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자료명

사우디 IKTVA, UAE In-Country Value 제도 도입현황과 시사점

관련국가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분야 자원·에너지
발간기관 KOTRA 발간일 2018-07-25



목       차


요 약


Ⅰ. 현지화 정책 도입 현황과 내용 
    1. 사우디아라비아 : In-Kingdom Total Value Add
     2. 아랍에미리트 : In-Country Value


Ⅱ. 현지 진출기업 반응
     1. 사우디아라비아
     2. 아랍에미리트


Ⅲ. 시사점 및 우리기업 대응전략
     1. 사우디 IKTVA와 아랍에미리트 ICV 제도 비교
     2. 시사점
     3. 우리 기업 대응전략


#. 참고자료(설문조사 결과) 
     1. 사우디아라비아
     2. 아랍에미리트


요      


현지화 정책 도입 현황과 내용




사우디 IKTVA

(In-Kingdom Total Value Add)



아랍에미리트 ICV

(In-Country Value)


주관


 국영 석유사 ARAMCO



국영 석유사 ADNOC


배경


사우디 비전 2030 추진- 제조업 육성을 통한 재정수입원 다양화,  석유부문 의존도 완화



 아부다비 경제비전 2030 추진

- 에너지기반 제조업 육성, 산업 다각화를 통한 지속가능경제 건설


목표


- 2021년까지 자국산 재화·서비스 구매 70% 달성
- 2021년까지 에너지 재화·서비스 수출 30% 달성
- 2020년까지 자국민 채용 70%, 50만명 고용창출



- 국내 산업 육성을 통한 산업다각화
- 자국민 고용 확대 및 노동력 개발
- 오일·가스 산업 공급망 등 핵심 역량의 현지화




산식

(가중치)


현지 구매·하도급(25%), 현지인 고용(25%),
현지인 교육·개발(25%), 현지 R&D(25%)




- 제조사 : 현지생산(50%)
- 서비스공급사 : 현지 재화 조달(30%), 현지하청(20%)
- 공통 : 투자(15%), 현지인고용(25%), 외국인고용(10%)


 

현지 진출기업 반응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품질저하
우려


비숙련 현지인 채용에 따른 품질저하를 막기위해 현지인 채용 요건 완화 필요



현지업체· 현지인의자기개발이지연되고, 부실하지만 현지화비율은높은기업의득세로품질저하예상


목표달성
애로


현지인의 낮은 노동생산성과 현지 제조업 기반 부족에 따른 현지조달 애로에도 불구, ARAMCO요구 IKTVA 비율이 지나치게 높음



 ICV 점수에 근거하여 우선협상권을 부여하기보다 ICV점수는 통과-탈락 기준으로만 활용하고, 일정 점수이상일경우최저가낙찰제유지요망


현지 합작
필요성


현지 업체와 합작투자를 통한 현지화 확대 필요




현지업체와의파트너링이필요한바, ADNOC 주관의 유망현지업체정보제공, 현지인취업매칭지원희망


기타


IKTVA에 앞서 투명한 과세, 명확한 규정, 시스템 정비 등을 통해 외국인 투자 유치 필요



ICV 점수를 과거 실적에만 근거하지 말고, 향후 ICV 개선 계획도 함께 평가 요망


 

시사점
사우디, UAE 석유·가스 프로젝트 수주시 ‘현지화’가 핵심경쟁력으로 부상


사우디 IKTVA와 UAE ICV의 비교를 통한 차별화된 진출전략 수립 필요
- (공통점) 국부의 원천인 오일·가스 부문의 전략적 육성과 현지화 확대
- (차이점) ① 사우디 : 총인구 3천3백만명 중 자국민이 63%로 자국민 채용이 중요 ② UAE : 총인구의 12%만이 자국민, 국내 산업육성을 통한 산업다각화 중요


사우디, UAE 모두 석유분야 투자 확대 예정*으로 진출기회로 활용 요망
* 사우디 ARAMCO는 2018년부터 10년간 4,140억 달러 투자, UAE ADNOC은 5년간 1,090억 투자 계획


우리기업 대응전략
(단기) 현지화 산식에 대한 이해, 재무시스템 개선, 현지화 증빙 확보
- 현지화 비율 산정의 기초자료가 되는 재무제표 작성을 위해 재무시스템 개선이 시급
- UAE의 경우 되도록 많은 벤더, 하도급사로부터 ICV 증명서를 확보하는 것이 관건


(중장기) 현지 기업과의 파트너링, 현지화 확대
- 경쟁력 있는 현지 업체를 발굴, 조달과 하도급을 추진하여 현지화 개선 가능
- 현지 생산시설, 엔지니어링 센터 설립 등을 통해 현지화 확대 모색


(중장기) 오일·가스 외 일반 상업 건설 등으로의 사업분야 다변화

 

문서첨부
댓글 운영정책
  • 댓글입력
댓글목록 0개
  •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