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외교 활용사례 상세
제목

알제리 출장자료 (2021년)

관련국가 알제리
  • Ⅰ. 국가개요
    국가 개요
    주: 2021년 9월 확인 기준 최신정보 자료원: IHS Markit, CIA World factbook, 주알제리대한민국대사관 공식 사이트, Global Fire Power 2020 Military Strength Ranking,

    한-알제리 관계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K-stat), 외교부, 주알제리대한민국대사관



  • Ⅱ. 경제 무역동향
    1. 주요 경제지표
    주: 2021년 9월 확인기준 최신정보 자료원: IHS Markit Algeria Economic Outlook 2019, OPEC Annual Statistical Bulletin, 알제리 관 세청 통계자료 등

    2. 경제동향 및 전망
    경제 동향 및 전망
    코로나19 확산 및 이로 인한 유가 하락으로 경기 침체 심화 전망
    코로나로 인한 대내외적 여건 악화로 경제 침체 심화 - 전 세계적인 코로나19 확산으로 경제활동이 급격하게 축소됨에 따라 산업 활동 침체로 국제 유가 폭락 - 향후 3년을 전후해 알제리 외환보유고 고갈 위기로 알제리 정부는 수입 억제를 위한 관세인상 및 수입규제, 대금결제 지연 정책을 추진 중

    2020년 알제리 경제 마이너스 성장, 2021년 기저효과로 3%대 전망 - 코로나19 확산으로 경제 전반에 침체가 확산되며 2020년 알제리 경제성장률은 –7.5%를 기록하였으나, 2021년에는 코로나19 안정화 및 기저효과에 따라 약 3%대의 성장 전망 - 2021년에는 배럴 당 65불 대로 다소 상승으로 정부 재정에 긍정적 효과

    알제리 주요 경제지표 동향 * 2020년은 추정치 * 자료: IHS Markit Algeria Economic Outlook 2020 (2020년 7월 확인기준 최신정보)

    3. 교역 동향 * 알제리는 대외교역 통계를 2019년 수치까지만 발표 중
    알제리 대외 교역 동향
    2019년 알제리의 대외 교역량은 777억 5,766만 달러 규모로 전년 대비 11,77% 감소 - 전체 교역량의 약 80%가 유럽과 일부 아시아 국가에 편중되어 있으며, 그 중 유럽과의 교역이 전체의 약 60%를 차지 - 단일 국가로서는 중국과의 교역이 가장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알제리 전체 교역에서 11.95% 차지 - 한국과의 교역규모는 약 22억 달러로, 전체 알제리 대외 교역에서 2.85%의 비중 차지

    알제리 대외 교역 동향 (단위: 백만 달러, %) * 증감은 전년 동기대비 증감 자료: 알제리 관세청(Direction Generale de Douane) (2021년 9월 확인기준 최신정보)

    수입 동향
    2019년 알제리 전체 수입은 약 419억 달러 규모로 전년 대비 9.49% 감소 - 중국은 2013년 이래 알제리의 1위 수입국으로 그 자리를 지키고 있으며, 2019년 수입규모는 76억 5,426만 달러로 전체 수입의 18.25% 차지 - 전체 수입 규모가 9.49% 감소한 가운데 상위 10개국 모두 전년 대비 수입 규모 감소 - 한국은 알제리의 11대 수입국으로 2019년 기준 8억 4,225만 달러 규모를 기록, 전년 대비 32.05% 감소

    2019년 알제리 국가별 수입동향 (단위: 백만 달러, %) * 증감은 전년 동기대비 증감 자료: 알제리 관세청(Direction Generale de Douane) (2021년 9월 확인기준 최신정보)

    품목군별 수입현황을 살펴보면 산업기자재 품목군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전체 수입의 31.48%를 차지 - 산업기자재에 이어 중간재 품목이 24.56%를 차지했으며 그 뒤를 이어 소비재 품목이 15.40%를 기록 - 무역적자 확대 억제 및 외환보유고 방어를 위해 임시추가수입관세(DAPS: Droit Additionnel Provisoire de Sauvegarde)제도도입, 가전·전자제품 및 자동차 완제품 조립용 CKD/SKD 키트 수입 제한 등 규제 조치를 도입하며 수입을 억제한 결과 전체 수입은 전년 대비 9.49% 감소

    알제리 품목별 수입동향 (단위: 백만 달러, %) * 증감은 전년 동기대비 증감 자료: 알제리 관세청(Direction Generale de Douane) (2021년 9월 확인기준 최신정보)

    수출 동향
    2019년 알제리 수출은 약 358억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14.29% 감소 - 전체 수출에서 92.80%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석유·가스 수출이 전년 대비 14.48% 감소한 것에서 기인

    알제리 국가별 수출동향 (단위: 백만 달러, %) * 증감은 전년 동기대비 증감 자료: 알제리 관세청(Direction Generale de Douane) (2021년 9월 확인기준 최신정보)

    가장 큰 수출 비중을 차지하는 국가는 프랑스로, 약 50억 달러 수출을 기록, 전체 알제리 수출에서 14.22%의 비중 차지 - 그 외에도 이탈리아, 스페인, 영국 등 유럽 국가들이 상위 수출 점유율 기록 - 우리나라는 알제리의 제 10위 수출국으로 수입 규모는 13억 7,427만 달러

    2019년 알제리 국가별 수출동향 (단위: 백만 달러, %) * 증감은 전년 동기대비 증감 자료: 알제리 관세청(Direction Generale de Douane) (2021년 9월 확인기준 최신정보)

    석유·가스의 수출비중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가운데 비 석유·가스 부문 수출은 약 26억 달러 규모로 전체 수출의 7.20% 비중 차지 - 주요 수출 품목은 비료, 콜타르 정제 부산물, 암모니아, 사탕수수, 인산칼슘 등으로 상위 5개 품목이 전체 비 석유·가스부문 수출의 약 75% 차지

    알제리 비 석유·가스부문 품목별 수출동향 (단위: 백만 달러, %) * 증감은 전년 대비 증감 * 자료: 알제리 관세청(Direction Generale de Douane) (2021년 9월 확인기준 최신정보)



  • Ⅲ. 한국과의 교역동향
    한- 알제리 교역 동향
    2020년 우리나라와 알제리의 교역량은 약 11억 6백만 달러 규모로 전년 동기 대비 약 47% 수준으로 급감 - 코로나19 팬더믹으로 세계적인 유가하락 및 경제활동 위축 뿐 아니라, 알제리 내부 요인으로 인한 외환 보유고 방어 및 재정지출 억제 조치 등으로 인해 한 - 알제리 교역량이 대폭 감소함. - 2020년 알제리는 한국의 62위 교역국으로 2019년 46위에서 16위 하락 . 수출액 기준 2019년 57위에서 2020년 77위로 20위 하락

    우리나라 對알제리 교역 현황 (단위: 백만 달러, %) * : 전년 동기 대비 증감 자료: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K-stat)

    수출 현황
    2020년 우리나라의 대 알제리 수출은 2억 5,444만 달러로 2019년 7억 91만 달러 대비 63.7% 감소 - 동 수출실적은 2003년 2억 2,459만 달러 이후 최저 기록 - 팬더믹 요인 뿐 아니라 신정부의 기존 자동차 산업 정책 재검토, 기존 정권에서 발주한 각종 프로젝트 진행 유보, 자국 제조업 육성정책 추진으로 인한 기존 완제품 수입 제한 등이 주요 이유인 것으로 분석됨

    對알제리 주요 수출품목 (단위: 천 달러, %) * MTI 4단위 분류 기준 자료: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K-stat)

    수출호조품목 - 주요 수출 품목(상위 20위) 중 8개 품목만 증가세를 보인 가운데, 현지 제조 산업용 부품 및 제조장비, 화학원료 등은 호조세 시현 -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장비(367,704%), 착색 아연도강판(40,562%), 변압기(21,711%), 기타 정밀화학제품(608%), ABS수지(125%) 등

    수출부진품목 - 한국의 대 알제리 수출품 281개 품목(MTI 4단위 기준) 중 180개 품목이 감소세 시현 - 자동차·전자산업 제조 정책 재검토로 기존 완성품 수출 급감 - 화물자동차(△89%), 승용차(△100%), 냉장고(△100%), 세탁기(△ 61.4%) - 건설 경기 침체로 건설 중장비(-43%), 철구조물(-74%) 등 수출 감소

    수입 현황
    2020년 수입액은 약 9억 404만 달러를 기록, 전년 동기대비 48.2% 감소 - 최대 수입품인 나프타는 전년대비 62.2%, 2위인 원유는 9% 감소세를 시현 - 단, 원유는 중량 비교 시 ‘19년 856천 톤 → ’20년 1,108천 톤으로 25% 증가

    對알제리 주요 수입품목 (단위: 천 달러, %) * MTI 4단위 분류 기준 자료: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K-stat)

    우리기업 진출 현황 (2021년 9월 기준)




  • Ⅳ. 현지 체류시 참고사항
    기후
    국토가 넓어 지역별로 기후가 상이한 특징 - 북부 해안지방은 지중해성 기후, 남부 사막지역의 사막기후가 공존

    북부는 지중해성 기후로서 겨울은 온난하며 우기임. 여름은 무더우나 습도가 낮아 한국에 비해 더위의 정도가 덜함. - 평균기온 : 7-8월 30도, 11-2월 12도 - 연간 강수량 : 800-1000 mm (대부분의 강수 겨울철에 집중)

    남부 사막은 무덥고 건조한 전형적인 사막형 기후 - 평균기온 : 6-9월 40도, 11-2월 20도 - 연간 강수량 : 200 mm

    시차 : KST -8 시간
    - 알제리는 우리나라보다 8시간이 늦은 KST-8시간으로 한국이 정오(12시)일때 알제리는 당일 오전 4시임. - 이슬람국으로 유럽에서 하절기(3월말-10월말)에 시행하는 서머타임 제도는 시행되지 않고 있음. - 하절기를 제외하고 알제리는 프랑스 파리와 동일 시간대이나 서머타임이 시행되는 하절기에는 프랑스보다 1시간이 늦어지므로 동 기간 중 파리 등 유럽 중간 경유지를 통해 알제리로 출입국 할 경우 1시간 시차가 있는 것을 고려하여 항공기 출, 도착 시간 등을 로컬시간으로 재확인하는 등 유의 필요

    근무시간
    관공서와 공공기업, 은행의 경우 오전 8시 30분부터 오후 3-4시까지 근무하며 일반기업 및 상점의 경우 17:00까지 근무. - 금요일과 토요일은 휴무이고 개인기업의 경우 휴일 근무하는 경우도 있으며 은행의 경우는 금, 토요일이 정기휴일임.
    금식월인 라마단 (Ramadan) 기간 중에는 대부분의 관공서와 기업들이 단축(8시-2시)근무 하므로 오후에는 상담이나 전화통화가 되지 않음

    도량형
    알제리는 130년이 넘는 오랜 기간 동안 프랑스의 식민통치를 받아 각종 규격 및 표준이 프랑스식 미터법을 사용하고 있음. - 무 게: g, ㎏, ton - 길 이: ㎝, m, ㎞

    전기규격 - 일반주택에는 단상 220볼트가 공급되고 있으며, 대형주택 및 건물, 공장 등에는 삼상 380 볼트가 공급되고 있음. 전기 주파수도 50HZ로 한국과 다소 다르며 각종플러그나 콘센트의 규격 도 유럽 즉, 프랑스식 표준을 따르고 있음. - 한국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자제품은 큰 무리 없이 사용이 가능하나, 접지 코드가 있는 경우를 대비, 여행용 멀티 어댑터를 챙기는 것이 유용 - 간혹 전기공급상의 문제로 세탁기 등 모터가 부착된 국내가전제품의 경우 사용이 원활하지 못한 경우도 있으니 유의해야 함.

    비자
    한-알제리 양국 간에는 사증면제 협정이 체결되어 있지 않아 우리나라 일반 여권을 소지한 알제리 방문자는 입국비자를 주한알제리대사관에서 소정의 서류를 구비해 사전에 비자를 받아야 입국이 가능 - 비자취득에는 서류접수 후 근무일 기준 10일이 소요됨.

    일반여권 소지자의 알제리 입국 비자 취득 조건 - 여권 유효기간이 6개월 이상 남은 여권을 소지하고, 필요 서류를 갖춰 대사관에 비치된 소정 양식의 비자 신청서를 작성하여 주한 알제리대사관(영사관)에 제출하고, 소정의 비자수수료를 지불해야 함. - 2021년 9월 기준, 비자 수수료는 단수비자(관광비자)는 4만원, 복수비자 (상용비자)는 5만 7천원으로 공지되어 있으며, 현금으로만 지불 가능함. * 주한알제리대사관 웹사이트 참고: www.algerianemb.or.kr

    관광비자 - 알제리 체류에 필요한 충분한 재원을 객관적으로 입증할 수 있어야 하며, 호텔 예약증명서나 알제리에 거주하는 알제리 인으로부터 초청장과 숙박편의 제공 보장서를 받아 제출해야 함. - 숙박보장서는 알제리 내 행정 기초단체 사무소 (APC: 우리나라의 주민센터에 해당)으로부터 공증 필요

    비즈니스 입국비자 (상용비자) - 비즈니스 입국비자 즉, 상용비자는 회사의 직인 및 대표의 서명이 포함된 출장명령서와 함께 현지 KOTRA 무역관이나 알제리 측 비즈니스 거래선이나 파트너 업체의 초청장(Invitation Letter)을 첨부해야 하며 초청장 내용에는 피 초청인 의 인적 사항(회사명, 성명, 여권번호, 생년월일, 여권만료일)와 알제리 방문목적과 기간이 명기되어 있어야 함. - 초청장은 필히 송신자의 전화번호가 명시된 팩스로 수신 받아 제출해야 하며, 필요한 경우 초청장 스캔 원본을 같이 제출할 수 있음.

    출입국 수속 및 세관 신고
    입국수속 - 공항 도착 후 입국수속은 공항 입국심사대에 비치된 출입국신고서(CARTE DE EMBARQUEMENT/DEBARQUEMENT)를 작성하여 여권과 함께 제출 해야 함. - 출입국신고서는 아랍어와 프랑스어로만 되어있으니 다음의 안내를 참고하여 작성하여 제출

    여권 심사 후 출구로 나온 후 Baggage claim에서 수하물을 찾으면 되는데 수하물에 하얀 분필로 표시가 되어 있으면 세관 검색 대상이 되니 유의할 것. - 공항 세관통관 시 휴대품 검색 등 통관 절차는 비교적 수월한 편이나 과도한 샘플 등은 과세 대상임.

    세관신고 - 알제리는 단기 입국자의 경우 귀중품, 외화 1,000 USD 이상의 현금 소지에 대해 세관 신고 의무를 두고 있으며, 출국 시 입국 당시 반입한 물품 및 현금을 재 반출할 의무가 있음. - 입국하는 경우 입국심사 후 검색대를 통해 나오면 세관신고 창구에서 외환 신고를 해서 관련 증명서를 받아야 출국 시 외환을 휴대하고 출국하는데 문제가 없음. - 외환신고서가 없는 경우 출국 시 소지하고 있는 외화를 압수당할 위험이 큰 관계로 외화 1,000USD 이상을 소지하고 있는 경우 필히 신고에 응해야 함. - 또한 비즈니스 출장 시 샘플이 과도하게 많은 경우 인보이스 가격 기준으로 관세를 지불하는 경우도 있으니 유의하여야 함.

    출국수속 - 알제리 공항은 안전을 위해 공항 입구에서부터 보안 검색대를 한 차례 통과 해야 하며, 출국심사를 마친 뒤 한 차례, 그리고 탑승 게이트 앞에서 한 차례, 총 3번의 보안검색을 거쳐야 출국이 가능함. * 2019년 4월 개장한 신공항의 경우 항공사에 따라 탑승게이트 앞 보안검색 생략
    - 복잡한 보안 검색 절차 등과 수속창구가 많지 않은 점, 출입국 수속이 느린 점을 고려, 넉넉한 시간 여유를 두고 공항에 도착해야 하며 비행기 출발 최소 2시간 전에는 도착해서 수속을 밟아야 함. - 출국 심사 카드 또한 입국심사카드와 동일하게 아랍어 및 프랑스어로만 기재 되어 있으나, 입국심사카드와 항목이 동일한 바, 입국심사 카드 작성요령을 참고

    기타 참고 사항 - 현지에는 풍토병이 없어 말라리아 등 예방접종 및 방역은 필요가 없음. - 다만, 여름철 콜레라 발병 위험이 있어 예방접종이 권고되나 필수는 아니며, 현지에서 위생에 유의하며 대응 가능

    공항-시내 교통편 (코로나19 사태 이전 기준) - 공항버스, 지하철 등 공항과 시내를 잇는 대중교통 시스템 미비 - 알제공항에 도착하면 주요 호텔(Hilton, Sheraton, Mercure, IBIS)에서 셔틀 버스가 운행되니 공항 출구 앞에 위치한 호텔 인포메이션 데스크에서 운행 정보를 문의하면 됨. - 이외 주간에는 공항에 주차되어 있는 택시를 이용해도 무방하나 해가 진 이후에는 사전에 거래선 등에 연락하여 픽업을 부탁 하는 것이 안전함. - 공항 택시 요금은 일반 택시보다 비쌈. (최소 1000 ~ 1500 디나르를 요구. U$ 14~20에 해당하는 금액) 알제 공항에서 알제 시내까지는 20여 km가량 떨어져 있고 30분 정도 소요됨.

    주의할 점 - 입국 시 외화반입에는 별다른 제한을 두지 않으나 출국 시는 500유로 (미 화 700불) 이상 반출 시에 는 환전증명서나 증명할 수 있는 객관적 사실이 있어야 하니 유의. - 테러 방지를 위한 보안체크를 위해 비행기 출발시간 1시간 30분전에 체크인 창구가 마감 (Closing)되니 비행기 출발시간 최소 2시간 전에는 공항에 도착 해서 출국수속을 진행해야 함.

    환율/환전
    통화단위 및 종류 - 알제리 디나르(DA/Dinars Algerian)가 알제리 공식통화로 시중에 통용되며 미 달러화나 유로화는 환전을 통해 유통이 되고 있음. - 지폐는 2,000, 1,000, 500 DA권이 동전은 200, 100, 50, 20, 10, 5, 1DA 가 유통되고 있음.

    환율체제 - 알제리는 중앙은행에서 환율을 통제하고 있어 공식 환율의 경우, 급격한 환 율변동은 없는 편이며 알제리 중앙은행에서 자국통화에 대한 주요 외화인 유로, 미 달러화 등 환율을 매일 고시하고 있음.

    환전 - 알제 국제공항 내에 위치한 공항환전소나 알제 시내에 소재한 특급호텔 출납 창구(Cashier)에서 환전이 가능하며 시중 은행에서도 유로, 달러화 등 국제 결재 통화는 자유롭게 환전을 할 수 있으며, 환전 시 외환신고서를 제출해야 함에 유의 - 2021년 9월 기준 대미기준 환율은 USD 1= 136.62 DA 수준이며 환전 시 적용되는 환율은 은행이나 호텔 환전소마다 다소 상이함.

    신용카드 사용 - 알제리는 금융 산업의 낙후로 상거래 관습상 주로 현금으로 거래가 이루어짐. - 알제리에서는 여행자수표는 중앙은행에서만 교환이 가능하여 불편하며 신용 카드를 사용할 수 있는 곳도 특급호텔 등으로 한정되어 있고 신용카드로 공항 등에 위치한 ATM기에서 현지화인출 서비스는 가능하나 달러, 유로 등 외화인출 서비스는 불가.

    교통/통신
    항공편 - 우리나라와 알제리 간에는 직항 항공노선이 운항되지 않고 있음. - 인근 유럽 프랑스 (파리), 이탈리아(로마), 독일(프랑크푸르트), 영국(런던), 스페인(바르셀로나)이나 중동의 터키 (이스탄불), 이집트(카이로), 카타르(도하), UAE(두바이)를 경유하여 알제리로 오는 방법이 있음.

    시내교통 - 현재까지 공항에서 시내를 연결하는 대중교통편은 없음. - 알제 시내에는 지하철, 버스 등의 대중교통수단이 마련되어 있긴 하나 정류장 표시 및 노선 안내 시스템이 부재하여 외국인들이 이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음. -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교통수단은 택시이며, 미터기가 있긴 하나 대부분의 기사들이 탑승 전에 요금을 협상하고 승객을 태우고 있음. 영어 구사가 가능한 택시 기사는 극소수이며, 외국인들에게는 일반 승객에게보다 2~3배에 달하는 요금을 요구하는 경우가 매우 많으니 주의가 필요함. - 2018년 3월 말부터 시내에서도 뒷좌석 안전벨트 착용이 의무화 되어있음에도 불구, 뒷좌석에 안전벨트 자체가 없는 택시가 많은 바, 탑승 시 안전에 유의해야 함.

    국제통신 - 알제리에서 통신서비스는 알제리우정국에서 관리해 오다가 상업적인 통신 서비스 분야는 국영기업인 알제리 텔레콤에서 통신서비스를 담당하고 있음. - 국제 통신 라인이 부족하고 설비 노후화로 통화음질이 양호하지 못하며 자주 끊기는 수도 있어 열악한 편이지만 사용 요금은 비싼 편임. - 알제리에서 한국으로 전화걸기 : 00 + 82 + 지역번호 + 전화번호 ex) 02-3460-7114의 경우 00-82-2-3460-7114

    인터넷 - 인터넷은 ADSL 인터넷서비스(최고속도 25메가)가 본격적으로 서비스되어 획기적으로 개선되고 있으나 회사의 경우 월 사용료가 최소 U$200에 달함. - 최근 일부 특급호텔 비즈니스센터에서 인터넷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고 공항과 호텔 내에서 무선 인터넷이 서비스되고 있어 인터넷 환경이 점차 개선되고 있는 중이나 한국 등 주요 IT 선진국과 비교하면 매우 낙후되어있는 수준임.

    호텔/식당
    알제리에는 외국인 비즈니스 방문객을 위한 비즈니스 호텔이 제한되어 있어 인근 마그레브 국가인 모로코, 튀니지에 비해 상당히 부족한 실정에 있고 호텔수준에 비해 가격이 2-3배 고가로 유럽과 거의 같은 요율임. - 호텔은 성수기와 비수기에 따라 요금이 달라지고 성수기에는 호텔예약이 극히 어려운 실정이며 할인요금을 적용하지 않고 정상가격을 받는 것이 관례임. - 알제리 내 호텔은 일부 호텔을 제외하고는 국내외 호텔예약사이트를 통해 예약이 불가능한 실정이나 점차 개방화 되고 있음.

    알제市에는 외국인 구미에 적합한 프랑스, 이태리, 레바논, 터키식당 등이 10 여 곳 영업하고 있음. - 한국인 입맛에 맞는 한국식당이나 일본식당은 없으며, 한인이 운영하는 게스트 하우스에서 투숙객들을 위해 한식을 준비하고 있음. 투숙객 이외에는 이용이 불가한 점 참고.

    주요 식당 리스트

    여행시 유의사항
    1990년대 초부터 10여 년간 지속된 이슬람 원리주의자의 테러는 국내적으로는 사회불안 요소로, 대외적으로는 알제리의 국가이미지를 훼손하는 원인으로 작용, 외국인 투자유치 등 알제리 경제발전의 최대 걸림돌로 작용했었으나 2005년 9월말 실시한 국민대화 합헌장(Charter for Peace & National Reconciliation) 법안이 국민투표로 통과되어 사실상 테러가 종식된 것으로 알제리정부는 대내외에 공표한 바 있음.

    최근 테러발생이 국경지대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거의 사라져 우리나라를 비롯한 외국 기업인들이 자유롭게 알제리를 방문하고 있음. - 특히 수도 알제의 치안은 많이 안정이 되어 주간 시간대에는 활동이 자유 로운 편임 - 그러나 저유가에 따른 경기 침체로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소매치기, 절도 등의 경범죄가 끊이지 않고 있어 야간에는 각별히 주의해야 함.

    만일의 사태를 대비하여 테러 발생 가능성을 항상 염두에 두고 지방 출장 시는 육로보다는 항공편을 이용하고 우리 대사관이나 현지 KOTRA와 유기적 연락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 함. - 최근 수도 알제 이외 오랑, 콘스탄틴, 아나바, 바트나 등 지방에 소재한 주요 상업도시를 방문하여 상담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는데 지방 출장시는 가급적 항공편을 이용 하거나 육로 이동 시는 현지인을 대동하여 주간에 이동하는 것이 좋음. - 테러 발생 가능성 있는 위험지역으로 알려진 곳을 방문 시 경유하는 것과 심야 단독외출은 자제하는 것이 바람직함. 현재까지도 미국, 영국, 일본 등 서방국의 경우 알제리의 치안 상태는 위험수준으로 평가해 자국민 여행금지 지역으로 지정하고 있으며 우리정부는 일부지역은 철수권고, 대부분의 지역은 여행 자제지역으로 분류하고 있음.

    알제리에서 서비스요금을 지불 시 팁은 의무사항이 아니라 팁을 주지 않아도 큰 문제는 되지 않음. - 알제리인의 경우 자존심과 사회주의 경험으로 외국인에게서 잔돈을 받는 것을 달가워하지 않는 분위기였으나 최근 외국인 방문 잦아지며 호텔, 식당가 등 서비스업계에서 팁 관행이 서서히 확산되고 있는 상황으로 상황에 따라 약간의 팁을 주는 것이 바람직함. - 공항이나 호텔에서 택시를 이용할 경우와 호텔 등에서 포터가 짐을 옮겨줄 경우에 100디나(약 미화 1-2불)정도의 팁을 지불하면 됨. - 그리고 호텔투숙 시, 침실 청소 시 머리맡 눈에 띄는 곳에 침대 1개당 100디나 정도를 놓아두면 좋음.

    문화적 특이/ 금기사항
    132년의 식민 지배를 스스로 탈피했던 경험, 또한 인근 튀니지, 모로코 등의 마그레브 국가들과는 달리 석유, 가스가 풍부한 자원 부국인 이유로 주변국가들에 비해 국민소득이 높음. - 이에 마그레브의 맹주라고 여기는 경향이 있고, 이에 사회주의경험까지 더 해져서 알제리 국민들의 자존심은 매우 강함.

    외국인에 대한 배척이 인근 국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였으나, 최근 문호개방이 가속화 되면서 점차 외국인 배척이 완화되는 편임 - 그러나 일반 알제리 국민들의 동양인에 대한 인식은 아직까지 비우호적인데, 이는 알제리 내 약 20만 명으로 추산(정확한 통계는 알제리 당국에서 조차 집계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되는 중국인 노동자들에 대한 거부감 때문임. - 알제리 내 불법입국자를 포함하여 중국인들이 최근 급격히 늘어나면서 이들 중 일부는 알제리인보다 더 낮은 임금으로 고용되고 있는데 중국인에 대한 알제리인들의 인식은 좋지 않음.

    대부분의 알제리 인들은 처음 본 동양인을 중국인으로 오인하여 거리에서 어디서나 중국 인사말을 들을 수 있음. - 대부분 “니하”(중국말 니하오를 비하), “시누이”(중국인을 뜻하는 프랑스어 시누와를 놀리는 표현)이라고 말을 걸거나 놀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굳이 반응하기보다 무시하는 것이 좋음.

    한국에 대한 이미지는 상당히 발전된 국가라고 인식하고 있음.

    알제리는 이슬람국가이나 여성의 사회참여도가 높은 편이며 라마단 기간 등 종교 휴일을 제외하고는 호텔 및 주류 판매 허가를 받은 레스토랑에서 주류가 판매되는 개방된 문화를 갖고 있음. - 또한 주류를 전문으로 판매하는 상점도 시내에 몇 군데 눈에 띔. 와인이나 맥주는 쉽게 구할 수 있음.

    알제 등의 대도시에는 이슬람 색채가 다소 약하나 지방으로 갈수록 이슬람의 영향이 강해지며 전통 이슬람 복장을 착용한 사람이 많음. - 이에 사진촬영, 여성과의 대화 등 무슬림을 자극하는 행동은 자제 필요

    현지 주요 연락처
    1. 주알제리 대한민국대사관
    주소 : Ambassade de la Republique de Coree
    23 Chemin de la Madeleine Chekiken, Hydra, Alger

    연락처 - 대표전화 : +213-23-18-77-17 - 팩스 : +213-23-18-77-73 - 이메일 : koemal@mofa.go.kr - 당직 전화(평일 17시 이후, 금·토요일) : +213-7-70-11-44-00

    2.긴급 연락처
    대사관 여권·비자·사건사고 담당 영사 : +213-7-70-20-04-01 / +213-7-70-88-16-84 대사관 당직 전화(평일 17시 이후, 금·토요일) : +213-7-70-11-44-00 알제리내 대테러 및 치안 담당국 (Lutte Anti-Terroriste, Gendarmerie Nationale) : 대도시 및 지방 치안·안전 담당 - 전화 : 국번없이 1590(24시간) 또는 021-97-88-88

    알제리 경찰(Police) 우리나라의 일반 경찰 - 전화 : 국번없이 1548(24시간) 또는 17

    알제리 치안국 소속 알제리 내 외국 대사관 보호국 - 전화 : 021-58-20-80(24시간) 비상시 우리나라 일반인도 협조 요청 가능

    민방위(일반 시민 보호 기관, Protection Civile) : 우리나라의 119에 해당 - 전화 : 국번없이 14 또는 021-61-00-17

    헌병대(Gendarmerie) - 전화 : 국번없이 1055

    소방서 - 전화 : 국번없이 14 또는 021-71-14-14

    구급차(Ambulance) - 전화 : 021-23-63-81 또는 021-71-14-14

    주요대학병원 - CHU Mustapha : 021-23-55-55 - CHU Beni-Messous : 021-93-11-90 - CHU Bussein-Day : 021-49-56-56 - CHU Constantine : 031-64-16-07 - CHU Oran : 041-41-22-38/39/40 - CHU Annaba : 038-83-56-30/33 - CHU Blida : 025-41-29-81/83 - CHU Tizi-Ouzou : 026-21-13-16


  • Ⅴ. 무역관 안내
    1. 무역관 안내
    주소 KOTRA Alger, Section Commerciale de l’Ambassade de Republique de Coree Rue No 6 Lot Piette Paradou Hydra Alger
    전화+213-23-47-39-09 / 44 팩스 +213-23-47-39-10
    홈페이지https://www.kotra.or.kr/KBC/alger/


    2. 무역관 직원 안내
    성명직급이메일
    한석우관장swhan@kotra.or.kr
    박준한과장 parc@kotra.or.kr



현재 페이지의 이전글,다음글 이동 안내 테이블입니다.
이전글 덴마크 출장자료 (2021년)
다음글 이라크 출장자료 (202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