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제목

한-아프리카 비즈니스 파트너십

주최기관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압부 조달청 주관기관 KOTRA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관련국가 아프리카 분야 무역·투자, 건설·플랜트, 정보통신, 자원·에너지, 보건·의료
개최일자 2024-06-04 장소 대한민국 서울
담당자
전문관 장다연(산업통상자원부 / 중동아프리카통상과)  
과장 추주은(KOTRA / 경제협력총괄팀)  
사무관 정미라(중소벤처기업부 / 국제협력통상과)  
사무관 최병권(조달청 / 국제협력담당관)  



한-아프리카 정상회의 계기, 아프리카 비즈니스 협력 본격화


❖ 5개 부처·기관(산업부·중기부·조달청·KOTRA·중진공) 공동 「한-阿 비즈니스 파트너십」 개최

❖ 무역, 프로젝트, 공급망 등 한-아프리카 17개국, 총 249개 기업 참여



한-아프리카 비즈니스 파트너십 상담회 현장 모습


❚ 산업통상자원부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는 2024 한-아프리카 정상회의(6.4~6.5, 서울) 계기 경제협력 기회 확대를 위해 6.4.(화) 코엑스 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중소벤처기업부, 조달청과 공동 주최하고 KOTRA, 중진공이 공동 주관하는 「2024 한-아프리카 비즈니스 파트너십」 행사를 개최하였다.


17개 아프리카 국가에서 ▲무역(ICT/자동차/소비재/의료/기자재 등), ▲에너지·플랜트(교통·건설 및 에너지 분야 민간/공공발주처), ▲핵심광물(광업 분야 기업·기관) 등 총 3개 분야의 55개 기업이 한국을 찾아, 194개 한국 기업과 508건의 상담이 이뤄졌다. 총 계약추진액은 1억 87만 달러에 달해 한국과 아프리카 간 수출 다변화, 프로젝트 수주 확대, 공급망 협력 강화 등 성과가 기대된다.


한국 식품을 수출·유통하는 A사는 남아프리카공화국 M사와 상담 이후 현장에서 약 100만 달러의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 A사는 “남아공은 매우 안정적이고 지역 내 발달한 인프라를 보유한 국가로 인근국 수출의 관문 역할을 하는 중요한 시장”이라며, “아프리카 대륙에서도 한류가 인기를 끌자 라면, 스낵 등 K-푸드의 수요도 상승하고 있는 것을 느낀다”고 기대감을 내비쳤다.


가전용 원자재 및 가전을 생산·판매하는 W사는 이번 파트너십에서 그간 협력을 논의해오던 케냐 D사 및 에티오피아 B사와 동아프리카 가전시장에 첫 발을 내딛기 위한 제조시설 투자 진출 JV설립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실제 투자로 이어질 경우, 케냐 및 에티오피아에 제조시설을 투자설립하는 국내 1호 기업이 될 예정이다.


5개 부처 및 기관이 공동으로 추진한 이번 행사는 국내서 개최되는 아프리카 단독 비즈니스 상담회로는 역대 최초이자 최대 규모로, 글로벌 사우스 협력 확대를 위한 핵심 지역인 아프리카와 상호호혜적인 경제 협력 확대에 대한 의지를 재확인했다.


한편, 산업통상자원부와 KOTRA를 비롯한 5개 부처·기관은 이번 행사에서 이뤄진 다양한 논의들이 실제 수출 계약 및 프로젝트 수주 등 비즈니스 협력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KOTRA 본사와 아프리카 소재 지역본부 및 13개 무역관을 중심으로 후속 지원을 지속해 나갈 예정이다.



「한-아프리카 비즈니스 파트너십」 개요 및 성과


ㅇ (주최/주관) 주최산업부·중기부·조달청 / 주관KOTRA·중진공 

ㅇ (일시/장소) ’24.6.4.(화) 10:00~18:00, 코엑스 인터컨티넨탈(하모니볼룸) 

ㅇ (참석대상) 

 - (韓측) 수출기업, 엔지니어링 기업, 광물 구매처 194개사 

 - (阿측) 주요기업, 인프라·플랜트 발주처, 광물기관 55개사



아프리카 참가기업


 (국가별) 모잠비크(13), 가나(6), 케냐(5), 이집트(4), 남아공(4), 코트디부아르(3), 알제리(3), 탄자니아(3), 에티오피아(3), 나이지리아(2), 우간다(2), 말리(2), 튀니지(1), 르완다(1), 지부티(1), 리비아(1), 에스와티니(1) 

 (분야별) 건설·교통·인프라(13), 소부장(11), 의료바이오(11), 소비재(6), ICT(6), 에너지(5), 광물(3)


ㅇ (행사내용) 무역, 인프라·플랜트, 공급망 등 3개 분야 1:1 상담진행


ㅇ (성과요약) 

 - 한국 참가기업 194개사, 아프리카 참가기업 55개사

 - 현장 계약 및 MOU 22건 57.9백만 달러

 - 상담 실적 (계약추진액) 508건 1억 87만 달러

 * 계약추진액 : 국내기업이 유망하다고 판단한 상담 중 1년 이내 성과가 예상되는 금액


ㅇ 주요 성과 사례

 - 효성과 모잠비크 전력청(EDM)의 수주계약

▸모잠비크 변전소 노후화 장비 교체 사업 수주계약 

▸계약액 : 3천만불

 - 오영과 이집트 Alrowad Chemicals의 수출계약

▸반응성 염료(원단용) 공급계약

▸계약액 : 1천만불

 - 와이즈 브릿지와 케냐 DL Group, 에티오피아 BKG의 투자진출

▸백색가전 제조·조립 공장 설립을 위한 JV 계약

▸계약액 : 각 4.4천만불



❚ KOTRA



산업부·KOTRA, 글로벌 사우스의 중심인 

아프리카와 비즈니스 협력 확대한다


❖ 한-阿 정상회의 연계, 「한-阿 비즈니스 파트너십」 성황리에 개최

❖ 아프리카 17개국 55개사 방한, 우리기업 194여개사와 1:1 상담

❖ 아프리카와의 수출 다변화, 프로젝트 수주 확대, 공급망 협력 강화 기대



상담회 현장모습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 이하 산업부)와 KOTRA(사장 유정열)는 ‘2024 한-아프리카 정상회의’(6.4~6.5, 서울)를 계기로 한-아 경제협력 성과를 확대하기 위해 6월 4일 코엑스 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한-아프리카 비즈니스 파트너십’을 개최하였다. 이번 행사는 산업부와 중소벤처기업부, 조달청이 공동 주최하고 KOTRA,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이 공동 주관했다.


아프리카 전역의 17개국, 55개사와 한국기업 194개사가 참여한 이번 행사는 무역, 에너지·플랜트, 공급망 등 세 분야에서 일대일 상담을 통해 양국 간 경제 협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마련됐다. ▲무역(ICT/소비재/의료 등)상담회에는 아프리카 주요 기업 및 유통망 43개사가 참여하여 한국의 수출기업과 일대일 상담을 진행했으며, ▲에너지·플랜트 (건설·에너지) 상담회에는 아프리카 국별 주요 발주처 9개사가 참여하여 한국의 엔지니어링 기업과 상담을 진행했다. 또한, ▲공급망(광물) 상담회에는 아프리카의 광산주 및 광물자원 관리기관 3개사가 참여하여 한국의 광물 수요처와 연결하는 구매 상담이 이루어졌다.


상담테이블 상담테이블


특히 이번 한-아프리카 비즈니스 파트너십을 계기로 16건의 현장 계약과 6건의 MOU가 이루어졌다. 의료용 산소발생기를 제조·수출하는 O사는 가나의 의료기기 유통기업 N사와 300만 달러 규모의 산소발생기 납품 계약을 체결했다. O사 관계자는 “한-아프리카 정상회의 연계 수출상담회를 계기로 기존 거래처와의 신뢰를 더욱 돈독히 하고, 신규 협력 파트너사를 발굴할 수 있었다”고 소감을 전했다.


‘한-아프리카 비즈니스 파트너십’ 현장에서 유정열 KOTRA 사장(왼쪽)이 난굴라 우안자(Nangula Uaandja, 오른쪽) 나미비아 투자진흥개발위원회 위원장과 무역·투자 협력 MOU를 체결하고 있다.


이번 행사를 계기로 방한한 기업들의 소회도 특별했다. 모잠비크에서 세계 최대 흑연 광산을 운영하는 S사 관계자는 “한국과의 흑연 공급 협력을 통해 모잠비크의 자원 개발과 경제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흑연은 큰 에너지 용량과 안정성이 입증되어 전기차용 배터리 음극제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광물이다.


유정열 KOTRA 사장은 “이번 한-아프리카 비즈니스 파트너십을 통해 양국 기업들이 상호 협력하여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KOTRA는 아프리카와의 협력을 통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상호 이익을 창출하는 다양한 지원사업을 지속해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한-아프리카 비즈니스 파트너십’에 참석한 주요 인사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보도자료
댓글 운영정책
  • 댓글입력
댓글목록 0개
  •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