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제목

[기고] 한·몽골 지속적인 경협 프레임 구축해야

관련국가 몽골
보도일자 2016-07-18 언론사
Weekly 공감
담당자
포털관리자(KOTRA / 정상외교경제활용지원센터) T: 02-3460-7370  E: leesh0102@kotra.or.kr


|기고|박지원 KOTRA 글로벌 전략지원단 전문위원


한·몽골 지속적인 경협 프레임 구축해야

 

 

박근혜 대통령의 몽골 방문을 계기로 성장 잠재력이 높은 몽골 시장에
국내 기업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사진은 몽골의 수도 울란바토르 전경.

 

 박근혜 대통령이 7월 14일 제11차 아시아유럽 정상회의(ASEM) 참석(7월 15~16일)을 위해 몽골을 방문했다. 이어 17일부터 18일까지는 몽골 공식 방문 일정을 소화했다. 박 대통령의 이번 몽골 방문은 한국 대통령으로서는 5년 만으로, 지난 5월 차히아 엘벡도르지 몽골 대통령의 한국 공식 방문에 대한 답방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이번 정상회의에서 양국 정상은 에너지신산업 분야, 철도·도로 등의 인프라 개발 및 의료·보건 등 양자 간 신규 협력사업 발굴과 투자 확대방안 등을 논의했다. 아울러 최근 북한의 미사일 도발과 핵개발 등 한반도 주변 정세에 대한 의견도 교환했다.


양국은 지난 1990년 3월 국교 수립 이래 지속적으로 협력관계를 강화해왔다. 1999년 21세기 상호 보완적 협력관계에서 2006년 선린우호협력 동반자 관계, 그리고 2011년에는 포괄적 동반자 관계로 양국 간의 외교관계가 격상돼왔다. 특히 몽골은 외교·안보 측면에서 우리나라의 우방 역할을 자처해왔다. 엘벡도르지 몽골 대통령은 2013년 평양 방문 시 김일성대 강연에서 “어떤 독재도 영원할 수 없다”며 북한 체제를 비판했으며, 지난 5월 한국 방문 시 정상회담에서는 한반도 비핵화를 지지하면서 북한의 유엔 안보리 결의 이행을 압박하는 발언을 하기도 했다.


한때 북한과 같은 사회주의 체제를 유지했던 몽골이 체제 전환 이후 한국과의 협력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우방 역할을 하는 이유는 한국의 개발 경험과 기술, 자본이 몽골의 풍부한 천연자원 개발 잠재력과 결합해 몽골의 경제성장과 발전에 더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외교·안보 우방의 역할 자처
정치·경제 부문에서 주요 협력 파트너 심화


2015년 기준으로 한국은 몽골에 제4위의 교역 대상국이자 주요 투자국이며 몽골 인구(306만 명)의 약 1%가 한국에서 일하고 있는 등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도 2013년 몽골 수도인 울란바토르에 무역관을 개설한 이래 양국의 무
역·투자 활동 증진에 기여하고 있다. 이처럼 양국 간 관계는 정치·경제 부문에서 주요 협력 파트너로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을 반영하듯 몽골인들이 한국을 바라보는 시각은 우리가 이미 인지하고 있듯이 매우 친밀한 편이다. 몽골은 한국을 ‘무지개의 나라(솔롱고스, Solongos), 형제의 나라, 어머니의 나라’ 등으로 부르면서 다른 국가와는 달리 친근한 관계로 인식하고 있다. 몽골에서는 이미 한국의 드라마와 K-팝이 인기가 높고, 현지 한국어 강좌에 젊은이들이 줄을 서고 있다는 소식이다. 우리나라에서도 몽골은 매우 가까운 국가로 인식되고 있다. 우리와 외모가 비슷한 몽골인들을 보면서 타국에 사는 형제쯤으로 생각하기도 한다.


양국 간의 관계는 역사적으로도 그 뿌리가 깊다. 우리가 잘 알고 있듯이 고려시대 ‘몽고풍(蒙古風)’이 일어나면서 몽골학이 성행했고, 몽골에서는 ‘고려양(高麗樣)’이 생겨나 고려식 문화가 유행하기도 했다. 얼마 전 고대 몽골의 알타이 고분에 우리나라의 고총고분(무덤)과 유사한 축조 기법이 사용됐다는 점이 발견되기도 했다. 이처럼 몽골은 한국과 인종적, 역사적, 언어적, 문화적 유사성이 높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은 체제 전환 이후의 어려운 시기에도 양국 관계가 흔들리지 않고 추진되는 힘이 되고 있으며, 현재의 양국 관계를 지탱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사실 수교 26년을 맞는 오늘날의 양국 관계가 그동안 외연적으로 큰 성장을 해온 것은 맞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여전히 개선해야 할 점들이 있다. 먼저 경제 협력의 관점에서 한국의 대(對)몽골 협력 전략 설정은 몽골의 경제적 가치를 재평가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돼야 할 것이다.   


몽골의 산업화 프로젝트 등 참여방안 모색
지속적이고 우호적인 협력 프레임 마련돼야

 

몽골에는 세계 최대 구리·금 광산으로 평가받고 있는 오유톨고이 광산이 있다. 각종 광물자원이 풍부하며, 러시아와 중국 사이에 위치한 물류·운송의 전략적 거점 국가로서의 중요성이 높다. 몽골 정부도 광산 개발에 대한 외국 기업의 투자를 적극적으로 유치하고 내륙 국가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전략으로 유라시아 지역의 ‘트랜싯(Transit)’ 국가로서 교통망 연계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한국의 대몽골 협력전략은 첫째, 이와 같은 몽골의 발전 방향과 밀접히 연관돼야 한다. 그동안 한국의 몽골에 대한 투자는 주로 건설, 서비스업, 요식업 중심으로 진행돼왔으며, 상대적으로 몽골 경제의 핵심적이고 잠재력이 큰 분야에 대한 협력은 미진했다. 따라서 양국 협력이 새로운 수준의 협력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한국 기업이 몽골 정부의 에너지·광물자원 개발, 철도·도로 등의 인프라 개발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이를 통해 우리 정부가 추진하는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의 에너지자원 개발과 네트워크 구축의 거점 국가로서 몽골과의 협력이 더 심화될 수 있다.


둘째, 제조업 발전 지원을 통해 자원 및 중국 수출 의존을 점진적으로 해소하려는 몽골 정부와의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 이러한 산업 다각화를 통한 지속가능한 성장엔진 마련은 몽골과 한국의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관계 구축을 위해 중요한 협력 기반이 될 수 있다. 한국이 가진 강점인 제조업과 정보통신기술(ICT) 등을 활용할 수 있도록 기술 기반의 제조업 협력을 확대하고, 한국 기업이 현지의 다양한 산업화 프로젝트와 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방안도 모색해야 한다.


나아가 경제 분야에서의 협력이 다시 사회·문화 분야로 환류돼 양국 국민의 관심이 일시적인 데 그치지 않고 지속적이고 우호적인 협력 프레임이 마련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와 같은 전략 도출은 양국이 서로 기대하는 바가 크고 향후 양국 관계 발전과 협력의 여지가 크다는 점을 방증한다.


정부는 최근 대통령의 정상회담을 기회로 기업들이 해외 진출시 비즈니스에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체계적인 지원 모델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간 대통령의 이란, 프랑스 등 순방을 통해 새로운 사업 기회를 발굴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등의 성과를 창출한 기업들도 많이 있다.


특히 이번 몽골 방문에도 100여 개의 우리 기업이 참여해 우리 기업인들의 몽골에 대한 기대가 어느 정도인지 짐작게 한다. 박 대통령의 이번 몽골 방문을 계기로 양국 간의 상호 내실 있는 협력관계가 마련되고 향후 실질적인 경제 협력의 기틀이 다져지기를 기대한다. 

     

댓글 운영정책
  • 댓글입력
댓글목록 0개
  •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