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비즈니스 협력 센터 > Daily Briefing
제목

신남방 비즈니스 Daily Briefing(8월 14일)

구분 전체 동향 등록일자 2020-08-14


[ 베트남 동향 ]

 

□ CIMB 베트남, 한국 Toss와 손잡고 베트남 핀테크 서비스 출시 예정

   (Viet Nam News, 08.12)

 

ㅇ CIMB 그룹(말레이시아계)의 CIMB 베트남 은행은 한국의 핀테크 부문 유니콘 기업인 Toss와 협력하고 공동브랜드 가상 카드를 출시하기로 함.

 

- Toss 사용자들은 Toss 앱과 CIMB로부터 가상 카드를 신청하여 발급받을 수 있고, 하나의 통합 플랫폼에서 다양한 일상생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됨.

- CIMB 베트남 CEO Thomson Fam Siew Kat는 “은행들에게 핀테크 협업은 필수적이며 특히 백엔드(Back-end) 운영 속도를 높이는 것은 많은 시간이 소요됨. Toss와 협업은 이 때문이며, Toss와 같은 성숙한 핀테크 기업과 힘을 합쳐 디지털 금융 생태계 강화할 것이다”라고 밝힘.

 

● 원문 기사 바로 보기 

 

 

□ 코로나19, 전자상거래 매출 증대에 기여 (Vietnamnet, 08.13)

 

ㅇ 기획투자부는 베트남의 전자상거래 분야가 2016년부터 2020년까지 30%의 성장률을 보였다고 밝힘.

 

ㅇ Ipsos의 조사에 따르면 조사대상 소비자 중 30% 이상은 코로나19 유행 이후 식료품점이나 마트에 직접 쇼핑을 가기 보다는 전자상거래 플랫폼인 Grab Mart를 우선 사용하여 생필품 및 식료품을 구매하고, 외식 대신 Grab Food, Now, Vietnammm등의 음식 배달 모바일 앱을 이용하여 음식을 주문한다고 응답함.

 

ㅇ 통계청은 코로나19에도 불구하고 국내 소매 분야 매출은 작년 동기에 비해 3.4% 증가했으며 식품 관련 소매 매출이 7%로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고 밝힘.

 

o 소비자들의 쇼핑 기호가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급속하게 이동하는 만큼 많은 기업들은 사업전략을 바꾸어 온라인 판매 플랫폼을 개선하고 온라인 판매 비율을 높이는 방법으로 생존 전략을 찾고 있음.

 

원문 기사 바로 보기

 

 

 

[ 필리핀 동향 ]

 

□ 필리핀, 동남아시아 국가 중 가장 높은 실업률 기록 전망 (Philippine Star, 08.13)

 

ㅇ Maybank의 Labour market: Retrenchments and Recovery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필리핀의 실업률은 동남아시아 국가 중 가장 높은 18.5%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됨. 그 뒤로는 태국(15.9%) 말레이시아(6.5%) 인도네시아(5.9%) 싱가포르(4%) 베트남(3.6%) 순임.

 

ㅇ 실업률이 가장 높은 분야로는 제조업, 관광업, 소매업 및 식당 등 고객과 대면해야 하는 분야가 가장 높았으며 실업률 회복은 정부의 재정 지원, 노동시장의 유연성, 봉쇄 조치의 강도 및 기간 등에 따라 2년~4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됨. 한편, 필리핀 통계청(PSA)에 따르면, 올해 4월 필리핀의 실업률은 17.7%로 약 730만 명이 코로나19 이후 실직을 한 것으로 집계됨.

 

원문 기사 바로 보기

 

 

□ 세부퍼시픽, 올해 상반기 91억 4천만 페소 순손실 기록 (Philippine Star, 08.13)

 

ㅇ 필리핀 저가 항공사 세부퍼시픽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전 세계적 여행 제한으로 인해 올해 상반기 전년 동기 71억 5천만 페소 순이익에서 크게 감소한 91억 4천만 페소 순손실을 기록함.

 

ㅇ 올해 상반기 탑승객 수가 전년 동기 1120만 명에서 450만 명으로 감소함에 따라 여객 수입은 전년 동기 대비 65.5% 감소한 115억 1천만 페소를 기록했으며, 화물 수입은 운송 물량이 줄어들어 전년 동기 대비 22% 감소한 22억 2천만 페소를 기록함.

 

원문 기사 바로 보기

 

 

 

[ 태국 동향 ]

 

□ 민간항공청(CAAT), 국제선 항공기 입국 제한 해제 시점 알 수 없어

   (Bangkok Post, 08.13)

 

ㅇ 수요일 태국 민간항공청(CAAT)은 코로나19 발병이 다수의 국가에서 지속되는 한 국제선 상업용 항공기 태국 입국 제한은 계속될 것이라고 발표함.

 

- 민간항공청장은 항공기 입국 제한은 무기한이며, 재개 시점은 코로나19상황운영센터(CCSA)의 세계 코로나19 진행 경과에 대한 모니터링에 따라 결정될 사안이라고 발표함.

 

ㅇ 의료 목적의 태국 방문 시 최소 14일 이상 진료가 예약된 병원에서 격리가 필요하지만 현재로서는 상업용 항공기의 태국 입출국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소수의 기업인들만 사업차 태국을 방문하는 실정임.

 

ㅇ 현재 코로나19 예방조치에 따라 1일 입국 가능한 외국인 수는 500명으로 제한되어 있으며, 사업활동 목적 등으로 태국에 방문하는 외국인들은 태국인의 귀국행 비행기에 동반 탑승하여 입국하고 있음.

 

원문 기사 바로 보기

 

 

 

[ 미얀마 동향 ]

 

□ 한국의 대출 지원으로 마궤-쉐타웅(Magwe-Shwe Taung)가스관 업그레이드 예정

   (Myanmar Times, 08.12)

 

ㅇ Myanma Oil and Gas Enterprise, MOGE 차장 U Kyaw Nyan Tun에 따르면, 한국 정부의 대출로 마궤-쉐타웅(Magwe-Shwe Taung) 가스관을 업그레이드할 것이라고 밝혔음. 이는 작년 9월에 문재인 대통령이 미얀마로 방문했을 때 논의했던 프로젝트 중 하나이며 파이프라인을 업그레이드하여 쉐타웅(Shwe Taung)발전소에 가스를 공급할 예정임.

 

ㅇ 노조 총회에서 프로젝트를 위해 한국수출입 은행으로부터 1억 3,100만 달러의 대출을 승인하였으며, 0.01%의 이자로 40년간 대출임.

 

ㅇ 1980년에 건설했던 마궤-쉐타웅(Magwe-Shwe Taung)가스관은 길이 191km, 파이프 직경 14inch 있으며, 프로젝트에 파이프라인을 직경 20inch, 길이 228km 스틸파이프로 업그레이드할 예정임. 공사는 현 회계연도에 시작하여 2023년에 완공될 것으로 예상.

 

원문 기사 바로 보기

 

 

 

[ 라오스 동향 ]

 

□ 라오스 계란 공급부족으로 도매가 상승 (Vientiane Times, 08.12)

 

ㅇ 라오스에서는 금년 계란 공급 부족으로 특히 비엔티안에서의 도매가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남.

 

ㅇ 태국 바트화 강세로 태국으로부터의 산란계 수입이 어려워지면서 국내 공급량이 줄었으며, 코로나19 사태로 주변국이 수출을 중지한 것도 원인으로 작용함.

 

ㅇ 이에 따라 라오스 계란 도매가는 4월 초까지 상승했다가 안정세를 되찾았으나, 6월 초부터 다시 상승세를 보임.

 

원문 기사 바로 보기

※해당 기사는 9번째 페이지에서 확인 가능

 

 

 

[ 싱가포르 동향 ]

 

□ 싱가포르 통화청, 핀테크 산업 육성 위해 보조금 투입 (Straits Times, 08.13)

 

ㅇ 싱가포르 통화청(MAS)이 핀테크 산업의 기술 혁신을 기반으로 한 금융업의 성장을 위해 향후 3년간 2억 5000만 싱가포르달러를 투입할 예정이라고 밝힘.

 

원문 기사 바로 보기

 

 

 

[ 말레이시아 동향 ]

 

□ 말레이시아 대형 온라인 쇼핑몰 업체 Lazada 로컬 중소기업 제품 판매 촉진

   (TheEdgeMarket, 08.12)

 

ㅇ 말레이시아 대형 온라인 쇼핑몰 업체 Lazada가 정부와 손잡고 로컬 중소기업 제품의 판매 촉진을 지원하기로 했음.

 

- 판매 촉진 캠페인은 두 가지로, 'Buy Malaysia'와 'Penjana Shop Malaysia Online'으로 알려졌음.

 

원문 기사 바로 보기

 

 

 

[ 인도 동향 ]

 

□ 인도정부, 성실납세자 위한 과세 규정 완화계획 발표 (Economic Times, 08.13)

 

ㅇ 인도 나렌드라 모디 총리는 과세 규정을 완화하고 납세 환급을 신속하게 처리하여 성실납세자에게 이익이 되는 투명과세 조세 개혁 발표함. CBDT (Central Board of Direct Taxes)는 최근 몇 년간 직접세에 대한 몇 가지 주요 세제 개혁을 수행했음. 최근에는 기존 기업의 경우 30%에서 22%로, 새로운 제조 단위의 경우 15%로 법인세 감소함. 이번 조세 개혁의 초점은 세율 인하와 직접 세법의 단순화에 의의가 있음.

 

원문 기사 바로 보기

 

 

□ 인도 2020년 경제성장률 -4.5% 전망 (The Economic Times, 08.11)

 

ㅇ 던 앤 브래드스트리트(Dun & Bradstreet)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의 2020 회계연도 경제성장률은 -4.5%를 기록할 전망. 그러나 2021 회계연도 경제성장률은 6.3%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 현재 인도는 주정부의 예상치 못한 봉쇄조치로 인해 수요가 지속적으로 줄고 있으며, 그로 인해 업체들의 제조 및 공급에 대한 불확실성도 커지고 있음.

 

원문 기사 바로 보기

 

 

□ 인도 전자 결제 시장, 2022년까지 37% 성장 전망(The Economic Times, 08.13)

 

ㅇ 인도 주요 컨설팅기업인 RedSeer Consulting에 따르면, 코로나19의 영향으로 2021/22 회계연도 기준 인도 전자결제 시장은 37% 증가한 4,067조 루피이며, 5년 내 7,092조 루피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 2019/20 회계연도 기준 전자결제 시장 규모는 2,152조 루피로, 코로나19 영향이 없었다면 연간 31% 성장했을 것으로 전망. 관계자에 따르면, 소비자들이 현금 결제 대신 안전한 전자결제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으며, 그중 대부분이 카드를 통한 결제를 선호한다고 밝힘.

 

원문 기사 바로 보기

 

 

 

[인도네시아 동향]

 

□ 인니 정부, 연내 Covid-19 백신 개발/공급 위해 5조 루피아 투입

   (Antara News, 08.10)

 

ㅇ 경제조정부 Airlangga 장관은 현재 임상 시험 단계에 진행되고 있는 Covid-19 백신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가 금년에 5조 루피아 예산을 투입하겠다고 밝혔음.

 

ㅇ Airlangga장관은 정부가 PT Bio Farma에 3천만~4천만 회분 백신을 공급할 수 있도록 예산을 책정했고, 올해 5조 루피아 규모의 자금을 지원했으며, 내년에는 40조~50조 루피아의 예산이 준비될 수 있다고 밝혔음.

 

ㅇ 현재 Bio Farma와 Sinovac Biotech는 1,600명의 대상으로 3차 Covid-19 백신 임상실험을 진행하고 있음.

 

ㅇ 백신은 10월에 생산될 예정이며, 월 1,000만회 용량으로, 연말까지 4,000만개를 생산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음.

 

ㅇ 중국과 공동으로 개발된 백신 생산 능력은 연간 1억 2천만회분에 이를 것으로 예상됨.

 

ㅇ Bio Farma외에 PT Kalbe Farma도 백신 개발을 위해 한국의 Genexine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협력하고 있고, 3차 임상실험을 2020년 9월부터 2021년 3월까지 진행될 예정이며 연간 최대 5,000만 회분의 생산 능력을 목표로 하고 있음.

 

원문 기사 바로 보기

 

 

□ 인니 소매판매가 위축되었음에도 불구 개선 조짐을 보여 (Jakarta Post, 08.12)

 

ㅇ 8월 11일에 발표된 인도네시아 중앙은행(BI) 조사 결과에 따르면 6월의 소매 판매는 전년 동월 대비 17.1% 하락했음.

 

ㅇ Covid-19의 대규모 사회적 제약(PSBB)이 각지에서 완화되고, 상점들이 영업을 재개하면서 매출이 회복되어 하락폭은 전월의 20.6%에서 감소했음.

 

ㅇ 조사 결과에 따르면 5월에 비해 6월에는 자동차 연료, 식품, 음료, 담배, 정보 서비스의 구매가 다른 분야보다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음.

 

ㅇ 소매판매 실적은 여전히 위축된 상황이었음에도 불구하고 7월에는 더욱 개선될 것으로 보임.

 

ㅇ 인도네시아 중앙은행(BI)은 소매판매가 경기 재개에 이어 향후 3~6개월 안에 회복될 것으로 예상되어 대중의 구매력도 높아질 것으로 전망.

 

원문 기사 바로 보기

 

 

□ 인니 Covid-19 감염, 12일 1,942명 추가로 13만명 넘어 (Antara News, 08.12)

 

ㅇ 인도네시아는 8월 12일에 1,942명의 Covid-19 확진 환자가 추가됐으며, 2,099명이 회복되고, 79명이 사망했다고 Covid-19 대책위원회가 보도했음.

 

ㅇ 인도네시아 전체 확진자 수가 총 130,718명으로 증가했고, 회복 환자의 경우 85,798명, 사망자 수는 5,903명으로 기록되었음.

 

ㅇ 12일에 검사된 26,248개의 새로운 검체를 포함하여 인도네시아에서 검사된 총 검체 수는 1,783,673개에 도달했음.

 

ㅇ 12일 기준, 자카르타는 27,153건으로 확진 환자가 가장 많았고, 동부 자바는 26,220명, 중부 자바는 10,944명, 남부 술라웨시는 10,675명, 서부 자바는 7,803명으로 기록되었음.

 

원문 기사 바로 보기


 

Source
문서첨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