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비즈니스를 위한 | 경제외교활용포털

서비스 이용을 위해
로그인 해주세요.

경제외교 핵심성과

합의내용

정상회담 계기에 체결한 경제분야 합의 내용입니다.

합의내용 합의기관(국내), 합의기관(해외), 관련국사, 분야, 합의일자, 장소, 담당자 항목별 순서대로 안내하는 표입니다.
중국 순방 계기에 체결한 합의내용 7건
합의기관(국내) 산업통상자원부 외 합의기관(해외) 상무부 외 관련국가
중국 중국
분야 농림축산식품, 무역·투자, 보건·의료, 환경, 자원·에너지 합의일자 2017-12-14 장소 중국, 베이징
담당자
포털관리자  



한국과 중국은 양국 정상이 참가한 가운데 7개의 MOU(양해각서)를 맺었습니다.


① 한·중 FTA 서비스·투자 후속협상 양해각서 (산업통상자원부장관 – 중국 상무부장)

기대효과: 중국 서비스시장 개방을 통해 우리 기업의 對中 서비스시장 진출을 촉진하고, 우리 투자기업의 실질적 보호 강화 도모


② 상호 교류 및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 (2018 평창 동계올림픽대회 및 동계패럴림픽대회 조직위원회 - 중국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대회 및 동계 패럴림픽대회 조직위원회)

기대효과: 한·중 동계올림픽 협력을 통해 한·중 협력을 강화하고 MOU 체결 공개를 통해 중국의 티켓 구매를 유도


③ 2018-2022 환경협력계획 (환경부장관 – 중국 환경보호부장)

기대효과: 미세먼지 대응 등 양국 환경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체계적이고 전략적인 협력계획 공동 수립을 추진하고 상시 협력채널 마련


④ 보건의료협력 양해각서 갱신 (보건복지부장관 – 중국 국가위생화계획생육위원회 주임)

기대효과: 양국 간 협력분야를 보건의료 전반으로 확대하고, 관련 정책 경험 공유를 통해 관련 협력 추진 기반 강화


⑤ 친환경-생태산업개발분야 전략적 협력 양해각서 (산업통상자원부장관 – 중국 공업신식화부장)

기대효과: 중국의 청정 생산기술, 에너지효율‧절약 기술 시장에 우리기업 수출‧진출 지원, 관련분야에서 양국 기업의 해외 진출 기회 창출


⑥ 에너지협력에 관한 양해각서 (산업통상자원부장관 – 중국 국가에너지국장)

기대효과: 한·중 간 에너지분야 정부 간 협력채널 최초 신설, 신북방·남방정책–일대일로 구상 간 연계 차원에서 동북아 슈퍼그리드 등 동북아 에너지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모멘텀 조성


⑦ 동물위생 및 검역협력에 관한 양해각서 (농림축산식품부장관 – 중국 농업부장)

기대효과: 한·중 간 AI, 구제역 등 초국경적 동물 질병 공동 대응을 포함한 동물위생 및 검역분야에 있어 포괄적 협력을 위한 협정서 체결 동력 확보


- 청와대

 

  • 관련정보 안내 입니다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