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비즈니스를 위한 | 경제외교활용포털

서비스 이용을 위해
로그인 해주세요.

해외시장정보

협력대상국 시장정보

정상외교에 따른 현지 동향 및 투자환경 분석 자료를 제공합니다.
우리 중소기업의 해외진출에 도움이 될만한 최신 해외시장 동향 관련 정보를 모았습니다. 국별·분야별 검색으로 원하는 자료를 쉽게 찾아 볼 수 있습니다.

협력대상국 시장정보 제목, 관련국가,발간기관, 발간일, 분야, 본문내용 항목별 순서대로 안내하는 표입니다.
유럽그린딜 추진동향 및 시사점
관련국가 EU 발간기관 KOTRA 발간일 2020-10-16
분야 환경 PDF 다운로드 PDF 보러가기


  • 책자 표지 디자인



    목 차


    Ⅰ. 新EU집행위 주요정책 및 그린딜 정책 개요

    1. 新EU집행위의 주요정책
    2. 그린딜 정책개요


    Ⅱ. 유럽그린딜 분야별 정책내용 및 추진동향

    1. 기후변화 대응목표 상향조정
    2. 깨끗하고 저렴하고 안전한 에너지 공급
    3. 청정·순환경제를 위한 산업재편
    4. 지속가능한 운송
    5. 건축의 에너지 및 자원효율성 강화
    6. 식품안전 및 생태계 보전


    Ⅲ. 그린딜 이행 기금조성 및 R&D 지원

    1. 그린딜 투자계획
    2. R&D 지원정책


    Ⅳ. 전망 및 시사점

    1. 전망
    2. 시사점 및 협력·진출기회


    요 약


    1. 新EU집행위, 유럽그린딜(European Green Deal) 발표


    □ 新EU집행위는 기후변화대응책이자 경제성장 전략 ‘유럽그린딜’을 발표 (’19.12)


    ㅇ 2050년 탄소배출 純제로 목표 하에, △에너지 탈탄소화, △산업육성과 순환경제 구축, △운송․건축에너지효율성 강화, △식품안전 및 생물다양성보호 정책제시


    ㅇ 탄소배출량 감축을 위한 제도로 탄소배출권거래제(EU Emission Trading System) 적용범위 확대와 탄소국경세(Carbon Adjustment Mechanism)도입 명시


    □ 그린딜 이행에 필요한 재원마련 방안으로 ‘유럽그린딜투자계획 (European Green Deal Investment Plan)’수립(’20.1)


    ㅇ 전환과정에서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 될 산업과 지역을 지원하기 위해 1천 5백억 유로 규모의 공정전환체계(Just Transition Mechanism)수립


    ㅇ 코로나19피해가 큰 회원국의 경기회복을 위한 EU회생기금(Next Generation EU)을 동원한 그린딜․디지털화 적극 지원


    2. 전망 및 시사점


    □ 그린딜·디지털화를 중심으로 한 경제성장 본격 추진


    ㅇ 그린딜 6대 분야별 세부과제에 따라 기존 산업의 탈탄소화, 청정에너지 전환 등 산업전환을 위한 인프라 구축과 기술개발 투자 활성화


    ㅇ ’21~27년도 EU 장기예산 30%를 기후변화대응에 투입예정, 사업본격화


    □ 관련규제 도입에 적극대응 및 산업협력 필요


    ㅇ 탄소국경세, 항공세, 플라스틱세 도입, 탄소배출규제 강화 등 관련 법규 도입현황 모니터링과 우리기업에 미치는 영향분석 및 대비 필요


    ㅇ 수송 및 에너지 분야의 탈탄소화 추진에 따른 전기차 배터리, 해상풍력 발전, 청정수소 에너지 시장 확대와 기술개발에 관심과 지원 필요


    ㅇ 녹색전환은 전 세계 공동 관심사로 정부 및 기업 상호간 산업전환을 위 해 협력하고, 새로운 규제와 신기술 표준화에 대한 공조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