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비즈니스를 위한 | 경제외교활용포털

서비스 이용을 위해
로그인 해주세요.

해외시장 정보

달라지는 비즈니스 환경

정상회담을 계기로 개선된 비즈니스 환경을 소개합니다. 양국간 합의에 따른 금융·인증·비자 등 제도의 변화된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달라지는 비즈니스 환경 목록 관련국가, 분야, 담당자, 등록일자 항목별 순서대로 안내하는 표입니다.
CEPA 발효 후 우리 기업의 수출 증대 기대: 수출 통계로 보는 한-UAE 교역 동향
관련국가 아랍에미리트 분야 보건·의료, 산업·통상, 건설·플랜트, 농림축산식품, 자원·에너지
담당자
박혜수 (KOTRA / 두바이무역관)  
등록일자 2024-11-29

 

수출 통계로 보는 한-UAE 교역 동향


❖ 2024년 9월 기준, 한-UAE 양국간 교역액 약 179억 달러, 전년동기대비 17.5% 증가 

❖ 올해 5월 체결된 한-UAE CEPA 협정의 발효 후 우리 기업의 수출 증대 기대


한-UAE 교역 동향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UAE는 한국의 14대 교역국으로서 2023년 기준 對UAE 수출액은 44억 달러, 수입액은 164억 달러로 무역규모는 약 208억 달러를 기록했다. 한국의 對UAE 수출은 2011년에 73억 달러로 최고점을 기록한 후 2019년 35억 달러까지 감소했으며, 이후 2023년까지 연평균 6.3%씩 증가했다. UAE로부터의 원유 수입 비중이 높은 한-UAE 교역 특성상 對UAE 수입규모는 국제원유가격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진다. 2024년 국제유가는 상방 요인과 하방 요인이 교차하면서 전년과 유사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對UAE 수입규모도 전년과 비슷하게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


2013~2024년 한-UAE 무역 규모

(단위: 천 USD) 

2013~2024년 한-UAE 무역 규모

연도

수출

수입

무역규모

무역수지

2013

5,737,664

18,122,897

23,860,561

△12,385,233

2014

7,211,628

16,194,256

23,405,884

△8,982,628

2015

6,076,775

8,614,672

14,691,447

△ 2,537,897

2016

5,869,962

6,941,053

12,811,015

△1,071,091

2017

5,388,883

9,557,058

14,945,941

△4,168,175

2018

4,588,472

9,287,378

13,875,850

△4,698,906

2019

3,469,772

8,991,147

12,460,919

△5,521,375

2020

3,653,611

5,692,741

9,346,352

△2,039,130

2021

3,974,772

7,318,737

11,293,509

△3,343,965

2022

3,966,846

15,492,751

19,459,597

△11,525,905

2023

4,432,061

16,422,761

20,854,822

△11,990,700

2023. 9.

3,275,973

11,965,696

15,241,669

△8,689,722

2024. 9.

3,846,534

14,067,413

17,913,947

△10,220,879

자료 : 한국무역협회, KOTRA 두바이무역관 종합


2024년 9월 기준 한-UAE 총 교역액은 179억1394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17.5% 증가했다. 아울러 對UAE 수출액은 총 38억4653만 달러로 17.4% 증가했으며 對UAE 수입액은 140억6741만 달러로 17.6% 증가했다. 


한국은 전통적으로 에너지 수입 의존도가 높아 UAE와의 교역에서 적자를 보는 구조다. 최근 유가 상승으로 인해 2023년 對UAE 무역적자는 전년 대비 4% 증가한 약 120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2024년 9월 기준 전년동기대비 17.6% 증가했다. 


한국의 對UAE 수출 동향


2020~2024년 對UAE 품목별 수출액

(MTI 3단위 기준, 단위: 천 USD) 

2020~2024년 對UAE 품목별 수출액

순위

품목

2020

2021

2022

2023

2023. 9

2024. 9.

증감률(YoY)

1

자동차

136,207

186,069

337,793

482,905

340,388

395,352

16.2

2

자동차부품

290,802

360,361

339,377

351,436

266,128

282,884

6.3

3

석유제품

57,606

179,602

155,532

203,412

142,857

209,788

46.9

4

우라늄

147,758

182,587

64,819

305,293

213,999

166,542

△22.2

5

기호식품

235,913

162,520

177,505

193,660

152,704

158,839

4.0

6

원동기·펌프

143,197

154,895

128,401

137,610

105,544

140,507

33.1

7

공기조절기·냉난방기

122,447

109,999

80,318

123,229

86,336

129,959

50.5

8

합성수지

96,399

148,616

186,957

157,372

126,698

128,453

1.4

9

주화

-

-

-

21,863

-

125,996

-

10

누·치약·화장품

31,820

43,261

58,946

90,290

63,845

123,877

94.0

11

고무제품

106,287

103,855

117,930

113,267

88,917

109,100

22.7

12

무선통신기기

120,062

118,697

88,296

88,245

66,594

100,072

50.3

13

기타석유화학제품

80,395

94,254

98,144

96,304

75,048

85,331

13.7

14

컴퓨터

50,499

62,683

100,787

82,929

60,301

81,445

35.1

15

인조장섬유직물

37,596

57,317

76,469

94,628

70,297

78,826

12.1

16

철강판

121,289

74,250

128,193

96,822

71,162

78,618

10.5

17

플라스틱 제품

60,257

51,647

63,841

56,712

42,249

64,175

51.9

18

건설광산기계

33,058

40,512

45,510

63,945

50,283

57,868

15.1

19

건전지·축전지

101,815

78,448

64,785

59,083

48,348

57,074

18.1

20

철강관·철강선

95,138

50,453

52,076

84,187

63,338

54,689

△13.7

총 수출액

3,653,611

3,974,772

3,966,846

4,432,061

3,275,973

3,846,534

17.4

자료 : 한국무역협회, KOTRA 두바이무역관 종합


2024년 9월 기준 對UAE 상위 5개 수출 품목에는 자동차(3억9535만 달러), 자동차부품(2억8288만 달러), 석유제품(2억978만 달러), 우라늄(1억6654만 달러), 기호식품(1억5883만 달러)이 있다. 더불어 전년 동기 대비 호조세를 보이는 품목에는 비누, 치약 및 화장품(94.0%), 플라스틱 제품(51.9%), 공기조절기 및 냉난방기(50.5%), 무선통신기기(50.3%), 석유제품(46.9%), 컴퓨터(35.1%), 원동기 및 펌프(33.1%) 등이 있다. 


자동차의 경우, 對UAE 수출의 10.3%를 차지하며 꾸준히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020년부터 2023년까지 3년간 연평균 84.8% 성장률을 달성했으며, 2024년 9월에는 전년동기대비 16.2% 성장률을 기록했다. 석유제품 수출은 2020년부터 2023년까지 3년 평균 84.3%의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2024년 9월 기준 전년동기대비 46.9% 성장했다. 우라늄의 경우, 바라카 원전 가동에 따라 2020년부터 지속적으로 수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아울러 한류 확산과 더불어 한국산 화장품 수요가 늘어나며 2024년 상반기 전 세계 수출 9위를 기록했다. 화장품 수출액은 2013년 824만 달러(81위)에서 연평균 27%씩 증가해 2023년에는 8,972만 달러(12위)를 기록했으며, 올해도 증가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UAE는 한류의 긍정적 파급효과가 두드러지는 국가이며, 높은 구매력을 바탕으로 향후 뷰티 등 한국 콘텐츠 소비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의 對UAE 수입 동향


2020~2024년 對UAE 품목별 수입액

(MTI 3단위 기준, 단위: 천 USD)

순위

품목

2020

2021

2022

2023

2023. 9.

2024. 9.

증감률(YoY)

1

원유

3,601,531

3,767,712

9,224,971

9,799,588

6,907,138

9,264,059

34.1

2

석유제품

1,584,348

2,700,684

4,649,537

5,311,265

4,050,020

4,066,909

0.4

3

알루미늄

197,898

355,429

400,106

235,656

179,068

208,052

16.2

4

천연가스

56,547

153,853

639,640

465,901

361,570

123,351

65.9

5

동광

31,741

63,214

143,457

103,251

91,521

118,587

29.6

6

동제품

55,647

120,257

114,995

118,066

90,658

81,831

9.7

7

기타금속광물

1,962

13,573

136,913

78,994

63,583

50,806

△20.1

8

LPG

13,463

39,934

41,534

16,540

-

32,292

-

9

금은·백금

5183

199

400

368

321

24,328

7478.8

10

합금철·선철·고철

590

325

878

4,325

1,586

9,777

516.5

11

합성수지

5,860

5,481

7,960

6,434

4,596

7,839

70.6

12

기타중전기기

199

39

3,018

4,074

3,166

4,223

33.4

13

철강재용기·체인

10,095

4,148

9,290

13,634

13,634

3,962

△70.9

14

컴퓨터

524

365

394

402

365

3,778

935.1

15

농산가공품

2,362

880

1,312

3,903

2,922

3,417

16.9

16

축산가공품

267

363

267

221

162

2,360

1356.8

17

무선통신기기

1,725

2,939

2,213

3,037

2,351

2,004

△14.8

18

시멘트

239

1,211

2,156

1,714

1,395

1,848

32.5

19

곡실류

524

969

600

1,577

1,150

1,188

3.3

20

기계요소

283

622

444

1,135

870

1,152

32.4

총수입액

5,692,741

7,318,737

15,492,751

16,422,761

11,965,696

14,067,413

17.6

자료 : 한국무역협회, KOTRA 두바이무역관 종합


2024년 9월 기준 對UAE 상위 5개 수입 품목에는 원유(92억6405만 달러), 석유제품(40억6690만 달러), 알루미늄(2억805만 달러), 천연가스(1억2335만 달러), 동광(1억1858만 달러)이 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2023년 기준, UAE는 한국의 3대 원유 수입국*으로서 전체 원유 수입액(862억 달러) 중 11%를 UAE로부터 수입했다. 


* 사우디아라비아(35%), 미국(14%), UAE(11%), 쿠웨이트(10%), 이라크(9%) 순


제조업이 약한 UAE의 특성상 한국의 對UAE 상위 수입품목의 대부분이 원유, 천연자원, 광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러-우 전쟁에 따른 對러제재의 영향으로 최근 국내 석유 화학사들이 러시아 대신 UAE, 인도, 카타르 등에서 나프타를 대량으로 수입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한-UAE CEPA 주요 내용


최근 자유무역협정인 ‘한-UAE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CEPA)'이 정식 서명되면서 우리 기업의 수출 증대와 안정적인 원재료 수급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한-UAE CEPA의 상품시장 개방 수준은 품목 수 기준 한국 92.3%, UAE 91.2%이며, 수입액 기준으로는 발효 후 10년에 걸쳐 한국은 72.3%, UAE는 82.0%를 개방하게 된다. 


양국 주요 양허 품목


양국 주요 양허 품목

분류

UAE

한국

즉시 철폐

의료기기, 선박용부품, 인삼류, 직물, 과실류, 주요 자동차부품(섀시 등), 주얼리, 밸브, 문구, 기타정밀화학제품, 무기류, 김, 멸치(건조) 등

대추야자, LNG/LPG, 알루미늄괴및스트랩, 기타식물성유지(카놀라유), 백시멘트, 신발 등

5년 철폐

화장품, 방사선기기, 항공기엔진, 기계류, 압연기,폴리에스테르섬유, 조미김, 오징어 등

두류, 빵, 꿀, 대리석, 기타석유화학제품, 기타고무제품, 수산부산물(어류기름), 화장품 등

10년 철폐

승용차, 전기차, 하이브리드차, 화물자동차, 합성수지, 기타조명기기, 항공기∙철도차량 부품, 원동기, 냉장고, 세탁기, 공기조절기, 휘발유, 제트유, 쇠고기, 닭고기, 면류(라면), 전복, 고등어(냉동) 등

원유, 벙커C유, 합성수지, 합성섬유, 연괴, 알루미늄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기타플라스틱제품, 포트랜드시멘트, 버터, 밀가루, 양고기 등

관세 감축

나프타(5년간 5% -> 2.5%)

나프타(5년간 0.5% -> 0.25%)

자료 : 산업통상자원부


UAE는 우리의 주요 수출 품목인 자동차와 자동차부품에 대한 관세를 철폐하기로 했으며, 이로 인해 우리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들의 수혜가 예상된다. 특히 10인 이상 수송용 자동차와 화물용 자동차에 대해서는 즉시 또는 최대 10년에 걸쳐 관세가 사라져 5천억 달러 규모의 건설 프로젝트가 진행중인 UAE로의 수출 활성화가 기대된다. 또한 탄소중립 목표를 선언한 UAE 내 친환경차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는 가운데, 양허 품목인 자동차에 승용차, 화물차뿐만 아니라 전기차, 하이브리드차 등 친환경차가 포함되었다는 점에서 시장 선점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더불어 한류 열풍으로 인해 꾸준히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화장품에 대해서도 최장 10년간 관세가 철폐될 예정이다. 특히 입술 및 눈화장용 제품, 매니큐어 등에 대한 관세가 발효 즉시 철폐되고, 기타 메이크업 제품에 대해서는 5년~10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철폐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의료기기는 과반수 품목에 대한 관세가 즉시 철폐되어 의료기기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UAE 시장으로의 수출 확대가 전망된다. 


한편, UAE 측은 금지되는 품목과 특별관심품목을 지정해 자유무역협정의 협상 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다. 금지 품목은 주로 UAE에서 수입 자체를 금하고 있는 품목이며, 특별관심품목은 규제 대상인 경우에 해당된다. 한국의 주요 수출품목 중 하나인 담배가 이에 포함되어 협상 대상에서 배제되었다.



UAE 측 금지 및 특별관심품목


- 금지품목 : 씹는 담배, 산동물, 상아, 마약류, 석면제품, 폐타이어 등 

- 특별관심품목 : 전자 및 제조담배, 돼지고기 및 가공식품, 주류 및 주류 포함 식품



아울러 서비스 무역 개방으로 UAE 내 K-콘텐츠 입지를 더욱 확고히 할 수 있을 전망이다. UAE는 최초로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장을 개방하는 데 합의했으며 기체결한 협정 중 최고 수준으로 시청각 서비스를 개방함에 따라 한국의 온라인 게임, 드라마, 영화, 음악 등 콘텐츠 수출이 보다 용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소규모 의료기관의 현지 개원 및 원격 진료를 허용할 예정이다. 2014년부터 서울대병원이 UAE 셰이크칼리파전문병원을 위탁 운영 중이며 최근에는 아산병원이 2026년 개원을 목표로 UAE에 소화기 전문병원(65병상)을 설립한다는 소식이 전해지기도 했다. 


그 외에도 양국은 14개 주요 분야 내 경제 협력 체계를 마련, 강화하기로 했다. 14개 주요 분야로는 에너지∙자원, 첨단산업, 순환경제, 시청각서비스∙공동제작, 스마트팜, 보건산업, 관광, 수송, 해상운송, 디지털경제∙무역, 귀금속, 공급망, 경쟁, 바이오경제 등이 포함된다. 특히 스마트팜 분야는 UAE가 식량안보를 강화하기 위한 주요 수단으로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어 양국 협력이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수소 및 신재생에너지 기술 개발 및 인프라 프로젝트 협력 기회도 늘어날 전망이다. 


UAE는 높은 구매력을 갖고 있는 매력적인 수출시장


최근 세계은행(World Bank)에서 발표한 최신 중동·북아프리카(MENA) 경제 분석 자료에 따르면, UAE의 GDP 성장률은 2024년 3.3%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2025년에는 4.1%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UAE가 2024년 1인당 실질 GDP 성장률 2.5%, 2025년 3.4%로 MENA 지역을 선도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으며, 非석유 부문의 견고한 성장이 주된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UAE 정부는 계속해서 석유산업 의존도가 높은 자국 경제 구조를 다변화하고 전반적인 산업분야 자급화를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에너지, ICT, 농업 등 다양한 산업육성 전략을 내놓고 있으며 전략 추진의 일환인 프로젝트들도 이어지고 있어 우리 기업의 프로젝트 협력을 통한 양국 교역 확대 가능성이 있다. 


아울러 UAE는 세계 상위 5대 재수출 국가이지 전체 무역액 중 재수출 비중은 27.5%에 이르는 글로벌 물류 허브로도 자리하고 있기에, 중동뿐만 아니라 아프리카·남아시아 등 신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우리 기업들은 UAE 시장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자료: 산업통상자원부, 한국무역협회, UAE 연방통계청, 세계은행, 현지 언론 및 KOTRA 두바이 무역관 자료 종합




  • 관련정보
댓글 0
안내 아이콘운영정책

욕설, 허위사실 유포, 광고성 글, 음란한 표현, 동일한 내용 반복 게시,
특정인의 개인정보 유출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위배되는 글은
게시자에게 통보하지 않고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자유게시판의 개인정보는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하여 외부에 공개되지 않습니다.

초기화초기화 0 / 1000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