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비즈니스를 위한 | 경제외교활용포털

서비스 이용을 위해
로그인 해주세요.

홍보자료실

언론보도

경제외교 성과에 대한 기사 스크랩과 경제사절단 참가업체 및 외부 전문가 기고문 게시판입니다.

언론보도 목록 제목, 관련국가, 보도일자, 언론사, 담당자 항목별 순서대로 안내하는 표입니다.
수출입銀, ‘사우디 Desk’ 설치···중동사업 전담 창구 역할
관련국가 사우디아라비아 언론사 파이낸셜 보도일자 2024-01-25
담당자
팀장 김응화 (한국수출입은행 / 인프라금융부 인프라산업팀)  


수출입銀, ‘사우디 Desk’ 설치…중동사업 전담 창구 역할


❖ 네옴시티 등 사우디아라비아 핵심 프로젝트 수주 위한 금융 지원 채비

❖ 기업상담, 금융협의 지원, 발주처 네트워크 관리 등 사우디 프로젝트 금융지원 강화 


한국수출입은행(www.koreaexim.go.kr, 은행장 윤희성, 이하 ‘수은’)은 사우디 등 중동 프로젝트 지원을 위한 ‘사우디 Desk’를 설치‧운영한다고 25일 밝혔다. 


수은의 ‘사우디 Desk’는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 사업과 관련해 전담 창구 역할을 맡을 방침이다.


구체적으로 ▲ 고객기업 상담 전담 창구  사업 초기 금융협의 지원 및 시장조사  핵심 발주처‧사업주 네트워크 관리 ▲ 효과적인 금융지원 정책 마련 등 사우디 프로젝트 금융지원을 위한 다양한 업무를 수행할 계획이다.

 

사우디 리야드에 파견된 수은 주재원은 유망사업 발굴과 발주처와 협력 채널 구축, 현지 기업 상담 등 한국기업의 중동 프로젝트 수주를 위한 밀착형 현지 지원으로 본점과 협업을 펼칠 예정이다. 

 

사우디아라비아는 한국기업의 전통적인 핵심 수주 시장*이다.


* 한국기업의 사우디 해외건설 수주 실적 : 2021년 57억달러(1위 수주국가), 2022년 35억달러(2위 수주국가), 2023년 95억달러(2위 수주국가)


네옴시티 등 ’Vision 2030’ 프로젝트와 관련한 대형사업 발주가 이어지고 있어 향후 한국기업의 수주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도급사업뿐만 아니라 투자개발형 및 신재생에너지 사업 등 고부가가치 사업 발주가 예상되고 있어 한국기업의 수주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선 수은의 선제적인 금융지원이 필수 요건*이다. 


* 우리 기업이 방산, 발전소, 플랜트, 선박 등 대규모 해외사업 수주에 나설 때 해당국 발주자(외국기업‧외국정부)는 사업에 필요한 재원이 필요하기 때문에 우리 기업에 금융주선까지 요청해오는 경우가 많음. 이런 경우 수은의 선제적 금융지원은 해외사업 수주를 위한 필수 요건임.


수은 관계자는 “사우디는 인프라·친환경에너지 프로젝트 등 대규모 발주가 기대되는 주요 수주 대상국이기 때문에 수은이 사업 초기 금융협의 지원과 핵심 발주처 네트워크 관리 등 사우디 Desk 운영을 통한 맞춤형 금융지원으로 한국기업의 수주경쟁력 강화에 나선 것이다”면서


“수은은 新중동붐 확산과 정부의 「’24년 인프라‧방산‧원전 등 해외수주 570억 달러 달성」이라는 정책목표 달성을 위해 전방위적인 금융지원에 나설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수은은 지금까지 승인액 기준 사우디 396억 달러, UAE 355억 달러, 카타르 144억 달러 등 중동 지역에 약 1610억 달러 규모의 금융을 지원했다. 


특히 수은은 중동 핵심 발주처인 사우디 Aramco 및 UAE ADNOC과 각각 60억 달러(2023년) 및 50억 달러(2022년)의 기본여신약정(F/A)*을 체결한 바 있다. 


* Framework Agreement(기본여신약정): 해외 우량 발주처를 대상으로 금융지원 한도금액과 지원절차 등 지원조건을 ‘사전’에 확정한 후, 우리 기업의 해외사업 수주, 합작투자 등 개별지원 대상거래에 대해 신속히 금융을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