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제목

제5차 한-키르기스스탄 경제공동위원회

관련국가 키르기스스탄 개최일자 2022-10-06
분야 무역·투자,산업·통상 분류


「제5차 한-키르기스스탄 경제공동위원회」 개최


❖ 양국간 실질협력 현안 점검 및 향후 신규 협력 의제 논의


윤성덕 외교부 경제외교조정관은 10.6.(목) 서울에서 다니야르 아만겔디예프(Daniyar Amangeldiev) 키르기스스탄 경제상업부 장관과 「제5차 한-키르기스스탄 경제공동위원회」를 개최하여, 양국관계를 평가하고 실질협력 증진 방안에 대해 폭넓게 의견을 교환했다.


※ 한-키르기스스탄 경제공동위 개최 실적
- ▴ 제1차(2012.12월, 서울) ▴ 제2차(2016.10월, 비슈케크) ▴ 제3차(2019.10월, 서울) ▴ 제4차(2021.10월, 비슈케크)


윤 조정관은 1992년 한국과 키르기스스탄이 수교한 이래 다방면에서 우호협력 관계를 꾸준히 발전시켜왔다고 평가하고, 우리 정부가 새로운 외교 비전인 「자유・평화・번영에 기여하는 글로벌 중추국가」 실현을 위해 키르기스스탄을 포함한 중앙아와의 협력을 특별하게 생각하고 있음을 강조하였다.


윤 조정관과 아만겔디예프 장관은 우리 정부가 추진 중인 중앙아 지역과의 협력 네트워크 강화와 키르기스스탄의 「경제 발전 5대 중점 방향」 간 조화를 통한 호혜적이고 미래지향적인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 키르기스스탄 경제 발전 5대 중점 방향(2021.5월 발표) : ① 비즈니스에 적합한 환경 조성 ② 사유재산권 보호 강화 ③ 대외무역 구조 전환 및 국가 수출 잠재력 증대 ④ 직접투자 유치 및 국제협력 발전 ⑤ 국가 자산 운영 효율성 증대


양측은 한국과 키르기스스탄 간 교역이 코로나19에도 불구하고 2021년부터 회복 추세인 것을 환영하고, △ 교육 △ 문화·스포츠 △ 관광 △ 보건·의료 △ 환경 △ 디지털·ICT 등 분야에서 양국 간 실질협력 진전 방안에 대해 심도있는 의견을 교환했다.


※ 교역액(백만불, 연도) : 64.3(2016) → 85.5(2017) → 79.2(2018) → 107.1(2019) → 74.7(2020) → 112.9(2021)


윤 조정관은 작년 우리나라가 키르기스스탄을 ODA 중점협력국으로 선정하고 올해 키르기스스탄에 대한 중장기 ODA 지원 계획을 담은 국가협력전략을 마련(2022.1월)하였음을 언급하고, 이러한 제도적 기반을 바탕으로 향후 환경, 공공행정, 농림·수산, 보건·위생 등 중점협력 분야에서 양국 간 개발협력을 심화해 나가자고 했다.


올해 한-키르기스스탄 수교 30주년을 맞아 개최된 이번 공동위는 양국 간 실질협력 현안을 점검하고, 양국 관계의 새로운 30년을 이끌어 나갈 유망 협력분야를 모색한 기회가 된 것으로 평가된다.


한-키르기스스탄 경제공동위원회


외교부 이경아 유럽국 심의관



키르기스스탄 약황


【 일반사항 】
• 국 명 : 키르기즈공화국(Kyrgyz Republic)
• 수 도 : 비슈케크(Bishkek, 107만명(’21))
• 인 구 : 664만명(’21)
• 면 적 : 199,951㎢(한반도의 0.95배)
• 위 치 : 중앙아시아(중국, 카자흐, 우즈벡, 타지키스탄 접경)
• 기 후 : 대륙성, 건조 기후
• 주요민족 : 키르기즈인(73%), 우즈벡인(15%), 러시아인(6%)
• 언 어 : 키르기즈어(공식국어), 러시아어(통용어)
• 종 교 : 이슬람교(80%), 러시아정교(15%), 기타(5%)
• 시 차 : 우리시간 -3


【 정치현황 】
• 정부형태 : 대통령제
• 의회구성(총 54석)
- 아따주르트 키르기스스탄(Ata-Zhurt Kyrgyzstan)당(15석),
이셰님(Ishenim)당(12석), 인뜨막(Yntymak)당(9석) 등
• 정부 주요인사
- 대통령 : 사디르 자파로프(Sadyr Japarov)
- 국회의장: 탈란트 마미토프(Talant Mamytov)
- 내각실장(총리) : 아킬베크 자파로프(Akylbek Japarov)
- 외교장관 : 제엔베크 쿨루바예프(Zheenbek Kulubaev)
• 국제기구 가입 : UN(’92.3), WTO(’98.12)


【 경제현황 】 (’21, EIU 기준)
• GDP : 77억불
• 1인당 GDP(’21, IMF) : 1,282불
• 경제성장률 : 3.6%
• 물가상승률 : 11.9%
• 교역규모 : 78.42억불
- 수출 : 27.31억불 / - 수입 : 51.11억불
• 화폐단위 : 솜(Som) / (US $1=79.5솜)(’22.6월)
• 주요자원(BP) : 금, 석탄, 안티몬, 수은, 천연가스 등


【 독립(’91) 이후 정세 변화 】
• ’90.10월 아카예프 소연방 키르기즈공화국 초대대통령 취임
• ’91. 8월 독립선언
• ’05. 3월 튤립혁명으로 아카예프 대통령 사임
• ’05. 8월 바키예프 대통령 취임
• ’10. 4월 반정부 시위로 대통령 사임 및 과도정부 수립
• ’10. 6월 헌법개정 국민투표로 의원내각제 도입
• ’10. 7월 오툰바예바 대통령 취임
• ’10.10월 총선 / 아탐바예프 총리 내각 출범
• ’11.12월 아탐바예프 대통령 취임
• ’15.10월 총선
• ’17.11월 제엔베코프 대통령 취임
• ’18. 4월 아블가지예프 총리 내각 출범
• ’20. 6월 아블가지예프 총리 사임/보로노프 총리 내각 출범
• ’20.10월 총선(10.4) 직후 불복시위 발생 / 국회의장, 총리
사임(10.6) / 자파로프 총리 내각 출범(10.14) / 대통령
사임(10.15) / 자파로프 총리 대통령 직무대행
• ’20. 11월 자파로프 총리 사임, 마미토프 국회의장
대통령 대행(11.14)
• ’21. 1월 자파로프 대통령 취임

• ’21. 2월 마리포프 총리 내각 출범
• ’21. 5월 헌법개정 국민투표로 대통령제 도입
(총리실 폐지하고 장관 내각 구성)
• ’21.10월 정부부처 개편으로 아킬베크 내각실장 내각 출범
• ’21.11월 총선


【 우리나라와의 관계 】
• 외교관계 수립 : 1992.1.31.
• 공관 설치 : ’07.9월 1인 공관 개설
’08.7월 상주 대사관 개설
- ’21.6월 이원재 대사 부임
• 주한공관 설치 : ’08.5 상주 대사관 개설
- ’22.3월 아이다 이스마일로바(Aida Ismailova) 대사 부임
• 교역규모(’21, KITA) : 11,294만불
- 수출 : 11,251만불(편직물, 화장품, 화물자동차 등)
- 수입 : 43만불(기타전자관, 기타섬유제품 등)
• 투자규모(’21, KITA, 신고액 기준)
- 對키 투자 : 187백만불
- 對한 투자 : 24.3백만불
• 재외동포(’21) : 18,106명
- 재외국민 : 982명
- 고려인 : 17,124명


【 주요인사 교류현황 】
(방키)
- ’08. 8월 이윤성 국회부의장
- ’17. 4월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
- ’17. 9월 임성남 외교1차관
- ’19. 5월 문무일 검찰총장
- ’19. 7월 이낙연 국무총리
- ’21. 4월 박병석 국회의장
- ’21.10월 이성호 경제외교조정관
- ’21.11월 박종수 북방경제협력위원장
(방한)
- ’93. 8월 칭기쉐프 총리(대전 EXPO 계기)
- ’94. 3월 주마굴로프 총리(세계일보사 초청)
- ’97. 6월 아카예프 대통령
- ’06. 7월 젝센쿨로프 외무장관
- ’07.11월 아탐바예프 총리
- ’08. 4월 아이다달리예프 부총리
- ’12. 6월 바바노프 총리(제주평화포럼 참석)
- ’12. 7월 카자크바예프 외교장관
- ’13.11월 아탐바예프 대통령
- ’14. 2월 제엔베코프 국회의장
- ’14. 7월 자마쉐바 대법원장
- ’15. 1월 술탄베코바 국회부의장
- ’15. 5월 오툰바예바 전 대통령
- ’17. 6월 오무르베코바 국회부의장
- ’18.11월 잠시토프 검찰총장
- ’19.10월 무칸베토프 경제부 장관
- ’20.11월 니야잘리예프 외교1차관(한-중앙아 포럼)
- ’21. 9월 알맘베트 샤크마마토프 투자부 장관
- ’21.10월 울란 니야즈베코프 내무부 장관
- ’22. 8월 아지키브 부벡 비상사태부 장관(국제소방안전박람회)


【 북한과의 관계 】
• 외교관계 수립 : 1992.1.21.
• 주중 키르기스스탄대사가 북한 겸임



댓글 운영정책
  • 댓글입력
댓글목록 0개
  •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