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외교 활용사례 상세
제목

케냐 출장자료(2021년)

관련국가 케냐
  • Ⅰ. 국가 개황
    1. 국가개요

    2. 주요경제 지표 주*) ILO, 주**) Global Trade Atlas, 주***) 케냐중앙은행, 주****) EIU 자료 : IMF



  • Ⅱ. 경제 무역동향
    1. 주요 경제정책
    케냐 경제개발 청사진 비전 2030 추진
    케냐는 2008년부터 2030년까지 케냐의 경제개발 청사진인 Vision 2030을 시행하고 있으며 새로운 산업화를 통해 케냐를 중산층 국가로 만드는데 목표를 두고 있음. 현재 제 3차 중기 계획 (2018-2023)을 지속가능한 개발목표와 경제성장에 초점을 맞춰 시행 중에 있음.

    Big4 아젠다 달성을 우선순위로 두어, 경제를 높은 성장궤도로 올려 2022년까지 GDP 성장률 7%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음. 저축 및 투자, 중소기업지원, 석유·가스 및 광물자원, 어업, 기후변화 대응 분야에 집중 예정

    BIG4 아젠다 (Big Four Agenda)
    2017년 11월 28일 재임에 성공한 우후루 대통령은 2차 재임기간동안 식량안보, 서민주택보급사업(Affordable Housing), 제조업, 보편적 의료보장 (Affordable Healthcare)의 4대 산업 분야를 집중 지원하고 활성화하는 ‘Big Four’ 정책을 펼치고 있음. Big4 아젠다를 통해 경제를 살리고 가시적인 일자리 창출을 촉진 시킬 계획

    케냐는 경제발전 및 산업구조 고도화를 위해 1차 산업 중심의 산업 구조를 탈피하고자 제조업 육성에 집중하고 있으며 투자유치에 힘을 기울이고 있음. 식품 가공, 의류 제조, 가죽 가공 등의 분야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있음.

    2. 주요 산업
    농업
    케냐는 농업 중심의 국가로 농업은 2020년 GDP 대비 27.9%를 차지하고 있음. 케냐의 농업은 기후변화에 매우 민감하며 강수량에 따라 케냐 GDP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 주요 재배작물은 차, 화훼, 커피, 사탕수수, 옥수수 등이 있음.

    제조업
    제조업의 비중은 GDP의 7.5%로 코로나 19로 인하여 2020년에는 전년 대비 크게 성장하지 못하였으나 케냐는 10여 년 전부터 제조업 활성화에 노력하고 있으며 제조 분야를 발굴하고 육성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음. GDP 대비 제조업 비중을 15%로 증가시키려는 계획을 추진 중에 있으나 지난 5년간 전체 경제에 대한 기여도는 점차 감소하고 있음. 2018년부터 정치 안정과 우후루 대통령의 핵심 사업인 BIG4 사업 중에 제조업 육성을 통한 고용창출 분야가 포함되어 제조업의 회복 및 성장세를 기대

    관광산업
    천혜의 야생동물 국립공원을 보유한 관광사업은 케냐 경제활성화의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케냐의 2020년 해외 방문자 수는 코로나 19의 여파와 락다운 정책으로 56만명으로 크게 감소하였다. 하지만, 코로나 이전 2019년 해외 방문자 수는 204만8334명 수익은 16억 달러 매년 증가 추세였으며, 케냐정부의 치안 및 국 방분야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로 전통적으로 강세였던 분야를 유지, 발전시키는데 노력을 경주

    3. 무역동향
    수출
    케냐의 수출은 2018년 60억 500만 달러에서 2019년에는 전년대비 3.7% 하락한 57억 7900만 달러를 기록하였으나, 2020년에는 코로나 여파에도 불구하고 회복세를 보였다. 수출 감소는 주요 수출품인 차와 커피 가격 하락에 기인한 것으로 일시적인 현상으로 보이며, 점진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대 동아프리카 공동체(EAC)수출은 케냐 전체 수출의 약 23.5%를 차지하며 가장 많은 기여를 하고 있음. 특히 2020년 탄자니아, 르완다, 우간다 수출액은 지속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인근국인 남수단과의 교역이 활발하게 증가하였으며, AfCFTA의 비준으로 아프리카 국가간의 교역이 더욱 증가할 전망이다.

    주요 수출 대상국 및 수출액 (단위: US$ 백 만, %) 자료원 : Global Trade Atlas

    2020년도 주요 수출 품목은 차(Tea), 화훼류, 커피, 석유제품, 티타늄 (원석)으로 전체 수출의 약 42%를 차지하고 있음. 차는 12억 1400만 달러, 커피는 2억 1300만 달러, 티타늄은 1억 3400만 달러, 화훼는 5억 6700만 달러, 석유제품 (재수출)은 4억 300만 달러로 집계되었으며, 주력품목인 차와 커피에 대한 집중도가 심해지고 나머지의 점유율은 하락하였다.

    주요 품목별 수출액 (단위 : US$ 백 만,%) 자료원 : Global Trade Atlas

    수입
    케냐는 전통적으로 농업 중심국인데다 제조업이 빈약하여 수입 의존도가 높음. 생활소비재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산업용 기계류와 석유의 수입 의존도가 매우 높은 편 임.

    2020년 코로나 19로 인한 정부 및 케냐 기업들의 긴축정책, 자본재 수입 둔화로 총수입은 153억 5300달러로 2019년 대비 10%가 감소, 중국이 전체 수입의 21.93%를 점유하며 2013년 이후 꾸준히 케냐의 최대 수입국으로 자리 잡고 있음.

    2020년 기준 케냐의 주요 수입 대상국은 중국(약 34억 달러), 인도(약 17억 달러), UAE (약 9억 달러), 일본(약 8억 달러), 사우디(약 7억 달러) 등임.

    주요 수입 대상국 및 수출액 (단위: US$ 백 만, %) 자료원 : Global Trade Atlas

    2020년도 주요 수입 품목은 석유(원유), 자동차류, 밀 및 메슬린, 전화기, 철강 제품 등이며, 이들의 수입이 전체 수입의 약 24%를 차지함.

    주요 품목별 수입액 (단위 : US$ 백 만,%) 자료원 : Global Trade Atlas

    무역수지
    케냐 경제는 제조업 기반이 약하고, 대외원조 의존도가 커서 만성적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하고 있음.

    2020년 수출은 60억 달러, 수입은 153억 달러로 각각 2019년 대비 수지가 대폭 개선되었으며 2020년 무역수지 적자는 93억 달러로 2019년 대비 17% 하락함.

    무역 수지 추이 (단위 : US$ 억,%) 자료원 : Global Trade Atlas

    4. 외국인 투자 동향
    외국인 투자진출 동향
    2019년 대 케냐 직접투자 유치는 12억 달러 규모로 총 261건의 투자가 이루어졌음. 투자액은 2018년 대비 66.2%, 투자건수는 238.9% 증가함.

    對 케냐 외국인 직접투자 유치 동향 (단위: US$ 백 만, 건, %) 주) 상기 통계치는 케냐 투자청에서 입수한 자료로, 공식적으로 잡히지 않은 투자건도 포함하기 때문에 World Bank 수치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 자료원 : 케냐 투자 진흥청

    2019년 분야별 투자 현황은 건축 분야가 6억 5732만 달러(30건)로 가장 많은 투자가 이루어 졌으며, 제조업 분야가 3억 4424만 달러(43건)로 2위를, 농업 분야가 4175만 달러(15건)로 3위를 차지함.

    對케냐 외국인 분야별 직접투자 동향(2017-19) (단위: US$ 백 만, 건) 자료원 : 케냐 투자 진흥청


  • Ⅲ. 한국과의 교역동향
    1. 우리나라의 對 케냐 수출입
    우리나라의 對 케냐 수출
    대 케냐 수출액은 2018년 16.9% 증가한 2억 3959만 달러 지속 증가세에 있었으나 2019년 1억 5112만 달러를 수출하며 전년대비 36.9% 감소했으나, 코로나 19에도 불구하고 2020년 2억 2000만달러로 반등세를 보였다.

    2020년 주 수출 품목은 석유화학제품, 정밀 화학원료, 합성수지, 철강제품임.

    우리나라의 주요수출품목 (단위 : US$ 천, %) 자료원 : KITA 한국무역통계

    우리나라의 對 케냐 수입
    우리나라의 대 케냐 수입은 수출에 비해 아직 미약함. 2019년 총수입액은 4360만 달러로 2018년 대비 13.6% 감소하였고, 2020년 수입 역시 약 3700만 달러로 대부분의 주요 품목들이 2019년 대비 감소함.

    2019년 주요 수입 품목은 커피류, 동괴/스크랩, 의류, 기타금속광물 등 임.

    우리나라의 주요수입품목 (단위 : US$ 천, %) 자료원 : KITA 한국무역통계

    우리나라와의 무역수지
    2020년 우리나라의 대 케냐 수출은 2억 2000만 달러에 비해 수입은 3700만 달러로 1억 8300만 달러의 흑자를 기록함.

    무역 수지 추이 (단위: U$ 백 만,%) 자료원 : KITA 한국무역통계

    우리나라의 진출 기업

    2. 우리나라의 對 케냐 투자동향
    한국기업 투자동향
    2020년에는 한국기업의 투자는 없었으나 2019년에 2건의 대 케냐 투자가 이뤄졌으며, 1개의 법인이 신규로 설립되었고, 5만 3000 달러가 실제로 투자되었음.

    대 케냐 투자 동향 (1980 년 이후 ) (단위: 건, 개, U$ 천) 자료원 : 한국수출입은행


  • Ⅳ. 현지 체류시 참고사항
    1. 비자 및 출입국
    비자 취득
    케냐 입국 시 도착 비자(24시간 운영)를 신청할 수 있으며, 비용은 50달러 (외교관/관용여권 면제)로 신청서 작성 시 그 자리에서 바로 발급이 가능함. 미리 한국에서 비자를 발급받을 경우에는 인터넷(www.evisa.go.ke)에서 eVsia를 발급받을 수 있으며 이때 비자비용은 서비스비용 1달러가 추가된 51달러임. (주한 케냐 대사관에서는 비자 발급서비스 중단)

    비자 발급을 위해서는 (1) 서명이 돼 있는 유효기간 6개월 이상의 여권, (2) 사진 2매, (3) 비자 신청서, (4) 비자 발급비가 필요하며, 경우에 따라 항공 일정표, 출장 증명서, 숙소 주소 등이 필요할 수 있음. 케냐 입국시 도착비자를 받을 경우 따로 사진을 제출하지 않아도 됨. 케냐를 경유해 타국으로 가는 일정 시, 케냐 공항 밖으로 잠시 나올 경우는 경유 비자를 발급받아야 하며 20달러가 소요됨.

    관광 비자로는 3개월간 체류 가능하며, 필요 시 이민국에서 3개월 갱신이 가능하여 총6개월 체류가 가능. 더 연장이 필요할 경우는 동아프리카 공동체 회원국(우간다, 탄자니아, 르완다, 부룬디)을 제외한 제3국으로 나갔다가 다시 들어오는 방법이 있음. - 첫 입국시 체류기간을 3개월을 주었으나 최근에는 1개월을 주는 경우도 많아, 관광 비자를 받은 경우에는 발급받은 비자에 체류기간이 얼마인지 꼭 확인하여 필요한 경우 연장을 하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함. - 케냐에 입국 후 우간다, 탄자니아, 르완다, 부룬디 등 동아프리카 공동체 회원국 방문 시에는 방문국 비자비용은 소요되나 케냐 비자 유효기간 내 케냐로 복귀 시에는 케냐 비자를 재취득할 필요가 없음.

    황열병 (Yellow Fever) 예방접종
    황열병 (Yellow Fever) : 예방 접종 및 증빙서 지참 - 접종지 : 국립중앙의료원 및 전국 14개 검역소, 충남대병원, 분당서울대병원 - 시 기 : 출국 2주일 전 (필수) - 입국 시 황열병 예방접종 증빙서(노란색) 지참 필수. 1회 접종시 평생 유효

    코로나19 관련 참고사항 - 케냐는 ‘20.8.1일부터 국제공항 정상 운영을 지시하였으며, 확진자 수가 많지 않은 중.저 위험국가들을 중심으로 14일간의 의무자가격리를 면제하고 있음 - 한국 국적자도 케냐도착전 96시간 이내에 코로나 무감염 확인서를 지참하고, 케냐 공항 도착시 체온이 37.8도를 넘지 않고 의심증상이 없는 경우는 14일 자가격리가 면제됨 * (주) 코로나19의 사태 진행에 따라 추후 변경될 수 있음.

    입국 시
    세관 통관 - 수하물 수취대에서 여행 가방을 찾은 후, 출구게이트 바로 앞에 있는 세관 검색대 앞을 지나가야 함. 가방 안을 확인하는 경우가 많음. - 케냐 야생동물법 강화로 상아로 된 물건 뿐 아니라, 보호동물의 장식품(뼈, 뿔, 가공되지 않은 타조알) 휴대 시 검거 및 중형을 선고하는 경우도 있으니, 주변국(주로 콩고)에서 관련 상품 반입 자제

    출국 시
    출국 시 유의사항 - 상아, 뼈, 뿔, 타조알 등 보호동물의 장식품은 반출 불가이며 적발시 징역 또는 벌금형에 처할 수 있으므로 현지에서 구매 및 휴대 금지 - 모든 항공사는 비행기 출발 최소 2시간 전에 체크인 절차를 받도록 권고하고 있으며, 케냐공항관리국은 최소한 3시간 전에 공항에 도착하여 차량 보안 검사 및 개인별 보안 검사를 종료 후 출국장으로 입장하도록 권고

    코로나19 관련 참고사항
    유의사항 - 첫 입국시 체류기간을 3개월 주었으나 최근에는 1개월을 주는 경우도 많아, 관광비자를 받은 경우 발급받은 비자에 찍힌 체류기간이 얼마인지 꼭 확인하여 필요한 경우 연장을 하는것을 잊지말아야 한다. - 코로나19사태로 인해 케냐는 2020. 4.부터 국제선 운항을 전면 금지 조치하였으나, 2020년 8월 1일부터 대통령 명령으로 국제선 운항이 재개 되어 정상 운항되고 있다. - 케냐 정부는 코로나 사태로 인해 2021년 1월부터는 도착비자 발급을 전면 중단하고 모든 방문객은 인터넷을 통해서 사전에 비자를 신청하도록 발표하였다. - 통행금지 시간(나이로비 오후10시~익일 오전 4시) 이후 입국자들은 유효한 항공권(탑승권 등) 지참 시에만 나이로비내 호텔 혹은 거주지까지 이동 가능하다.

    코로나음성테스트(PCR) 증빙 - 음성확인서는 케냐 도착 시간 기준 96시간 이내 검사를 받아 발급받은 영문확인서만 인정한다.(한글 및 번역본 불인정, 검사 시 반드시 여권을 소지하고 영문확인서상에 여권상 이름, 여권번호, 검사받은 날짜 및 시간 반드시 기재) - 케냐 입국 이전에 trustedtravel.panabios.org 접속하여 계정 생성 후 음성확인서 업로드 (Check in→upload lab test certificate No TT 메뉴 이용). 영문+숫자로 구성된 코드(TT 코드) 생성되면 함께 나오는 QR코드 저장, 공항에서 요구시 제시하면 된다.(사전에 QR코드를 구비해놓지 않으면 입국 절차가 매우 복잡해짐) - 케냐 보건부 홈페이지(https://ears.health.go.ke/airline_registration/)에 접속, 인원별로 Travelers Health Surveillance Form을 작성한 후 각자 전송받은 QR코드를 케냐 공항 입국 시 제공한다.(핸드폰 또는 출력물)

    2. 현지기후 및 시차
    기후
    케냐는 적도지역에 위치한 국가이나 열대의 해안지대부터 사바나 초원, 반사막, 고산지대에 이르기까지 지역에 따라 기후가 다양. 2번의 우기가 있으며 3월부터 6월까지 대우기(연간 총 강유량의 약 70%), 10월부터 12월까지 소우기임. 나이로비와 같은 고도가 높은 지역의 기온은 평균 섭씨 18도정도 이며 몸바사와 같은 해안지역은 평균 섭씨 26도임. 나이로비의 2월 평균기온은 섭씨 13~28도로 가장 덥고, 7월은 섭씨 11~23도로 가장 추움 (우리나라 초가을 날씨와 유사) 복장은 봄-가을 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으며 계절이 우리나라와 반대로 6-8월이 겨울, 12-2월이 여름 기후임. 6-8월의 경우 아침저녁 기온이 10°C까지 떨어지는 경우도 있어, 가벼운 점퍼나 셔츠, 긴팔 의상도 필요함.

    시차
    한국과는 6시간 차이가 나며 (ex. 케냐 오전 6시 = 대한민국 오후 12시) 섬머타임 적용을 하지 않음.

    3. 환전
    환율 및 환전
    US$ 1 = 107.7074 실링 (2020.8.1.기준, 케냐중앙은행)

    통화체계 - 동전: 1실링, 5실링, 10실링, 20실링 - 지폐: 50실링, 100실링, 200실링, 500실링, 1000실링 - 2019.10월부터 신화폐로 교체되었으며, 1000실링 지폐는 신권만 통용되나, 나머지 지폐 및 동전은 이전 화폐와 혼용하여 사용 가능함.

    환전은 공항, 호텔, 은행 등에서 할 수 있으며 시내 곳곳에 설치된 Forex 또는 Bureau de change 등 사설환전소에서도 가능함. 환전은 환전소에서 하는 것이 가장 유리하며, 100달러 이상 환전 시 여권 등을 제시하도록 요구하는 경우가 많으며, 50달러 미만의 경우 소액 환전으로 환율을 불리하게 적용하는 경우가 있음. 남은 현지화 역시 달러로 환전이 가능함.

    신용카드 이용
    호텔, 쇼핑몰, 음식점 등 신용카드사용이 보편화 되어있음. Visa, Master Card, American Express등 대다수의 카드가 통용되고 있으나 케냐 방문 시에는 Visa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유리함.

    4. 교통
    교통상황
    출근, 퇴근길에는 도로 정체가 심각함. 현지의 업무시간은 8:00~17:00이므로, 오전 7:00~9:00, 오후 16:00~20:00 구간 대가 가장 정체가 심한 시간대이며 특히 비가 오는 경우, 도로가 잘 정비되어 있지 않아 교통정체는 더욱 심각해질 수 있음.

    대중교통
    버스 : 케냐의 경우, 현지 버스를 '마타투 (Matatu)'라고 불리며, 봉고차 크기와 일반 버스 크기가 있으며, 비좁고 낡아서 이용에 불편한 점이 있고 버스 체계가 잘 정비되어 있지 않아 외국인들의 경우 이용하는 경우가 드물고 주로 현지인들이 애용함. 나이로비에서 지방(몸바사 등)으로 다니는 시외버스가 있으며 시외버스 예매는 온라인으로 가능한 곳도 있음. 최근에는 모바일 앱을 기반으로 하는 버스시스템이 선보이고 있으며 앱을 통해 버스를 예약하고 지정된 버스정류장에서 승하차를 할 수 있음. 버스노선 및 운행 회차는 아직 적은 편임. 대표적인 앱으로는 SWVL가 있으며 앱스토어에서 다운받아서 이용할 수 있음.

    오토바이 : 보다보다(Bodaboda)라는 오토바이를 이용하는 이동수단도 있으며 택시 앱에 들어가면 보다보다도 이용할 수 있음. 교통 정체시 택시보다 빨리 갈수 있고 가격이 저렴하나 교통법규를 무시하는 오토바이 운전자가 많아 안전상 이용을 자제하는 것이 좋음.

    철도 : 표준궤 철도가 나이로비-몸바사 구간을 운행하고 있음. 소요시간은 5시간정도이며 일 2회 운행하고 있음. 요금은 성인 1인 기준 1등석이 30달러, 2등석은 10 달러 수준임. https://metickets.krc.co.ke/ 사이트에서 예매할 수 있음. 기타 지역은 여객철도가 없어 국내항공이나 시외버스를 이용해야 함.

    국내항공 : 나이로비-몸바사 간 중형 항공기가 운영, 도시 및 사파리 관광지는 경비행기 이용 - 나이로비-몸바사, 키수무, 엘도렛, 말린디, 라무는 나이로비국제공항을 이용. 몸바사행의 경우 1일 10편 운행. 왕복 요금은 15,000-20,000 실링 - 나이로비에서 주요 관광지로는 윌슨 공항 (경비행기 전용)을 주로 이용. 1일 1-2편 운행

    택시
    우버(Uber)나 볼트(Bolt) 등의 택시 앱을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일반 택시에 비해 안전하고 가격이 저렴함.

    유의사항: 노상강도들이 교통 체증으로 정차가 심한 상황에서 창밖으로 물건 특히 휴대폰을 훔칠 수 있기 때문에 택시를 탄 경우에는 창문을 많이 내리지 않는 것을 추천함.

    5. 통신
    핸드폰
    케냐의 이동통신 및 데이터 비용은 비싸지 않은 편이며 모바일 인터넷 속도도 많이 발전하였음. 언락 폰을 가지고 있으면 케냐에 도착 후. 공항이나 시내 등에 있는 통신회사 대리점에서 쉽게 심(SIM)카드를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음. 심카드 구입시 여권과 구입비용 100실링이 필요하며, 선불카드를 구입해 충전하여 사용하면 됨. 케냐는 후불제보다 선불카드를 이용하여 충전해서 쓰는 경우가 일반적 임.

    케냐의 대표적인 통신회사는 사파리콤(Safaricom), 에어텔(airtel), 텔콤(Telkom)이 있으며 이중 사파리콤을 제일 많이 사용함.

    통신회사 별 데이터 요금은 아래와 같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선불 요금 패키지가 있음. - Safaricom: 5GB+FREE Whatsapp, 1,000실링 (기한 30일) - airtel: 5GB+FREE Whatsapp, 500실링 (기한 30일) - Telkom: 5GB+FREE Whatsapp, 500실링 (기한 30일)

    Safaricom 선불충전방법 - 충전카드를 구매 후, 폰에 에어타임을 구매하는 방법: *131*충전카드 씨리얼넘버# 통화 버튼 - 남은 에어타임을 확인하는 방법: *144# 통화 - 충전된 에어타임으로 인터넷 데이터를 구매하는 방법: *544# 통화를 누른 후, 나와 있는 옵셥 중에 선택

    6. 문화적 유의사항
    상담 및 문화적 유의사항
    복장 : 현지에서는 비즈니스 상담 시 복장이 중요한데 이유는 복장이 지위와 부를 나타내기 때문. 대부분의 비즈니스맨은 넥타이 차림이며, 깔끔하고 격식을 차린 복장은 상대방에게 좋은 인상을 줄 수 있고 대접을 받을 수 있음. 특히 관공서 방문 시 정장 넥타이 차림은 필수적임.

    인사 : 악수를 교환하는 것이 일반적인 인사법이며, 현지인들은 친밀도에 따라 가벼운 포옹도 가능함. 마사이족의 경우 반가움의 표시로 얼굴의 침을 뱉기도 하는데, 불쾌함의 뜻이 아니라 반가움의 표시이므로 오해를 하지 말아야 함. 하지만 비즈니스 관계의 바이어라면 악수를 하는 것이 보편적임. 악수나 명함을 주고 받을 때는 오른손으로 하는 것이 좋음. 기본적으로 현지 스와힐리어로 "잠보"(Jambo, 처음 만날 때 가벼운 친근감을 주는 인삿말) 등을 알아두고 인사하면 첫 대면부터 마음을 열고 대화를 시작할 수 있음.

    약속 : 케냐인들은 시간에 얽매이지 않는 편이여서, 약속시간에 늦는 경우가 있음. 나이로비와 같은 대도시의 경우에는 극심한 교통체증으로 인해 약속시간에 늦는 경우가 많아 너그러운 마음을 가지는 것이 좋음. 또한, 가족 안부부터 날씨 등의 대화를 하면서 비즈니스 본론으로 들어가기까지 많은 시간을 할애함. 한국인의 특성과는 반대의 성격을 가지기 때문에 이와 같은 특성을 이해하지 못하면 케냐인들과의 원활한 비즈니스 수행을 하기가 어려움.

    대화 : 케냐에서 비즈니스 시 바이어와 개인적인 친분을 쌓는 것이 중요함. 이런 개인적인 유대관계가 비즈니스에 결정적인 요소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아, 비즈니스 미팅 시에도 날씨, 스포츠 이야기 등 가벼운 주제로 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직접적인 표현은 되도록 삼가고 간접적이거나 유머적인 표현으로 대화를 시도하는 것이 좋음. 케냐 상용언어인 스와힐리어를 미팅 전에 익혀두고 가는 것은 비즈니스 미팅 분위기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음.

    주로 쓰이는 스와힐리어 - Jambo(잠보): Hello - Habari yako?(하바리 야꼬): How are you? - Nzuri sana(은주리 싸나): Very good - Asante sana(아산테 싸나): Thank you very much - Karibu(카리부): Welcome - Kwaheri(콰헤리): Good-bye - Sawa Sawa(싸와 싸와): Okay, fine - Hakuna matata(하쿠나 마타타): No problem - Nina toka Korea (니나 토카 코레아): I am from Korea

    Tip
    식당 등 서비스업종에는 가격에 봉사료가 포함되어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팁을 지불 하지 않아도 되지만, 100-200실링 주는 경우도 있음.

    생활정보
    전압/플러그 : 전기 시스템은 220~240V/50Hz이며 영국식 3핀 타입(Type G) 전기 어댑터를 사용함.

    식수 : 케냐의 수돗물은 식수로 부적합하니 반드시 미네랄 워터를 구입해 음용하는 것이 좋음. 특히 살모넬라균에 의한 급성이질 등 현지 수인성 질환에 유의해야 함.

    치안
    케냐 방문 및 활동시 코로나19에 따른 다음 유의사항을 준수해야 함 - 2020.8.1.일부로 모든 공공장소, 택시나 개인차량 (2인 이상 탑승시)에서 마스크를 만드시 착용해야 하며 위반시 벌금형에 처함 - 매일 오후 9시부터 익일 오전 4시까지 통행금지 - 식당은 오후 7시까지 만 운영이 허용되며 사회적 거리두기 및 기본위생지침을 철저히 준수하고, 주류의 판매가 금지됨 * (주) 코로나19의 사태 진행에 따라 추후 변경될 수 있음.

    치안상황 개요 - 소말리아, 수단 등 인접 내전국으로부터 총기유입과 계속된 경제침체로 강도 및 절도사건이 빈발하고 있어 여행객의 각별한 주의 필요

    우범지역 이동 시 - 나이로비 교외지역은 키베라 등 슬럼가로 이루어진 우범 지역이 많으므로 가급적 여행을 자제하는 것이 바람직

    강도대처 방안 - 강도를 만나는 경우 요구에 저항하지 않도록 하고, 지갑에 100불 정도를 소지하여 다니는 것이 안전에 유리 - 시내 도보는 혼자서 다니지 말고 여러 명이 함께 행동하는 것이 안전하며, 차량 승차 시 가방 등 소지품은 눈에 띄지 않도록 좌석 밑에 보관할 것 나이로비 내 고급호텔 및 한적한 공원 주변에서 외국인을 표적으로 삼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런 곳에 단독 보행을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음.

    관광지 여행 주의사항 - 관광지로 가는 도로는 대부분 도로 폭이 좁고 유지 보수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도로 요철이 많고 타이어 펑크 및 차량 전복 등 교통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므로 이동시에는 안전운전하고 뒷좌석에서도 안전벨트를 착용해야 함 - 도로 여행 시에는 가급적 4륜 구동차를 이용하도록 하고, 한국에서 여행자 보험을 미리 가입할 것을 권장

    7. 주요 관광지 및 현지 식당 정보
    주요 관광지
    나이로비 국립공원
    (Nairobi National Park)
    - 나이로비 도심에서 10km정도에 위치한 국립공원으로 검은 코뿔소, 사자, 표범, 치타, 하이에나, 버팔로, 기린,그리고 400종이 넘는 다양한 새들을 포함한 다양한 야생 동물들이 서식하고 있음.
    - 방문객을 위한 피크닉장소. 캠핑장. 산책로 등도 있음.
    나이바샤
    국립공원
    (Lake Naivasha National Park)
    - 나이로비에서 2-3시간 떨어져있는 나이바샤에 있는 국립공원임.
    - 영화 툼레이더의 촬영장소이기도 한 헬스게이트가 있으며 당일 여행하기 좋음.
    - 나이바샤 호수 사파리도 즐길 수 있음.
    - 공원 입장은 오후 6시 이전에 해야하며, 특정 휴무일은 없음.
    마사이
    마라
    (Maasai Mara National Reserve)
    - 케냐의 대표적이 사파리 명소로 사자, 치타, 코끼리, 기린 등 야생동물을 만날 수 있음.
    - 7~8월에 방문하면 탄자니아에서 넘어온 동물 떼를 만날 수 있음.
    - 도로 이용시 나이로비에서 편도 4-5시간 소요 되며 경비행기 이용 시는 약 1시간 이내
    케냐
    국립박물관
    (National Museums of Kenya)
    - 케냐의 국립박물관으로 케냐의 자연과학과 공예, 미술품 등을 한눈에 둘러볼 수 있음.
    - 오전8시30분에서 오후 5시까지 개장
    카렌 블릭센
    박물관
    (Karen Blixen Museum)
    - 카렌 블릭센 박물관 (Karen Blixen Museum) : 영화 아웃 오브 아프리카의 원작자인 카렌 블릭센이 실제로 살았던 집을 박물관으로 만들었음.
    - 오전 8시30분에서 오후 5시까지 개장


    현지 식당 정보
    포고 가우초(Fogo Gaucho) / 브라질식 - 주소 : Groganville Estate Nairobi City - 연락처 : (254) 712-123-456

    오픈하우스 레스토랑(Openhouse restaurant) / 인도식 - 주소 : Ring Road Westlands Opposite The Mall - 연락처 : (254) 735-621-824

    하베샤(Habesha) / 에티오피아식 - 주소: Argwings Kodhek Rd, Nairobi - 연락처 : (254) 733-730-469

    쎄다스(Cedars) / 레바논식 - 주소 : Lebanese road, Nairobi - 연락처 : (254) 20-271-0399

    대장금 / 한식 - 주소 : Kanjata Road, Nairobi - 연락처 : (254) 725-737-045

    미소노 (Misono) / 일식 - 주소 : Ngong Rd, Nairobi - 연락처 : (254) 20-386-8959 / 386-4961

    후루사토 (Furusato) / 일식 - 주소 : Ring Road Parklands, Nairobi - 연락처 : (254) 20-374-8506 / 374-3007

    판다 (Panda) / 중국식 - 주소 : Kaunda St, Nairobi City - 연락처 : (254) 20-221-3018

    8. 현지 유관기관
    주케냐 대한민국 대사관
    전화번호(254) 20-3615-109 / 근무시간외 긴급상황시 (254) 708-984-891
    주소1st and 2nd Floor, Misha Tower, Westlands Road, Africa Union Cl
    홈페이지https://overseas.mofa.go.kr/ke-ko/index.do
    비고근무시간: 월-금요일, 08:30-16:00 점심시간: 12:30-13:30


    한국국제협력단 (KOICA)
    전화번호(254-20) 239 1888/9
    주소Riverside Drive96, Nairobi
    홈페이지https://www.koica.go.kr/


    케냐 투자청 (KenInvest)
    전화번호(254) 730-104200
    주소UAP Old Mutual Tower, 15th Floor, Upper Hill Road
    홈페이지https://invest.go.ke/


    농진청 케냐 사무소(KOPIA)
    전화번호(254) 708-408-497
    주소KOPIA Centre, KALRO-Muguga South, Kenya
    홈페이지http://www.rda.go.kr


    케냐 투자청
    전화번호(254) 730-104-200
    주소UAP Old Mutual Tower, 15th Floor, Upper Hill Road
    홈페이지http://invest.go.ke/


    케냐 관광청
    전화번호(254) 20-2724-646
    주소Utalii House, Off Uhuru Highway
    홈페이지https://www.tourism.go.ke/


    9.긴급 연락처
    종합병원 응급실
    NAIROBI HOSPITAL: (254) 703-082-000, (254) 730-666-000

    Aga Khan Hospital Accident and Emergency Department: (254) 366-2020/ 22

    MP Shah Hospital: (254) 20-4291-100

    범죄 발생시
    대사관 영사과 비상연락처 - (254) 20-3615-109 - (254) 708-984-891

    현지 경찰, 화재, 앰블란스 요청
    경찰 Hot Lines : 999 / 112 / 911
    나이로비 Fire Emergency : (254) 20-2344-599, (254) 20-2222-181


  • Ⅴ. 무역관 안내
    1. 무역관 안내
    주소Korea Business Center, Nairobi Commercial Section of the Embassy of the Republic of Korea. /
    Delta Corner Annex, 1st Floor, Ring Road, Westlands, Nairobi /
    P.O Box 40569-00100 GPO Nairobi, Kenya
    오시는 길 - 거리: 공항에서 약 20km, 택시 또는 기타 교통수단 이용 시 교통체증을 고려할 경우 1시간 거리
    - 요금: 공항택시 이용시 Ksh 3000-4000실링(약 $30~40불), 우버 이용시Ksh 1500(약 $15불) 소요. (버스 등 여타 대중교통은 이용이 불편하여 택시와 우버 이용을 권장함)
    - 위치: Delta Towers 별관 내 Delta Corner Annex 1층 (구글맵에서 'Delta Towers'또는 ‘kotra’로 검색 가능)
    전화(254) 20-222-0458 팩스(254) 20-331-5706
    이메일kotranairobi@gmail.com



  • Ⅵ. 설명회·세미나 영상 및 포토뉴스
    • 2019 동아프리카 의료기기 전시회






      ㅇ 개요
      - 행사이름: Medic East Africa 2019
      - 장소: Kenyatta International Conference Centre
      - 일시: 2019년 9월 24(화)-26(목)
      - 특징: 동아프리카 최대 규모의 의료기기 전시회로 참가업체인 제조업체, 서비스제공업체를 유통업체 및 의료전문가와 연결해주는 플랫폼을 제공

      ㅇ 주요 행사
      - 독일, 중국, 한국, 인도, 이집트 등 많은 국가들이 X-ray, 초음파 등의 진단장비, 수술실 장비, 실험실 기기, 치과의료기기 등 다양한 의료기기와 의료용품을 소개하였으며 이집트의 경우 자체 이집트관을 운영하였음. 휴대용 초음파기기를 판매하는 업체가 많았음.
      - 트리스메드(TrisMed)와 디알젬(DRGEM) 2개의 한국 기업이 참가하였으며 트리스메드는 심전도(ECG) 검사기기를, 디알젬은 X-ray 진단기기를 소개하였음.
      - 동 전시회 기간 동안 동아프리카 헬스케어 연합과 보편적 의료보장 서비스의 실현과 디지털 헬스케어 트렌드 등의 주제로 헬스케어 관리 콘퍼런스도 진행하였음.

      ㅇ 시사점
      - 케냐는 공공부분에서는 보편적 의료보장 서비스(UCH)를 우후루 대통령의 BIG4 아젠다 중 하나로 진행하고 있으며, 민간부분에 있어서는 경제성장, 도시화, 중산층 확대 등으로 의료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로 의료산업에 대한 수요는 계속될 것으로 예상

    • 2020 세계시장진출전략설명회
      ▶일시 : 2019-12-03 화요일

      ▶ 아프리카에서 캐는 우리 수출의 블랙다이아몬드 - 손병일 KOTRA 아프리카지역본부장



현재 페이지의 이전글,다음글 이동 안내 테이블입니다.
이전글 몽골 출장자료 (2021년)
다음글 에티오피아 출장자료 (202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