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자료명

한국 기업의 신북방지역 협력에 관한 인식 조사 결과 보고서

관련국가 러시아, 몰도바, 몽골, 벨라루스,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우즈베키스탄, 우크라이나, 카자흐스탄, 터키, 투르크메니스탄, 키르기스스탄 분야 산업·통상
발간기관 KOTRA KIET 발간일 2019-02-01




목 차


제1장 서론

제 1 절 조사의 배경 및 필요성
제 2 절 조사의 범위


제2장 설문조사

제 1 절 조사 개요
제 2 절 응답자 특성
제 3 절 조사 결과
제 4 절 설문조사 결과 정리


제3장 시사점 및 정책 제안



서 론


조사의 배경 및 필요성


G2 의 교역리스크와 신보호무역주의 완화를 위해 유라시아·ASEAN·인도 등과의 새로운 산업·통상 기반 구축을 통한 우리나라 경제영토 확대 추진


우리 경제의 높은 무역의존도(‘16년 GDP 대비 63.9%)와 미·중 수출 편중으로 인해 이들 국가의 정치· 경제적 여건 변화와 리스크에 매우 취약
* G2 수출 비중(%) : (’14) 37.6 → (’15) 39.3 → (’16) 38.5 → (’17) 36.8


미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자국의 사양산업과 일자리 보호를 위한 신보호 무역 주의가 G2 이외의 지역으로 확산


* 비관세조치(무역상기술장벽, 동식물위생검역조치, 무역구제조치 등)를 활용한 무역장벽이 선진국에서 개도국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17년 3,000건 이상을 기록
** 비관세조치(WTO DB): (’00) 1,449건 → (’05) 1,758건 → (’10) 2,805건 → (’15)2,849건


신정부 핵심 경제협력 비전 중 신북방정책을 뒷받침하고, 향후 신북방지역 국가와 협력을 확대하고자 하거나 진출하고자 할 경우 정부가 협력 여건을 성 조성 할 수 있도록 참고자료로 활용


러시아·중앙아시아 등 북방지역 과의 새로운 산업협력을 위한 신남·북방정책 방향 제시를 위한 근거 자료


지역에 대한 를 분석자료를 제공하여 현지시장 진출 산업 및 기업의 투자비용과 시간을 절약


 


문서첨부
댓글 운영정책
  • 댓글입력
댓글목록 0개
  •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