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비즈니스 협력 센터 > Daily Briefing
제목

국내 아시아 · 대양주 관련 기사 모음 (01월 30일)

구분 전체 동향 등록일자 2023-01-30

□ 베트남, 지난해 석유제품 수입 급증…90억달러, 전년대비 119%↑ (인사이드비나, 23.01.30.)


ㅇ 지난해 국제유가 급등의 영향으로 베트남의 석유제품 수입액과 수입량 모두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음.


ㅇ 해관총국에 따르면 2022년 석유제품 수입량은 890만톤으로 전년대비 28%, 수입액은 90억달러로 전년(41억달러)보다 119% 증가했음.


ㅇ 수입량은 경유가 474만톤으로 가장 많은 비중(54%)을 차지했고, 이어 휘발유 170만톤(19%), 항공유 146만톤(16%) 등 순이었다. 휘발유와 항공유는 각각 120%, 130% 증가했음.

-  최대 수입국은 한국으로 전년대비 96% 증가한 322만톤을 수입했음. 이어 싱가포르 150만톤, 말레이시아 142만톤 순이었음.


ㅇ 석유제품 수입 증가세는 이달에도 이어져 5억4000만달러로 전년동기대비 70% 이상 증가했음.


ㅇ 지난해 베트남 연료시장은 정부가 휘발유 가격을 석유유통업체들이 원하는 수준만큼 올려주지 않자, 수지타산을 맞추지 못한 유통업체들이 배송을 거부하면서 하반기 전국 많은 주유소가 문을 닫는 등 큰 혼란을 겪었음.


ㅇ 공상부는 석유유통업체들에게 올해 공급량을 2590만~2670만톤으로 작년보다 10~15% 늘려 공급할 것을 지시했음.


● 원문 기사 바로 보기



□ 베트남, 뗏 특수로 1월 물가 크게 올랐다…CPI 4.89% (인사이드비나, 23.01.30.)


ㅇ 뗏(Tet 설) 대목 특수의 영향으로 이달 베트남의 물가가 크게 올라 정부가 예의주시하고 있음.


ㅇ 통계총국(GSO)에 따르면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잠정치)는 전월대비 0.52%, 전년동월대비 4.89% 상승했음.


ㅇ 이달 물가가 크게 오른 것은 뗏연휴를 앞두고 밥상물가가 줄줄이 올랐고 덩달아 서비스 가격도 올랐기 때문임. 거기에다 연초부터 국제유가 오름세에 따라 국내 휘발유 가격이 상승했고, 석유제품 환경세 세율 감면폭이 75%에서 50%로 낮아지면서 가격이 오른 효과 때문임.


ㅇ CPI 상품·서비스 그룹중 8개 그룹의 지수가 상승했고, 2개는 하락, 1개는 안정적이었음.

- 상승한 8개 그룹중 교통운송이 가장 많이 올랐고, 이어 음료·담배, 식품·서비스, 기타 상품·서비스, 신발·모자, 문화·엔터테인먼트·관광, 가전제품, 의약품·의료서비스 등이 올랐음.

- 반면 교육, 주택·건축자재 등 2개 그룹은 하락, 우편·통신 그룹은 전달과 같았음.


ㅇ 한편 이달은 뗏연휴로 조업일수가 줄어 수출입도 크게 줄었음.


ㅇ 1월 교역액(잠정치)은 465억6000만달러로 전월대비 17%, 전년동월대비 25% 감소(수출 21%, 수입 29% 감소)했고, 상품수지는 36억달러 흑자를 기록했음.


● 원문 기사 바로 보기



□ 필리핀, 관광산업 회복 위해 내년까지 외국인에 부가세 환급 (연합뉴스, 23.01.30.)


ㅇ 필리핀이 외국인 관광객 수를 늘리기 위해 내년까지 부가세를 환급해주기로 했음.


ㅇ 30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은 이같은 내용의 조치를 승인했다고 대통령실 공보실이 밝혔음.


ㅇ 필리핀은 현재 자국 내에서 소비되는 물품에 대해 12%의 부가세를 매기고 있음.


ㅇ 필리핀 관광부에 따르면 재작년 관광객 수는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인해 16만3천명까지 줄었으나 작년에 입국요건을 완화하면서 265만명으로 상당한 회복세를 보였음.

- 이는 작년 목표치인 170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총 36억8천만달러(4조5전억원)의 관광수입을 가져다줬음.


ㅇ 그러나 코로나19 확산 전에 통상 매년 800만명이 넘는 관광객이 들어온 것에 비하면 현저히 낮은 수치임.


ㅇ 필리핀 정부는 올해 480만명의 관광객을 유치한다는 계획임.


● 원문 기사 바로 보기



□ 점유율 20% 삼성 스마트폰, 인도 시장 1위 재탈환 (국민일보, 23.01.30.)


ㅇ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지난해 4분기에 삼성전자가 인도 스마트폰 시장에서 점유율 20%로 1위에 등극했다고 29일 밝혔음. 


ㅇ 삼성전자 스마트폰 점유율 반등의 배경에는 인도 시장의 변화가 자리함. 

- 프리미엄 중심으로 시장의 무게 중심이 이동한 게 최대 원인으로 꼽힘. 


ㅇ 365달러 이상 프리미엄 세그먼트는 인도 스마트폰 전체의 11%을 차지해 사상 최고 수준을 기록했음. 

- 애플 아이폰 13은 지난해 인도 스마트폰 시장에서 가장 많이 팔린 모델이었음. 


ㅇ 삼성전자는 365~550달러 사이의 엔트리 프리미엄 시장을 주도했고, 550달러 이상 울트라 프리미엄 부문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브랜드로 자리 잡았음. 

- 이와 달리 중저가 스마트폰을 주력으로 하는 중국 업체들은 소비자들에게 프리미엄 브랜드로 각인되는 데 어려움을 겪으면서 한계를 드러냈음.


ㅇ 인도와 중국이 갈등을 빚으면서 삼성전자가 반사이익을 얻었다는 해석도 나옴. 

- 2020년 국경에서 인도와 중국 군인들이 충돌한 이후 양국은 2년간 분쟁을 이어왔음. 


● 원문 기사 바로 보기



□ 인니, 바이오디젤에 팜유 비율↑…수출감소·가격상승 우려 (연합뉴스, 23.01.30.)


ㅇ 팜유 생산 세계 1위 국가인 인도네시아가 내달부터 바이오디젤 내 팜유(CPO) 비율을 높이기로 하면서 수출 규제를 강화하자 가격도 오르고 있음.


ㅇ 30일(현지시간) 자카르타 포스트에 따르면 지난 27일 기준 말레이시아 상품거래소에서 2월 인도 기준 팜유 선물 가격은 1t당 3천874링깃(약 112만 3천400원)에 거래됐으며 3월 인도분은 이보다 비싼 3천899링깃(약 113만900원)을 기록했음.


ㅇ 팜유 가격은 지난 9월 말 1t당 3천300 링깃(약 95만7천100원) 아래로 떨어지기도 했지만, 다시 회복한 상황임.


ㅇ 이처럼 팜유 가격 강세가 예상되는 것은 인도네시아에서 나오는 팜유 수출 물량이 줄어들 전망이기 때문임.


ㅇ 인도네시아는 내달부터 바이오 디젤에 들어가는 팜유 비율을 30%에서 35%로 올림. 그만큼 인도네시아 국내 팜유 수요가 늘어나는 것임.


ㅇ 이 때문에 인도네시아 정부는 이달 들어 국내 팜유 생산업자들이 수출할 수 있는 물량을 국내 공급 물량의 8배에서 6배로 낮췄음.

- 인도네시아 팜유 협회(GAPKI)는 올해 팜유 수출 물량이 지난해보다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음.


● 원문 기사 바로 보기


Source
문서첨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