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통계로 보는 한-UAE 교역 동향
❖ 2024년 9월 기준, 한-UAE 양국간 교역액 약 179억 달러, 전년동기대비 17.5% 증가
❖ 올해 5월 체결된 한-UAE CEPA 협정의 발효 후 우리 기업의 수출 증대 기대
한-UAE 교역 동향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UAE는 한국의 14대 교역국으로서 2023년 기준 對UAE 수출액은 44억 달러, 수입액은 164억 달러로 무역규모는 약 208억 달러를 기록했다. 한국의 對UAE 수출은 2011년에 73억 달러로 최고점을 기록한 후 2019년 35억 달러까지 감소했으며, 이후 2023년까지 연평균 6.3%씩 증가했다. UAE로부터의 원유 수입 비중이 높은 한-UAE 교역 특성상 對UAE 수입규모는 국제원유가격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진다. 2024년 국제유가는 상방 요인과 하방 요인이 교차하면서 전년과 유사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對UAE 수입규모도 전년과 비슷하게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
2013~2024년 한-UAE 무역 규모
(단위: 천 USD)
2013~2024년 한-UAE 무역 규모
연도 |
수출 |
수입 |
무역규모 |
무역수지 |
2013 |
5,737,664 |
18,122,897 |
23,860,561 |
△12,385,233 |
2014 |
7,211,628 |
16,194,256 |
23,405,884 |
△8,982,628 |
2015 |
6,076,775 |
8,614,672 |
14,691,447 |
△ 2,537,897 |
2016 |
5,869,962 |
6,941,053 |
12,811,015 |
△1,071,091 |
2017 |
5,388,883 |
9,557,058 |
14,945,941 |
△4,168,175 |
2018 |
4,588,472 |
9,287,378 |
13,875,850 |
△4,698,906 |
2019 |
3,469,772 |
8,991,147 |
12,460,919 |
△5,521,375 |
2020 |
3,653,611 |
5,692,741 |
9,346,352 |
△2,039,130 |
2021 |
3,974,772 |
7,318,737 |
11,293,509 |
△3,343,965 |
2022 |
3,966,846 |
15,492,751 |
19,459,597 |
△11,525,905 |
2023 |
4,432,061 |
16,422,761 |
20,854,822 |
△11,990,700 |
2023. 9. |
3,275,973 |
11,965,696 |
15,241,669 |
△8,689,722 |
2024. 9. |
3,846,534 |
14,067,413 |
17,913,947 |
△10,220,879 |
자료 : 한국무역협회, KOTRA 두바이무역관 종합
2024년 9월 기준 한-UAE 총 교역액은 179억1394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17.5% 증가했다. 아울러 對UAE 수출액은 총 38억4653만 달러로 17.4% 증가했으며 對UAE 수입액은 140억6741만 달러로 17.6% 증가했다.
한국은 전통적으로 에너지 수입 의존도가 높아 UAE와의 교역에서 적자를 보는 구조다. 최근 유가 상승으로 인해 2023년 對UAE 무역적자는 전년 대비 4% 증가한 약 120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2024년 9월 기준 전년동기대비 17.6% 증가했다.
한국의 對UAE 수출 동향
2020~2024년 對UAE 품목별 수출액
(MTI 3단위 기준, 단위: 천 USD)
2020~2024년 對UAE 품목별 수출액
순위 |
품목 |
2020 |
2021 |
2022 |
2023 |
2023. 9 |
2024. 9. |
증감률(YoY)
|
1 |
자동차 |
136,207 |
186,069 |
337,793 |
482,905 |
340,388 |
395,352 |
16.2 |
2 |
자동차부품 |
290,802 |
360,361 |
339,377 |
351,436 |
266,128 |
282,884 |
6.3 |
3 |
석유제품 |
57,606 |
179,602 |
155,532 |
203,412 |
142,857 |
209,788 |
46.9 |
4 |
우라늄 |
147,758 |
182,587 |
64,819 |
305,293 |
213,999 |
166,542 |
△22.2 |
5 |
기호식품 |
235,913 |
162,520 |
177,505 |
193,660 |
152,704 |
158,839 |
4.0 |
6 |
원동기·펌프 |
143,197 |
154,895 |
128,401 |
137,610 |
105,544 |
140,507 |
33.1 |
7 |
공기조절기·냉난방기 |
122,447 |
109,999 |
80,318 |
123,229 |
86,336 |
129,959 |
50.5 |
8 |
합성수지 |
96,399 |
148,616 |
186,957 |
157,372 |
126,698 |
128,453 |
1.4 |
9 |
주화 |
- |
- |
- |
21,863 |
- |
125,996 |
- |
10 |
비누·치약·화장품 |
31,820 |
43,261 |
58,946 |
90,290 |
63,845 |
123,877 |
94.0 |
11 |
고무제품 |
106,287 |
103,855 |
117,930 |
113,267 |
88,917 |
109,100 |
22.7 |
12 |
무선통신기기 |
120,062 |
118,697 |
88,296 |
88,245 |
66,594 |
100,072 |
50.3 |
13 |
기타석유화학제품 |
80,395 |
94,254 |
98,144 |
96,304 |
75,048 |
85,331 |
13.7 |
14 |
컴퓨터 |
50,499 |
62,683 |
100,787 |
82,929 |
60,301 |
81,445 |
35.1 |
15 |
인조장섬유직물 |
37,596 |
57,317 |
76,469 |
94,628 |
70,297 |
78,826 |
12.1 |
16 |
철강판 |
121,289 |
74,250 |
128,193 |
96,822 |
71,162 |
78,618 |
10.5 |
17 |
플라스틱 제품 |
60,257 |
51,647 |
63,841 |
56,712 |
42,249 |
64,175 |
51.9 |
18 |
건설광산기계 |
33,058 |
40,512 |
45,510 |
63,945 |
50,283 |
57,868 |
15.1 |
19 |
건전지·축전지 |
101,815 |
78,448 |
64,785 |
59,083 |
48,348 |
57,074 |
18.1 |
20 |
철강관·철강선 |
95,138 |
50,453 |
52,076 |
84,187 |
63,338 |
54,689 |
△13.7 |
총 수출액 |
3,653,611 |
3,974,772 |
3,966,846 |
4,432,061 |
3,275,973 |
3,846,534 |
17.4 |
자료 : 한국무역협회, KOTRA 두바이무역관 종합
2024년 9월 기준 對UAE 상위 5개 수출 품목에는 자동차(3억9535만 달러), 자동차부품(2억8288만 달러), 석유제품(2억978만 달러), 우라늄(1억6654만 달러), 기호식품(1억5883만 달러)이 있다. 더불어 전년 동기 대비 호조세를 보이는 품목에는 비누, 치약 및 화장품(94.0%), 플라스틱 제품(51.9%), 공기조절기 및 냉난방기(50.5%), 무선통신기기(50.3%), 석유제품(46.9%), 컴퓨터(35.1%), 원동기 및 펌프(33.1%) 등이 있다.
자동차의 경우, 對UAE 수출의 10.3%를 차지하며 꾸준히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020년부터 2023년까지 3년간 연평균 84.8% 성장률을 달성했으며, 2024년 9월에는 전년동기대비 16.2% 성장률을 기록했다. 석유제품 수출은 2020년부터 2023년까지 3년 평균 84.3%의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2024년 9월 기준 전년동기대비 46.9% 성장했다. 우라늄의 경우, 바라카 원전 가동에 따라 2020년부터 지속적으로 수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아울러 한류 확산과 더불어 한국산 화장품 수요가 늘어나며 2024년 상반기 전 세계 수출 9위를 기록했다. 화장품 수출액은 2013년 824만 달러(81위)에서 연평균 27%씩 증가해 2023년에는 8,972만 달러(12위)를 기록했으며, 올해도 증가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UAE는 한류의 긍정적 파급효과가 두드러지는 국가이며, 높은 구매력을 바탕으로 향후 뷰티 등 한국 콘텐츠 소비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의 對UAE 수입 동향
2020~2024년 對UAE 품목별 수입액
(MTI 3단위 기준, 단위: 천 USD)
순위 |
품목 |
2020 |
2021 |
2022 |
2023 |
2023. 9. |
2024. 9. |
증감률(YoY) |
1 |
원유 |
3,601,531 |
3,767,712 |
9,224,971 |
9,799,588 |
6,907,138 |
9,264,059 |
34.1 |
2 |
석유제품 |
1,584,348 |
2,700,684 |
4,649,537 |
5,311,265 |
4,050,020 |
4,066,909 |
0.4 |
3 |
알루미늄 |
197,898 |
355,429 |
400,106 |
235,656 |
179,068 |
208,052 |
16.2 |
4 |
천연가스 |
56,547 |
153,853 |
639,640 |
465,901 |
361,570 |
123,351 |
65.9 |
5 |
동광 |
31,741 |
63,214 |
143,457 |
103,251 |
91,521 |
118,587 |
29.6 |
6 |
동제품 |
55,647 |
120,257 |
114,995 |
118,066 |
90,658 |
81,831 |
9.7 |
7 |
기타금속광물 |
1,962 |
13,573 |
136,913 |
78,994 |
63,583 |
50,806 |
△20.1 |
8 |
LPG |
13,463 |
39,934 |
41,534 |
16,540 |
- |
32,292 |
- |
9 |
금은·백금 |
5183 |
199 |
400 |
368 |
321 |
24,328 |
7478.8 |
10 |
합금철·선철·고철 |
590 |
325 |
878 |
4,325 |
1,586 |
9,777 |
516.5 |
11 |
합성수지 |
5,860 |
5,481 |
7,960 |
6,434 |
4,596 |
7,839 |
70.6 |
12 |
기타중전기기 |
199 |
39 |
3,018 |
4,074 |
3,166 |
4,223 |
33.4 |
13 |
철강재용기·체인 |
10,095 |
4,148 |
9,290 |
13,634 |
13,634 |
3,962 |
△70.9 |
14 |
컴퓨터 |
524 |
365 |
394 |
402 |
365 |
3,778 |
935.1 |
15 |
농산가공품 |
2,362 |
880
|
1,312 |
3,903 |
2,922 |
3,417 |
16.9 |
16 |
축산가공품 |
267 |
363 |
267 |
221 |
162 |
2,360 |
1356.8 |
17 |
무선통신기기 |
1,725 |
2,939 |
2,213 |
3,037 |
2,351 |
2,004 |
△14.8 |
18 |
시멘트 |
239 |
1,211 |
2,156 |
1,714 |
1,395 |
1,848 |
32.5 |
19 |
곡실류 |
524 |
969 |
600 |
1,577 |
1,150 |
1,188 |
3.3 |
20 |
기계요소 |
283 |
622 |
444 |
1,135 |
870 |
1,152 |
32.4 |
총수입액 |
5,692,741 |
7,318,737 |
15,492,751 |
16,422,761 |
11,965,696 |
14,067,413 |
17.6 |
자료 : 한국무역협회, KOTRA 두바이무역관 종합
2024년 9월 기준 對UAE 상위 5개 수입 품목에는 원유(92억6405만 달러), 석유제품(40억6690만 달러), 알루미늄(2억805만 달러), 천연가스(1억2335만 달러), 동광(1억1858만 달러)이 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2023년 기준, UAE는 한국의 3대 원유 수입국*으로서 전체 원유 수입액(862억 달러) 중 11%를 UAE로부터 수입했다.
* 사우디아라비아(35%), 미국(14%), UAE(11%), 쿠웨이트(10%), 이라크(9%) 순
제조업이 약한 UAE의 특성상 한국의 對UAE 상위 수입품목의 대부분이 원유, 천연자원, 광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러-우 전쟁에 따른 對러제재의 영향으로 최근 국내 석유 화학사들이 러시아 대신 UAE, 인도, 카타르 등에서 나프타를 대량으로 수입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한-UAE CEPA 주요 내용
최근 자유무역협정인 ‘한-UAE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CEPA)'이 정식 서명되면서 우리 기업의 수출 증대와 안정적인 원재료 수급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한-UAE CEPA의 상품시장 개방 수준은 품목 수 기준 한국 92.3%, UAE 91.2%이며, 수입액 기준으로는 발효 후 10년에 걸쳐 한국은 72.3%, UAE는 82.0%를 개방하게 된다.
양국 주요 양허 품목
양국 주요 양허 품목
분류 |
UAE |
한국 |
즉시 철폐 |
의료기기, 선박용부품, 인삼류, 직물, 과실류, 주요 자동차부품(섀시 등), 주얼리, 밸브, 문구, 기타정밀화학제품, 무기류, 김, 멸치(건조) 등
|
대추야자, LNG/LPG, 알루미늄괴및스트랩, 기타식물성유지(카놀라유), 백시멘트, 신발 등
|
5년 철폐 |
화장품, 방사선기기, 항공기엔진, 기계류, 압연기,폴리에스테르섬유, 조미김, 오징어 등
|
두류, 빵, 꿀, 대리석, 기타석유화학제품, 기타고무제품, 수산부산물(어류기름), 화장품 등
|
10년 철폐 |
승용차, 전기차, 하이브리드차, 화물자동차, 합성수지, 기타조명기기, 항공기∙철도차량 부품, 원동기, 냉장고, 세탁기, 공기조절기, 휘발유, 제트유, 쇠고기, 닭고기, 면류(라면), 전복, 고등어(냉동) 등
|
원유, 벙커C유, 합성수지, 합성섬유, 연괴, 알루미늄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기타플라스틱제품, 포트랜드시멘트, 버터, 밀가루, 양고기 등
|
관세 감축 |
나프타(5년간 5% -> 2.5%)
|
나프타(5년간 0.5% -> 0.25%)
|
자료 : 산업통상자원부
UAE는 우리의 주요 수출 품목인 자동차와 자동차부품에 대한 관세를 철폐하기로 했으며, 이로 인해 우리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들의 수혜가 예상된다. 특히 10인 이상 수송용 자동차와 화물용 자동차에 대해서는 즉시 또는 최대 10년에 걸쳐 관세가 사라져 5천억 달러 규모의 건설 프로젝트가 진행중인 UAE로의 수출 활성화가 기대된다. 또한 탄소중립 목표를 선언한 UAE 내 친환경차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는 가운데, 양허 품목인 자동차에 승용차, 화물차뿐만 아니라 전기차, 하이브리드차 등 친환경차가 포함되었다는 점에서 시장 선점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더불어 한류 열풍으로 인해 꾸준히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화장품에 대해서도 최장 10년간 관세가 철폐될 예정이다. 특히 입술 및 눈화장용 제품, 매니큐어 등에 대한 관세가 발효 즉시 철폐되고, 기타 메이크업 제품에 대해서는 5년~10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철폐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의료기기는 과반수 품목에 대한 관세가 즉시 철폐되어 의료기기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UAE 시장으로의 수출 확대가 전망된다.
한편, UAE 측은 금지되는 품목과 특별관심품목을 지정해 자유무역협정의 협상 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다. 금지 품목은 주로 UAE에서 수입 자체를 금하고 있는 품목이며, 특별관심품목은 규제 대상인 경우에 해당된다. 한국의 주요 수출품목 중 하나인 담배가 이에 포함되어 협상 대상에서 배제되었다.
UAE 측 금지 및 특별관심품목
- 금지품목 : 씹는 담배, 산동물, 상아, 마약류, 석면제품, 폐타이어 등
- 특별관심품목 : 전자 및 제조담배, 돼지고기 및 가공식품, 주류 및 주류 포함 식품
|
아울러 서비스 무역 개방으로 UAE 내 K-콘텐츠 입지를 더욱 확고히 할 수 있을 전망이다. UAE는 최초로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장을 개방하는 데 합의했으며 기체결한 협정 중 최고 수준으로 시청각 서비스를 개방함에 따라 한국의 온라인 게임, 드라마, 영화, 음악 등 콘텐츠 수출이 보다 용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소규모 의료기관의 현지 개원 및 원격 진료를 허용할 예정이다. 2014년부터 서울대병원이 UAE 셰이크칼리파전문병원을 위탁 운영 중이며 최근에는 아산병원이 2026년 개원을 목표로 UAE에 소화기 전문병원(65병상)을 설립한다는 소식이 전해지기도 했다.
그 외에도 양국은 14개 주요 분야 내 경제 협력 체계를 마련, 강화하기로 했다. 14개 주요 분야로는 에너지∙자원, 첨단산업, 순환경제, 시청각서비스∙공동제작, 스마트팜, 보건산업, 관광, 수송, 해상운송, 디지털경제∙무역, 귀금속, 공급망, 경쟁, 바이오경제 등이 포함된다. 특히 스마트팜 분야는 UAE가 식량안보를 강화하기 위한 주요 수단으로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어 양국 협력이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수소 및 신재생에너지 기술 개발 및 인프라 프로젝트 협력 기회도 늘어날 전망이다.
UAE는 높은 구매력을 갖고 있는 매력적인 수출시장
최근 세계은행(World Bank)에서 발표한 최신 중동·북아프리카(MENA) 경제 분석 자료에 따르면, UAE의 GDP 성장률은 2024년 3.3%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2025년에는 4.1%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UAE가 2024년 1인당 실질 GDP 성장률 2.5%, 2025년 3.4%로 MENA 지역을 선도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으며, 非석유 부문의 견고한 성장이 주된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UAE 정부는 계속해서 석유산업 의존도가 높은 자국 경제 구조를 다변화하고 전반적인 산업분야 자급화를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에너지, ICT, 농업 등 다양한 산업육성 전략을 내놓고 있으며 전략 추진의 일환인 프로젝트들도 이어지고 있어 우리 기업의 프로젝트 협력을 통한 양국 교역 확대 가능성이 있다.
아울러 UAE는 세계 상위 5대 재수출 국가이지 전체 무역액 중 재수출 비중은 27.5%에 이르는 글로벌 물류 허브로도 자리하고 있기에, 중동뿐만 아니라 아프리카·남아시아 등 신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우리 기업들은 UAE 시장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자료: 산업통상자원부, 한국무역협회, UAE 연방통계청, 세계은행, 현지 언론 및 KOTRA 두바이 무역관 자료 종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