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비즈니스를 위한 | 경제외교활용포털

서비스 이용을 위해
로그인 해주세요.

경제외교 핵심성과

합의내용

정상회담 계기에 체결한 경제분야 합의 내용입니다.

합의내용 합의기관(국내), 합의기관(해외), 관련국사, 분야, 합의일자, 장소, 담당자 항목별 순서대로 안내하는 표입니다.
한-영국 산업기술혁신 파트너십
합의기관(국내)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합의기관(해외) 혁신청 관련국가
영국 영국
분야 정보통신 합의일자 2023-11-22 장소 영국 런던
담당자
선임 이재완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국제협력사업실)  


한국-영국 산업기술혁신 파트너십 체결

KIAT, 英 영국 혁신청과 AI, 반도체 분야 등의 공동R&D 추진


한국과 영국 간 국제 기술협력을 양자공동 형태로 AI와 반도체 분야 등으로 확대하여 추진한다.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이하 KIAT, 원장 민병주)은 영국 국빈 방문을 계기로, 22일 오전(현지시간) 런던에서 영국 혁신청(Innovate UK, CEO 인드로 무케르지)과 분야 확대를 포함한 양자공동R&D 추진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MOU는 방문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케미 베이드녹(Kemi Badenoch) 영국 기업통상부 장관 임석하에 체결되었다.


이를 통해 AI, 반도체 등 4개*의 중점 협력 분야를 중심으로 양국간 별도 예산을 통해 양국의 기업에게 R&D를 지원한다.


* 분야 : 인공지능(AI), 반도체(Semiconductor), 첨단제조 및 재료(Advanced Manufacturing and Material), 차세대 모빌리티(Future Mobility including battery technology)


MOU 서명식 기념촬영


양국의 산업기술협력은 ’12년 글로벌산학협력 프로그램을 시작으로 유레카 기반의 민간 수요중심의 R&D를 지원해왔다.


바이오, 화학 등 분야에서 현재까지 양국간 총 29개의 과제(한국측 지원금 375억원)에 대해 R&D 협력이 이루어졌다.


그간 협력을 바탕으로, 양국 STIP*위원회(’20)를 통해 양국의 전략적 협력을 위한 양자공동 펀딩형 R&D 추진에 합의하였고, 이번 결과로까지 이어졌다. 


* 한-영 과학기술 협력협정(’04년)에 따라 양국간 공동연구 방향, 협력 활성화 논의 


KIAT는 이번 MOU의 후속 조치로 ’24년도 한국-영국 국제공동 R&D 과제에 연구개발 자금을 지원할 계획이며, 앞서 말한 AI, 반도체, 첨단제조 및 재료, 차세대 모빌리티 분야를 중심으로 지원한다.


지원 방법 및 세부 내용은 ’24년 초 KIAT 홈페이지(www.kiat.or.kr) 사업공고에서 확인할 수 있다.


민병주 KIAT 원장은 “첨단 기술의 전략적 중요성이 국가 안보 차원으로 격상되고 있다”며 “AI와 반도체에 강점이 있는 양국이 전략적 기술협력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선도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 관련정보 안내 입니다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