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비즈니스를 위한 | 경제외교활용포털

서비스 이용을 위해
로그인 해주세요.

해외시장정보

협력대상국 시장정보

정상외교에 따른 현지 동향 및 투자환경 분석 자료를 제공합니다.
우리 중소기업의 해외진출에 도움이 될만한 최신 해외시장 동향 관련 정보를 모았습니다. 국별·분야별 검색으로 원하는 자료를 쉽게 찾아 볼 수 있습니다.

협력대상국 시장정보 제목, 관련국가,발간기관, 발간일, 분야, 본문내용 항목별 순서대로 안내하는 표입니다.
유라시아로의 새로운 문 “유라시아경제연합”
관련국가 러시아 발간기관 KOTRA 발간일
분야 무역·투자 PDF 다운로드
PDF 보러가기
  • 유라시아로의 새로운 문 “유라시아경제연합”

     

     

     

    □ 유라시아경제연합이란?

     

     ○ 유라시아경제연합(ЕАЭС, 유라시아경제연합)이란 러시아, 카자흐스탄, 벨라루스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구소련 국가의 새로운 연합이라 볼 수 있음. 지난 5월 29일 블라디미르 푸틴(러),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카), 알렉산드르 루카셴코(벨) 3국의 대통령이 아스타나에서 회담을 가지고 유라시아경제연합 협정체결에 사인했음. 이 조약에 따라 유라시아경제연합은 2015년 1월 1일 공식 출범 예정임.

     

     ○ 유라시아경제연합의 설립은 1993년 카자흐스탄 대통령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에 의해 제안된 후 20년 만에 실현을 앞둠. 유라시아경제연합 출범 5단계 계획은 다음과 같으며, 오는 2025년까지 완벽한 의미의 경제공동체를 구축한다는 것이 유라시아경제연합의 목표

     

     

    1) 자유무역지대: 자유무역지대 구성해 회원국 간 면세 혜택. 이에 앞서 제3국에 대한 경제정책은 각자 결정

    2) 관세동맹: 단일경제구역을 결성해 무역장벽을 허물고 일반적인 관세무역정책 구체화

    3) 단일시장결성: 상품 간의 무역뿐만 아니라 서비스, 자본에 대한 자유로운 교류

    4) 경제연합결성: 회원국 간 대등한 경제정책을 유지

    5) 완전경제통합: 회원국 간 통화·조세·무역·사회 정책에 있어서 초 국가기관을 통한 완전경제통합

     

     

     ○ 다가오는 10월에 민스크에서 한차례 더 유라시아경제연합 정상회담이 예정돼 있음.

     

    5월 29일 아스타나에 모여 회담 중인 3국 대통령

     

     ○ 29일 회담시 논의된 사항

      - 의약품과 의료기기 관련해 2년 내로 통합 규정을 만들고 생산할 것

      - 가스 및 오일에 대해서 하나의 통합된 시장을 이룰 것

      - 의료, 교육 분야와 같이 특수성이 있는 분야를 제외하고 앞으로 모든 전공에 대해 서로 학력인증이 가능해 질 것

      - 카자흐스탄, 러시아, 벨라루스 회원국 간 자유롭게 서비스 및 상품이 승인되며 같은 관세법 아래 있으므로 회원국 간의 경쟁을 통해 삼국 국민은 더 좋은 혜택이 주어지는 국가를 선택해 비즈니스를 시작할 수 있음.

     

    회담을 위해 모인 각국 정상

    주: 왼쪽부터 아르메니아, 벨라루시, 카자흐스탄, 러시아, 키르기스스탄 대통령

     

    □ 3국의 현재 무역량

     

     ○ 카자흐스탄 국제경제통합부과장 예르나르 바케노프에 따르면 관세동맹국 대상 무역량 240억 달러를 기록했음. 2013년 기준 관세동맹 가입국 간 교역량은 88% 증가했으며, 관세동맹국가의 카자흐스탄 무역수출량은 60% 늘어남.

     

    삼국간 상호무역규모

                (단위: 십억 달러)

     

     

    2010

    2011

    2012

    2013

    벨-카

    0.8

    0.8

    0.9

    0.9

    카-러

    18.1

    22.3

    23.0

    23.5

    러-벨

    28.2

    40.0

    43.9

    39.7

    관세동맹국 및 경제단일화지구

    47.1

    63.1

    67.8

    64.1

     

    자료원: kazakhstan 1월호(EEU)

     

    제3국과 무역규모 및 증감률

                                                                                                                 (단위: 십억 달러, %)

     

     

    총무역규모

    제3국과 무역규모 증감률

    2010

    2011

    2012

    2013

    2010

    2011

    2012

    2013

    벨라루스

    31.1

    46.4

    47.7

    39.5

    19.5

    49.2

    2.8

    -17.0

    카자흐스탄

    72.5

    98.2

    108.9

    107.2

    23.4

    35.5

    10.9

    -1.6

    러시아

    582.7

    762.6

    778.0

    784.3

    34.6

    32.2

    3.0

    0.8

    관세동맹국 및

    경제단일화지구

    686.3

    907.2

    934.6

    931.0

    32.6

    32.2

    3.0

    -0.4

     

    자료원: kazakhstan 1월호(EEU)

     

    수출 및 증감률

                                                                                                                 (단위: 십억 달러, %)

     

     

    수출액

    증감률

    2010

    2011

    2012

    2013

    2010

    2011

    2012

    2013

    벨라루스

    14.9

    26.3

    29.0

    19.5

    4.3

    76.5

    10.3

    -32.5

    카자흐스탄

    54.3

    77.2

    80.2

    76.7

    37.1

    42.3

    3.9

    -4.1

    러시아

    368.0

    477.9

    484.5

    489.2

    33.4

    29.9

    1.4

    1.0

    관세동맹국 및

    경제단일화지구

    437.2

    581.4

    593.7

    585.4

    32.6

    33.0

    2.1

    -1.4

     

    자료원: kazakhstan 1월호(EEU)

     

    수입 및 증감률

                                                                                                                 (단위: 십억 달러, %)

     

     

    수입액

    증감률

    2010

    2011

    2012

    2013

    2010

    2011

    2012

    2013

    벨라루스

    16.2

    20.1

    18.7

    20.0

    37.8

    24.2

    -7.0

    6.9

    카자흐스탄

    18.2

    21.0

    28.7

    30.5

    4.8

    15.1

    36.8

    6.3

    러시아

    214.7

    284.7

    293.5

    295.1

    36.7

    32.6

    3.1

    0.5

    관세동맹국 및

    경제단일화지구

    249.1

    325.8

    340.9

    345.6

    32.5

    30.8

    4.6

    1.4

     

    자료원: kazakhstan 1월호(EEU)

     

    □ 추가 가입예상국

     

     ○ 키르기스스탄은 올해 말까지 유라시아경제연합 가입을 목표로 유라시아경제연합 및 관세동맹 가입에 앞서 카자흐스탄에 재정지원을 요청했음.

     

     ○ 아르메니아는 올해 7월까지 가입의사를 표시했음. 러시아와 벨라루스는 승인했으며 카자흐스탄은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 사이 문제에 대해 좀 더 조심스럽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전함.

     

     ○ 한편, 아제르바이잔은 유라시아경제연합나 EU 등의 경제연합에 들어갈 계획이 없음을 아제르바이잔 경제산업부 장관 샤힌 무스타파예프가 밝힘. 현재 아제르바이잔은 러시아와 무역에 있어서 불편함이 없기 때문이라고 덧붙임. 현재 러시아는 아제르바이잔의 가장 큰 수입국이며 전체 무역의 14% 차지함. 아제르바이잔은 풍부한 지하자원을 바탕으로 어느 연합에도 속하지 않은 채 서방과 러시아 사이에서 중립외교를 펼침.

     

     ○ 우크라이나는 당초 가입을 예상했으나 크림사태로 유라시아경제연합 가입이 불투명해짐. 우크라이나는 현재 EU 가입 쪽으로 검토 중

     

    □ 시사점

     

     ○ 유라시아경제연합이 한국의 비즈니스에 크게 악영향을 끼치진 않을 것이며 오히려 잠재적인 시장규모가 커지는 것이기 때문에 유리하다고 볼 수 있음.

     

     ○ 광물을 포함한 원자재에 대한 접근이 쉬워지며 수입관세 또한 종전과 같을 것임.

     

     ○ 다만 카자흐스탄은 점점 자국 생산경쟁력을 갖추는 데 주목하고 자국 기업의 혜택을 늘리는 추세임. 합작기업을 설립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임. 특히 녹색기술 관련 생산분야는 국가프로젝트에 따라 관련 기업에 세제혜택 등 여러 혜택이 있음.

     

     ○ 유라시아경제연합 시장 내 경쟁의 심화는 결국 품질에 대한 수요로 이어질 것인데, 고품질 높은 가격의 유럽제품과 저품질 낮은가격 중국제품의 중간인 품질 대비 저렴한 한국제품이 경쟁력을 갖게 될 것임.

     

     

    자료원: 코트라 알마티 무역관 자체조사, 현지언론 종합

     

    < 저작권자 ⓒ KOTRA & globalwindow.or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