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비즈니스를 위한 | 경제외교활용포털

서비스 이용을 위해
로그인 해주세요.

해외시장정보

협력대상국 시장정보

정상외교에 따른 현지 동향 및 투자환경 분석 자료를 제공합니다.
우리 중소기업의 해외진출에 도움이 될만한 최신 해외시장 동향 관련 정보를 모았습니다. 국별·분야별 검색으로 원하는 자료를 쉽게 찾아 볼 수 있습니다.

협력대상국 시장정보 제목, 관련국가,발간기관, 발간일, 분야, 본문내용 항목별 순서대로 안내하는 표입니다.
키르기즈공화국과 타지키스탄 ‘국가발전전략’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관련국가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발간기관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발간일 2019-07-11
분야 산업·통상 PDF 다운로드
PDF 보러가기



  • 차 례


    1. 서론
    2. 「2018~2040 키르기즈공화국 발전전략」의 주요 내용
    3. 「2030 타지키스탄 국가발전전략」의 주요 내용
    4. 시사점


    주요 내용


    키르기즈공화국과 타지키스탄은 「2018~2040 키르기즈공화국 국가발전전략」과 「2030 타지키스탄 국가발전전략」을 채택해 사회·복지 및 경제 분야의 중장기 정책을 수립·추진하고 있음


    - 「2018~2040 키르기즈공화국 국가발전전략」은 기존의 「2013~2017 키르기즈공화국 지속발전전략」과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2040년까지 장기목표와 2023년까지 중장기 과제로 분류되어 있음


    - 「2030 타지키스탄 국가발전전략」은 2015년 이후 타지키스탄 정부의 국가발전 목표와 분야별 세부과제를 포함하고 있음


    키르기즈공화국과 타지키스탄은 과거 실크로드 지역에 위치한 지리적 이점과 풍부한 천연자원으로 성장잠재력을 보유한 국가지만, 높은 비관세 장벽, 투자자 보호장치 미비, 비효율적 행정 등 경제협력에 있어 어려움이 상존하고 있음


    - 양국은 세계은행 추산 2017년 기준 국내총생산(GDP) 규모가 75억 6,000만 달러와 71억 4,000만 달러로 세계 140위와 142위 국가이며, 중앙아시아 국가 중 최빈국에 속함.


    - 키르기즈공화국은 1991년 독립 이후 중앙아시아 국가 중 비교적 개방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는 반면, 타지키스탄은 1994년부터 에모말리 라흐몬 대통령의 독제체제가 유지 중이며, 폐쇄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음


    - 키르기즈공화국과 타지키스탄 정부는 외국인투자자 보호장치 강화, 사업환경 개선, 행정 간소화, 공무원 부정부패 해소 등의 노력을 통해 대외경제 여건을 개선하는 것이 핵심 과제임


     한국정부는 신북방경제정책의 외연을 확대하기 위해 키르기즈공화국과 타지키스탄 정부의 대(對)한국 협력 수요를 반영한 협력사업을 발굴할 필요가 있음


    - 한국은 키르기즈공화국 정부가 지원하는 △봉제 산업 △농업 △IT 등의 분야에서 경제협력을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한국은 타지키스탄과 △에너지 △농업 △교통·물류 등의 분야에서 신규 사업을 발굴하고, 한국의 경제발전 경험을 공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 KIEP 세계경제 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