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제목

인도 첸나이에 ‘CEPA 활용지원센터’ 개소

관련국가 인도 관련기관 KOTRA
분야 산업·통상
개최일자 2019-09-05 등록일자 2019-09-09
담당자
이정선 차장(KOTRA / 통상지원팀)  
김태룡 과장(KOTRA / 첸나이무역관)  


인도 첸나이에 ‘CEPA 활용지원센터’ 문 열었다

KOTRA 무역관 내 설치, 관세·통관절차 컨설팅으로 애로 해소

신남방정책 ‘파트너’ 인도 진출 위해 경제동반자협정 활용 늘려


KOTRA(사장 권평오)가 산업통상자원부와 공동으로 5일 인도 첸나이에 ‘CEPA 활용지원센터’를 개소했다. 지난해 5월 뉴델리에 CEPA 활용지원센터가 처음 문을 연 이후 인도 내에서는 두 번째다.



CEPA는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을 의미하며, 경제관계 전반에서 양국간 협력을 강조하기 위해 FTA 대신 사용하고 있다. KOTRA는 산업부와 함께 인도 첸나이를 포함해 7개국 15개 해외무역관에 ‘FTA 해외활용지원센터’를 설치·운영하고 있다.


개소식에는 김형태 주첸나이 대한민국 총영사, 김형주 산업부 국내정책관을 비롯해 현지진출 한국 기업인 및 인도 바이어 100여명이 참석했다. 인도 측에서도 타밀나두주(州) 중소기업부 장관 벤자민(P. Benjamin), 인도 관세청 첸나이지청장 쿠마르(A. Kumar) 등 고위급 관계자가 참석했다. ‘한-인도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을 활용해 양국이 비즈니스를 확대하고 투자를 활성화하자는 의지를 나타낸 셈이다.


지난해 기준, 인도는 우리의 11대 교역국이자 7대 수출 대상국으로 매년 교역규모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2009년 양국 교역액은 121억 5천만 달러였으나, 한-인도 CEPA가 발효되면서 한국의 합성수지, 반도체, 철강판 등 품목 수출이 급증했다. 2018년 양국 교역액은 역대 최대인 215억 달러를 기록했다.


인도 수출 증가는 자연스레 현지 투자진출로 이어졌다. 지난해 한국의 인도 투자액은 역대 최대치인 10억 5천만 달러를 기록했다. 2018년 말에 집계된 인도 진출 우리 기업의 수는 약 1,100개다.


인도 남부에 위치한 첸나이는 현지 진출 한국기업의 36.5%가 모여있을 만큼 비즈니스가 매우 활발하다. 현대·기아자동차, 삼성전자, 두산밥캣, 두산중공업, 롯데제과 등 대기업을 비롯해 동반진출한 협력사도 다수여서 한국으로 오가는 수출입 물동량이 많다.


‘첸나이 CEPA활용지원센터’에서는 현지 한국기업과 인도 바이어를 대상으로 관세, 원산지증명서 발급, 통관절차 등 CEPA 활용법을 컨설팅하고 수출입 애로 해소에 나선다. 우선 산업·기능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위원단을 위촉해 운영할 계획이다.


개소식과 연계해 열린 ‘한-인도 CEPA 활용 설명회’에서는 우리 산업부와 인도 타밀나두 주정부 중소기업부 및 관세청의 발표가 이어졌다. 연사들은 CEPA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 양국 기업이 협정을 적극 이용해줄 것을 독려했다. 특히 타밀나두 주정부에서는 진출기업이 누릴 수 있는 보조금과 지원제도를 소개해 눈길을 끌었다.

김상묵 KOTRA 경제통상협력본부장은 “신남방정책으로 한-인도의 협력 분위기가 여느 때보다 고조되었다”며 “CEPA를 통한 양국 기업의 성공사례가 확산될 수 있도록 첸나이 활용지원센터에서부터 적극 지원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첸나이 CEPA 활용지원센터 개소식 및 설명회


행사개요

ㅇ 목적 : 한-인도 CEPA 활용도 제고를 위해 수출유망시장인 인도 첸나이에 CEPA 활용지원센터를 개소하고, 설명회를 개최

ㅇ 일시/장소 : 2019.9.5(목) 10:00~13:00 / 첸나이 타지 코로만델 호텔

ㅇ 주최/주관 : 산업부/KOTRA 첸나이무역관

ㅇ 참석자 : 바이어 및 현지진출기업 100개사

- (한국측) 산업부(통상국내정책관), 주 첸나이 총영사관(총영사), KOTRA 첸나이 무역관, 현지진출 우리기업 등

- (인도측) 타밀나두 중소기업부 장관, 산업부 실장, 관세청, 현지 유력 바이어 등


행사내용

① (세션1) 첸나이 CEPA 활용지원센터 개소식
ㅇ (내용) 개회사, 축사, CEPA 활용지원센터 현판전달식, 자문단위촉식 등


② (세션2) CEPA 활용촉진을 위한 설명회

ㅇ (참가) 현지 진출 한국기업 및 인도 바이어 등 100여 명

ㅇ (발표) 한-인도 CEPA 성과 및 지원정책(산업통상자원부), 타밀나두 중소기업 지원정책(타밀나두 중소기업부), 인도 관세청 최신 동향(인도 관세청), 물류ㆍ통관 실무 및 주의사항 등


③ (오찬간담회) 현지진출 기업 오찬간담회

ㅇ (일시 및 장소) 2019.9.5(목) 13:00~15:00, 첸나이 타지 코로만델 호텔
ㅇ (참가) 산업부 통상국내정책관, KOTRA 서남아지역본부장, 통상지원팀장, 진출기업 7개사 등
ㅇ (내용) 한-인도 CEPA 활용도 제고 방안 논의 등



FTA 해외활용지원센터 운영 개요


운영목적

FTA* 체결국의 진출기업 및 현지바이어를 대상으로 FTA활용 홍보 및 상담·컨설팅 제공을 통한 FTA활용도 제고
* 인도의 경우 CEPA(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


운영지역 : 총 7개국 15개 센터

(중국) 베이징, 상하이, 칭다오, 청두, 광저우, 톈진, 다롄
(베트남) 하노이, 호치민
(콜롬비아) 보고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인도) 뉴델리, 첸나이 (’19.9.5)
(태국) 방콕
(필리핀) 마닐라

주요업무 : FTA 활용 홍보 및 상담, 기업애로 발굴 및 해소 지원 등

(상담) 바이어 및 현지 진출 기업 대상 상시상담, 이동상담, 주요전시회 홍보부스․헬프데스크 상담, 자문단 전문상담 등

(설명회) 마케팅사업 연계 대규모 설명회, 세미나․간담회 연계 미니설명회, 정부․국내 유관기관 합동 이동설명회 등

(자문단운영) 기능별(통관‧법률‧회계 등), 업종별(소비재, 농식품 등)
현지 자문단을 통한 전문 컨설팅

(조사·홍보) 비관세장벽 애로지원, 활용가이드 발간, 활용사례 조사 등



한-인도 수출입 동향


(교역) 양국 무역규모는 한-인도 CEPA(2010년 1월 발효)를 기점으로 인도 루피화 약세로 인한 보합세(2012-16년)를 경과한 이후 꾸준한 증가세

- 2018년 대인도 수출은 3.7% 증가, 수입은 18.9% 증가하며 교역액 215억 달러 기록
* 양국 교역액 : 163억 달러(’15) → 158억 달러(’16) → 200억 달러(’17) → 215억 달러(’18)

- 2018년 기준, 인도는 우리나라 교역 11위, 수출 7위, 수입 20위 대상국


(무역수지) 인도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무역흑자를 기록

- 2017년 역대 최대(101억 달러)를 기록 후 2018년 기준 소폭 감소: 약 97억 달러 수준


CEPA 발효 이후 한·인도 연도별 교역 현황

(단위 : 백만 달러, 전년 동기대비 %)

구 분

’10

’11

’12

’13

’14

’15

’16

’17

’18


수출

금액

11,435

12,654

11,922

11,376

12,782

12,030

11,596

15,056

15,606

증가율

42.7

10.7

-5.8

-4.6

12.4

-5.9

-3.6

29.8

3.7


수입

금액

5,674

7,894

6,921

6,180

5,275

4,241

4,189

4,948

5,885

증가율

37.0

39.1

-12.3

-10.7

-14.7

-19.6

-1.2

18.1

18.9

교역액

17,109

20,548

18,843

17,556

18,057

16,271

15,785

20,004

21,491

무역수지

5,760

4,761

5,001

5,196

7,508

7,789

7,407

10,108

9,721

* 자료원 : 우리나라 관세청


(주요품목) 對인도 수출품은 반도체, 석유제품, 자동차, 동제품, 건설광산기계 등이며 수입품은 반도체, 곡실류, 산업용 전기기기, 동제품, 수동부품 등임.


한·인도 주요 수출입 품목

(단위 : 억 달러, 전년 동기대비 %)

품 목

수 출

품 목

수 입

2017

2018

2017

2018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율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총계

150.6

29.8

156.1

3.7

총계

49.5

18.1

59.8

18.9

철강판

17.6

35.6

21.7

23.4

석유제품

10.5

6.7

12.8

21.9

합성수지

11.1

22.9

14.3

29.3

알루미늄

8.5

68.1

9.0

6.5

반도체

6.2

57.2

12.8

105.4

합금철선철

2.7

50.5

3.4

24.7

자동차부품

9.6

1.0

9.5

-1.8

정밀화학원료

2.4

12.3

2.8

18.3

석유제품

5.7

26.9

7.2

26.8

농약및의약품

1.9

14.2

2.6

37.7

* 자료원 : 한국무역협회(MTI 3단위 기준)


(현지진출 우리기업 수) 1996~97년 LG전자,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진출로 시작되었으며, 2010년 전후 인도의 경제성장과 CEPA발효 이후 진출 확대
- 인도가 중국의 대안으로 떠오르면서, 기아자동차가 인도내 현대기아차 제3공장을 건설 중이며, 삼성전자도 노이다 공장 증설완료(2018.7월)


(단위 : 개사, 1980~2018 누계기준)

순위

국 가

현지진출기업 수

순위

국 가

현지진출기업 수

1

중 국

27,335

6

인도네시아

2,172

2

미 국

14,700

7

필리핀

1,703

3

베트남

6,259

8

인 도

1,095

4

일 본

3,681

9

태 국

1,086

5

홍 콩

2,346

10

싱가포르

1,072

* 자료원 : 한국수출입은행


보도자료
관련정보
댓글 운영정책
  • 댓글입력
댓글목록 0개
  • 댓글이 없습니다.
국별수출입, 통계조회 수출입무역통계 관세율조회 세계HS정보시스템 해외직접투자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