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비즈니스를 위한 | 경제외교활용포털

서비스 이용을 위해
로그인 해주세요.

해외시장정보

협력대상국 시장정보

정상외교에 따른 현지 동향 및 투자환경 분석 자료를 제공합니다.
우리 중소기업의 해외진출에 도움이 될만한 최신 해외시장 동향 관련 정보를 모았습니다. 국별·분야별 검색으로 원하는 자료를 쉽게 찾아 볼 수 있습니다.

협력대상국 시장정보 제목, 관련국가,발간기관, 발간일, 분야, 본문내용 항목별 순서대로 안내하는 표입니다.
최근 통상환경 변화와 GVC 재편 동향: 글로벌 기업들의 사례
관련국가 미국, 베트남, 인도, 일본, 중국, 태국 발간기관 KOTRA 발간일 2020-09-25
분야 산업·통상 PDF 다운로드 PDF 보러가기

  • 책자 표지 디자인


    목 차


    Ⅰ. GVC 확산 배경 및 재편 요인

    1. GVC 확산 배경
    2. GVC 재편 요인


    Ⅱ. 최근 통상환경 변화 및 GVC 재편 양상

    1. 글로벌 통상환경의 변화
    2. 최근 GVC 재편 양상 및 전망
    3. 글로벌 기업의 GVC 재편 사례


    Ⅲ. Post-코로나19 GVC 재편 전망

    1. GVC의 지역화(Localized) 및 자국화(Nationalized)
    2. GVC의 서비스화(Servitized) 및 고도화(Advanced)
    3. GVC의 위기 대응력(Just in case) 제고


    요 약


    □ GVC 확산 배경 및 재편 요인


    * GVC : Global Value Chain


    ◦ ’90년대 중반 이후 WTO 출범으로 인한 자유무역의 확산, 통신·운송기술의 발전에 따른 거래비용의 감소, 선진국-신흥국간 국제 분업특화, 서비스 산업의 발달이 GVC 확산 주요인으로 작용


    ◦ 그러나 최근 신흥국의 지속적인 임금 상승, 각국의 리쇼어링 확대, 미중 통상분쟁에 따른 세계교역 비용 증가, 질병·자연재해로 인한 공급망 위기관리 필요성 대두, GVC 내에서 무형자산 보호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GVC 재편 움직임 확대



    □ 최근 통상환경 변화 및 GVC 재편 양상


    ◦ 최근 글로벌 통상환경은 미중 통상분쟁 기조 지속, 북미지역 공급망 재편 목적의 USMCA 발효, CPTPP·RCEP 등 아태지역의 경제블록 형성, 양자 FTA 체결 확대 추세로 요약


    ◦ 코로나19로 공급망 단절을 경험한 각국은 위기관리 능력과 복원력을 갖춘 공급망 확보 전략으로 전환
    - 안정성·위기 대응 중심의 GVC, USMCA·CPTPP 등으로 지역적 분화, 고부가가치·친환경 중심의 새로운 GVC 체제로 재편되고 있는 양상


    ◦ 글로벌 기업의 GVC 재편 사례
    - 탈중국 사례


    글로벌 기업의 GVC 재편 사례

    기업명

    이전 경로

    세부 내용

    애플

    중국 → 베트남·인도

      · 中 생산 에어팟 물량의 30%를 베트남에서 생산
      · 中 생산 아이폰 물량의 20%를 인도 생산 계획

    구글

    중국 → 베트남·태국

      · 베트남에서 스마트폰 픽셀4a 생산, 픽셀5 생산 계획
      · 태국에서 음성인식 인공지능 스피커 생산 예정

    마이크로소프트

    중국 → 베트남

      · ’20년 내 노트북 및 태블릿PC 생산 예정

    샤프

    중국 → 베트남·태국

      · 차량용 LCD 생산 중국공장의 베트남 이전
      · 美 수출용 복합기 생산 중국공장의 태국 이전 결정

    쿄세라

    중국 → 베트남

      · 美 수출용 복사기, 복합기의 베트남 생산 추진

    카시오

    중국 → 태국·일본

      · 손목시계, 전자악기 중국공장 이전 착수

    유니클로

    중국 → 베트남

      · 美 수출용 의류 생산 중국공장의 베트남 이전 계획

    TSMC

    중국 → 미국

      · 美 애리조나주에 대규모 반도체 생산공장 건설 예정



    - 리쇼어링 사례


    리쇼어링 사례

    기업명

    이전 경로

    세부 내용

    아디다스

    중국·베트남 → 독일

      · 독일 내 로봇이 생산하는 스피드팩토리 설립
      · 인건비 및 운송시간 절감

    쿠스미

    중국·모로코 → 프랑스

      · 원가 절감을 위해 본국으로 이전
      · 생산공정효율화로비용절감, 배송지연,·재고문제해결

    포드

    멕시코 → 미국

      · 미국 내 자율주행차및전기자동차공장설립 계획 발표

    캐터필러

    일본 → 미국

      · 굴착기, 트랙터 제조라인을 텍사스·조지아주로 이전

    애플

    중국 → 미국

      · 中 생산시설을 미국으로 이전(총 1억 달러 투자)

    아이리스오야마

    중국 → 일본

      · 中 생산 마스크 공장을 일본으로 이전

    JDI

    중국 → 일본

      · 中 생산 차량용 디스플레이 일부를 일본 이전 계획

    도요타

    미국·캐나다 → 일본

      · 美 생산 캠리, 캐나다 생산 렉서스 RX 일본에서 생산


    - 제3국 이전 및 중국 잔류 사례


    제3국 이전 및 중국 잔류 사례

    기업명

    이전 경로

    세부 내용

    파나소닉

    태국 → 베트남

      · 가전제품 생산 태국공장을 시장 수요가 높은 베트남으로 이전 계획

    에코

    중국 생산 유지

      · 팩토리 2025로 덴마크 내에서 생산하고 있으나 기존 중국공장에서의 생산도 유지



    □ 향후 GVC 재편 전망


    ◦ (지역화 및 자국화) 북미, EU, 아시아 태평양 지역, 중국을 중심으로 지역화되고 필수·전략 산업의 생산 공급망을 자국 내 구축하는 방향으로 전환


    ◦ (서비스화 및 고도화)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서비스 분야로 전환되고, 첨단기술과 기존 전통산업이 융합되는 미래산업 GVC로 재편


    ◦ (위기 대응력 제고) 외부 충격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대체 생산망과 효율적 재고관리 시스템 구축으로 안정수급이 가능한 GVC 형성


    □ 결론 및 시사점


    ◦ 새롭게 재편되는 GVC 체제에 대응하기 위해 우리 기업은 GVC 재편 양상을 주시하며 대응전략 수립 필요
    - 지역화되는 GVC에 진입, 미래산업형 핵심기술 개발로 고부가가치 GVC 진입, 위기 대응을 위한 재고 확보·관리 능력 제고, 우리나라의 FTA 네트워크를 활용한 GVC 진입전략 마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