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자료명

러시아 혁신성장정책의 평가와 협력 시사점

관련국가 러시아 분야 산업·통상
발간기관 KOTRA 발간일 2019-06-05



목    차


Ⅰ. 연구배경 및 목적

1. 연구배경
2. 연구목적과 추진방향


Ⅱ. 러시아 혁신성장정책과 추진방향

1. 러시아 혁신성장정책의 경과
2. 러시아 혁신성장정책의 지향점


Ⅲ. 러시아 혁신성장 정책의 평가

1. 러시아 혁신성장 역량평가와 의미
2. 러시아 혁신성장 실행평가와 의미


Ⅳ. 협력 시사점

1. 혁신역량 분야
2. 혁신실행 분야


참고문헌

요    약

 

러시아 정부의 혁신성장 정책의 경과와 함의


□ 러시아는 특구지정이나 정부주도의 혁신안 마련을 통해 혁신산업 육성을 위해 노력해왔으며 푸틴 4기 정부 출범이후 육성노력 가속화
     * 2005년 신경제특구 제정 및 2009년 5대 혁신산업 분야 육성안 마련이후 푸틴 3기 정부는

       디지털경제화를 적극적으로 추진

     * 2018년 5월 푸틴 4기 정부 국정과제에 디지털경제화와 기술혁신 등 제시


□ 혁신성장 정책을 통해 신성장 부문에 대한 투자유입을 추진하는 동시에 정부재원의 직접적인 투여를 통해 산업에서 정부 주도권 지속 노력


혁신성장정책의 부문별 평가
     * Insead 대학의 ‘혁신효과성지수(Innovation Efficacy Index)’ 지표 활용


□ 혁신역량(capacity)에서 접근성과 생산성의 개선이 두드러졌으며 혁신 인프라와 지적재산권보호, 과학연구기관의 질 향상을 의미


□ 혁신실행(performance) 평가에서 접근성, 생산성, 활용성의 3개 지표의 개선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음
     * 접근성은 가치사슬 범위의 개선을, 생산성은 혁신기술 생산을 위한 고등교육기관 진학비중을,

       활용성은 전체 수출에서 상품수출비중의 증가를 의미


분야별 협력 시사점


□ 러시아의 개선 필요점을 보완하는 협력분야로는 ▲러시아 혁신스타트업 활성화(혁신역량 활용 부문), ▲클러스터 조성·투자확대(혁신 실행 기저·확산 부문)의 두 가지 방향성


□ 러시아의 개선이 이루어진 분야에서 한국과 호혜적 협력이 가능한 분야로는 ▲러시아 과학연구기관협력(혁신 역량 접근·생산 부문), ▲가치사슬 연계협력(혁신 실행 접근부문)으로 볼 수 있음


 

문서첨부
댓글 운영정책
  • 댓글입력
댓글목록 0개
  •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