(수출 19.7억불(자동차・부품 등), 수입 35.7억불(원유・우라늄 등))


과학기술분야 협력 MOU 체결


이종호 장관은 6.12.(목) 대통령궁에서 카자흐스탄의 사야삿 누르백(Sayasat NURBEK) 과학고등교육부* 장관과 한-카자흐스탄 간 과학기술분야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하였다. 동 양해 각서는 카자흐스탄 볼라샥(Bolashak) 프로그램**을 통해 선정된 우수 연구 인력에 대한 교류 협력과 양국 고등교육기관・연구기관 간 협력을 지원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 Ministry of Science and Higher Education

** 국제장학프로그램 및 과학자 인턴십 프로그램 : 캄심조마르트 토카예프 대통령 지시로 매년 500여명의 과학자를 해외 선진 연구 기관에 인턴십 형식으로 파견 (프로그램명 '볼라샥(Bolashak)'은 카자흐스탄어로 '미래'를 의미)


카자흐스탄 우수 과학기술 인재 간담회 및 기관 간 협력


이종호 장관은 양해 각서 체결에 앞서 6.11.(화) 오후 나자르바예프대학교(Nazarbayev University)에서 한국 유학・연구 경험이 있는 카자흐스탄 우수 과학기술 인재와의 간담회를 갖고, 양국 청년교류 확대를 위한 의견을 청취하고 한-카자흐스탄 간 협력의 가교역할을 당부하였다. 동 간담회에는 사야삿 누르백 과학고등교육부 장관도 함께 참석하여 양국 간 인력교류 협력에 대한 적극적 지지를 표명하였다.


동 간담회에서는 기관 간 협력에 대한 양해 각서 체결도 이루어졌다. KAIST는 카자흐스탄 JSC 국제교류 센터* 부의장(의장 대행)과 기관 간 인력교류 등 포괄적 협력에 대해 합의하였다. 카자흐스탄 과학고등교육부는 과학기술 인재 육성에 대한 강한 의지와 한국과학기술원(KAIST)를 모델로 하는 기관(Kaz-AIST)을 신설하고자 하는 계획을 밝히고 KAIST의 협력을 요청한 바 있다. 금번 KAIST의 카자흐스탄 기관과의 양해 각서 체결을 계기로 Kaz-AIST 설립 협력에 대한 논의도 본격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 Center for International Programs, Joint Stock Company : 2005년 법령 제301호에 따라 설립한 과학고등교육부 산하 기관(국가 100% 자본 참여)으로 볼라샥 등 국제 프로그램 지원


디지털개발・혁신 및 항공우주부 장관 면담


이종호 장관은 6.12.(수) 오후 카자흐스탄 자슬란 마디예프(Zhaslan MADIYEV) 디지털개발・혁신 및 항공우주부* 장관과 면담을 가질 예정이다. 디지털 분야의 급속한 기술 발전 속도에 맞춰 양국의 협력도 변화가 필요한 만큼, 양 장관은 이미 협력중인 IT 협력 프로젝트** 외에 더욱 다양한 분야에서 상호 호혜적으로 협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협력 양해 각서를 조속히 체결하기로 하였다.


* Ministry of Digital Development, Innovations and Aerospace Industry

** 카자흐스탄 빅데이터/클라우드 분야 공동협력과제 수행 및 기술・경험 교류(’23⁓’25, 각 100만불)


이종호 장관은 “양국은 2009년 전략적 동반자 관계가 되면서 정치, 경제, 교육,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해 왔으나 카자흐스탄이 기술을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삼으면서 양국의 협력 분야도 과학기술과 ICT 분야로 확장이 필요하다”고 하면서, “오늘의 협력 강화 논의를 계기로 카자흐스탄의 우수한 인적자원을 유치하고 우리의 과학기술과 디지털기업 진출이 활성화 되기를 기대한다” 라고 밝혔다.



댓글 운영정책
  • 댓글입력
댓글목록 0개
  • 댓글이 없습니다.
국별수출입, 통계조회 수출입무역통계 관세율조회 세계HS정보시스템 해외직접투자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