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비즈니스를 위한 | 경제외교활용포털

서비스 이용을 위해
로그인 해주세요.

해외시장정보

협력대상국 시장정보

정상외교에 따른 현지 동향 및 투자환경 분석 자료를 제공합니다.
우리 중소기업의 해외진출에 도움이 될만한 최신 해외시장 동향 관련 정보를 모았습니다. 국별·분야별 검색으로 원하는 자료를 쉽게 찾아 볼 수 있습니다.

협력대상국 시장정보 제목, 관련국가,발간기관, 발간일, 분야, 본문내용 항목별 순서대로 안내하는 표입니다.
신북방 유망 4개국 프로젝트 수주지원 가이드
관련국가 몽골, 아제르바이잔,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발간기관 KOTRA 발간일 2020-10-22
분야 무역·투자 PDF 다운로드 PDF 보러가기

  • 책자 표지 디자인


    목 차


    1장. 몽골

    1. 국가정보
    2. 프로젝트 시장 구조 및 특성
    3. 프로젝트 진출정보


    2장. 아제르바이잔

    1. 국가정보
    2. 프로젝트 시장 구조 및 특성
    3. 프로젝트 진출정보


    3장. 우즈베키스탄

    1. 국가정보
    2. 프로젝트 시장 구조 및 특성
    3. 프로젝트 진출정보


    4장. 카자흐스탄

    1. 국가정보
    2. 프로젝트 시장 구조 및 특성
    3. 프로젝트 진출정보

    요 약


    [ 몽골 ]


    ◦ (유망분야) 비전 2050과 같이 정부의 중장기 계획 통해 9개 카테고리에 집중, 이 중 녹색개발, 지역중심개발, 위성도시 구축 등이 직접적인 산업 개발 분야에 해당하여 전통적인 강점을 가진 농업, 경공업, 관광업, 인프라 분야의 프로젝트 유망


    ◦ (접근전략) 정부투자 프로젝트, 원조자금(ADB, WB, KOICA 등) 재원이 확실한 프로젝트 수주 성공률이 높으며 이 밖에 꾸준한 동향 파악을 통해 프로젝트 참여 업체로 납품기회 모색할 필요


    [ 아제르바이잔 ]


    ◦ (유망분야) 가스 파이프라인, 정유가스 공장 시설 현대화 등의 프로젝트 발주 지속 에너지 인프라와 관련된 설비 및 기자재 시장 유망


    ◦ (접근전략) 신재생, 대체에너지 개발과 정부의 산업다각화 정책에 따라 농업과제조업 분야의 산업정책에 따른 프로젝트도 수행하고 있으므로, 다변화 한 접근전략 필요


    [ 우즈베키스탄 ]


    ◦ (유망분야) 광산, 자원개발, 정유화학 플랜트 발주는 점차적으로 감소하고, 신재생 에너지 확대, 에너지 효율화, 공공의 의료·보건 역량 강화, 전자정부, 스마트 시티 구축 등 지속가능한 경제발전 기반 주축을 위한 인프라 사업 확대


    ◦ (접근전략) 개발 노하우 및 재원이 부족하여 파이낸싱부터 운영까지 과정을 연계한 개발제안형 프로젝트 확대, 과거 정부 단독발주에서 PPP 등으로의 발주 형태가 다양화되고 있음에 유의


    [ 카자흐스탄 ]


    ◦ (유망분야) 정부의 산업 다각화 및 석유자원 의존도 감축에 따른 ICT 산업과 국가 중장기 프로그램으로 주택 건설 및 생활 인프라 구축에도 관심


    ◦ (접근전략) 저유가에 따른 재원 부족 및 공기업의 의존도를 줄이고자 국가경제 및 사회 인프라 개발을 위한 수단으로 PPP 활용함에 따라 대표적인 추진 수단으로 주목. 다만, 국제 금융기관을 통한 PPP 자금조달 위해 통화 위험성을 극복할 수 있는 장치 마련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