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비즈니스를 위한 | 경제외교활용포털

서비스 이용을 위해
로그인 해주세요.

해외시장정보

협력대상국 시장정보

정상외교에 따른 현지 동향 및 투자환경 분석 자료를 제공합니다.
우리 중소기업의 해외진출에 도움이 될만한 최신 해외시장 동향 관련 정보를 모았습니다. 국별·분야별 검색으로 원하는 자료를 쉽게 찾아 볼 수 있습니다.

협력대상국 시장정보 제목, 관련국가,발간기관, 발간일, 분야, 본문내용 항목별 순서대로 안내하는 표입니다.
한-인도 CEPA 활용 및 통관 애로사례집
관련국가 인도 발간기관 KOTRA 발간일 2020-11-20
분야 산업·통상 PDF 다운로드 PDF 보러가기


  • 책자 표지 디자인



    Contents


    Ⅰ. 한-인도 CEPA 및 인도의 FTA 소개

    * CEPA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

    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

    01. 한-인도 CEPA 개요
    02. 인도 무역협정 개요


    II. 한-인도 CEPA 애로사례 및 대응방안

    01. 원산지 증명서 진위여부 1
    02. 원산지 증명서 진위여부 2
    03. 원산지 증명서 진위여부 3
    04. 한-인도 CEPA 사후적용 불가
    05. 무역서류 불일치에 따른 CEPA 미적용
    06. HS코드 품목분류 애로 1
    07. HS코드 품목분류 애로 2


    III. 인도 통관 애로사례 및 대응방안

    01. 세관의 추가 서류 요청
    02. WCO HS2017 업데이트 미비
    03. 까다로운 반송 승인과정
    04. 중고설비 과세가격 산정 애로


    Ⅳ. 인도 인증 애로사례 및 대응방안

    01. 인증획득 기간 상이
    02. 인도표준국(BIS) 검사관 파견 애로
    03. 인도 인증 규격과 제품 사양 상이


    [참고]
    1. 주요기관 연락처
    2. 인도정부 통관방식 변경을 통한 원산지 관리 강화 정보


    인사말


    올해로 한-인도 CEPA가 발효 11년째를 맞이하고 있다. 발효 전인 2009년 약 121억 달러에 불과했던 양 국간 교역은 2019년 대인도 수출 약 160억 달러, 대인도 수입 약 56억 달러로 급속히 확대돼, 한-인도 CEPA는 한국이 체결한 양자 FTA의 대표적인 성 공사례이자 인도 측의 개정 압력의 주요인이 되고 있는 FTA다.


    금년 9월 21일부터 신규 도입된 통관 전 수입물품에 관한 제반 원산지 증명정보를 수입 자가 사전 제시케 하는 新원산지 규정에서 보듯이 한국의 대인도 무역흑자는 지속 확대 추세이고 한-인도 CEPA 개정 압력은 가중되고 있다.


    지난 10여 년 동안 인도 세관 적용 HS코드의 상이, 강화추세인 BIS 인증, 추가 서류 요 청 등 한국과 다른 인도의 통관, 행정관행과 무역 균형화 압력으로 그동안 우리기업이 한-인도 CEPA 실제 이용에서 많은 애로를 겪어 왔다.


    KOTRA는 인도를 포함 세계 7개국, 15개소에 FTA해외활용지원센터를 운영 중에 있 고, 인도의 경우 2018년, 뉴델리 무역관. 2019년에 남부 첸나이 무역관에 CEPA 활용 지원센터를 운영 중이다. 이를 통해 사전 상담, 통관 현장 안내 및 네트워크 구축, 사후 해소를 위한 여러 프로그램과 재원을 운용하고 있다.


    이번 한-인도 CEPA 활용 및 통관 애로 사례집은 이러한 KOTRA의 인도 CEPA 활용센 터를 통해 그동안 축적된 여러 애로 사례와 대응방법, 개선 방안 들을 제시해 우리 기업 들의 피해를 줄이고 CEPA 활용을 제고하기 위해 발간되었다.


    특히 한-인도 CEPA 소개 외 실제 사례에 근거한, 원산지 증명, 세번 분류, 준비 서류, 인증 등을 인도 현지 주요 기관 정보와 함께 제시하고 있다.


    이를 적극 활용해 주시고, 현장의 여러 애로 및 개선 필요 사항을 저희 센터에 적극 피드 백해 주실 것을 요청드린다. 양국 정부 건의 및 현장 애로 개선에 마음을 다하고자 한다.


    김문영

    코트라 서남아지역본부장

    2020년 10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