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제목

한·러 9-브릿지 사업 협의채널 본격 가동

관련국가 러시아
보도일자 2018-03-05 언론사
뉴스1
담당자
박용한 서기관(북방경제협력위원회 / 경제협력팀)  
박효민 사무관(북방경제협력위원회 / 외교협력팀)  

2018년 3월 5일 월요일

뉴스1


한·러 9-브릿지 사업 협의채널 본격 가동

작년 동방경제포럼에서 文대통령이 제안한 협력비전 구체화
한-러 협의회 및 한국 투자자의 날 행사 병행 개최

    

북방경제협력위원회(위원장: 송영길 의원)는 3.5(월) 러시아  블라디보스톡에서 송영길 위원장, 러시아 트루트네프 부총리, 갈루시카 극동개발부장관 등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제1차 한-러 협의회 및 제2차 한국 투자자의 날 행사를 개최하였다. 이날 한·러 협의회 개최를 계기로 양국간 9-브릿지 사업* 협의채널이 본격 가동하게 되었다.


* 동방경제포럼(’17.9.7)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제안한 조선, 항만, 북극항로, 가스, 철도, 전력, 일자리, 농업, 수산 등 9개 분야의 한․러 협력사업


작년 9월 블라디보스톡에서 개최된 동방경제포럼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9-브릿지 협력 사업을 러측에 제안한 바 있다. 북방경제협력위원회는 지난해부터 수차례 한-고위급 접촉과 실무회의를 통해 9-브릿지 사업의 추진방향을 모색해 왔으며, 양국간 9-브릿지 협력을 위한 협의채널 구축을 협의해 온 결과, 오늘 한-러 협의회가 출범하게 된 것이다. 


이번 행사에 우리나라는 송영길 위원장, 우윤근 주러 한국대사, 국내 22개 기업 대표단 등 80여 명이 참석하였고, 러시아는 트루트네프 부총리, 갈루시카 극동개발부장관을 비롯해서 정부 부처 관계자 및 기업 대표단이 참석하였다.


이번 제1차 한-러협의회에서는 한-러 양측은 공동성명서와 양해각서(MOU)에 서명함으로써 본격적인 협력 추진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한-러 양국은 공동성명서*와 양해각서**를 통해 9-브릿지 협력 사업 지원, 양국 협력 사업 점검과 신규 사업 발굴을 위한 분과회의 운영, 북방위원장과 트루트네프 부총리 주재로 정례 한-러 협의회(매년 2회) 개최 등에 합의하였다.


* (공동성명서) 송영길 위원장과 트루트네프 부총리가 서명
** (양해각서) 송영길 위원장과 갈루시카 극동개발부 장관이 서명


이와 함께 양국은 양측 기업들과 관계기관이 참여하는 가스·에너지/조선/보건 분야 ‘분과 협의회’를 개최하고 극동지역에 대한 한국 기업 진출과 상호간 투자 확대를 위한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논의하였다.


external_image

자료사진 - 북방경제협력위원회


한-러 양측은 제1차 한-러 협의회에 이어 제2차 한-러협의회는 금년 하반기 서울에서 개최하기로 하였다.


동 행사와 병행해, 우리나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와 러시아 극동투자수출청은 제2차 한국 투자자의 날을 공동 개최하고 러시아 트루트네프 부총리가 행사에 참석한 한국 기업의 애로사항을 청취하는 시간을 가졌다.


행사에 참석한 우리 기업 가운데 포스코 대우/세원마르스, 기드온 글로벌, KCC/계룡건설, 현대ENG 기업 대표는 트루트네프 부총리와 일대일 면담을 통해 사업 추진상 애로사항을 설명하고 러시아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하였다.


송영길 위원장은 “러시아 극동지역은 러시아 정부의 신동방정책에 따라 적극적으로 투자환경을 개선하고 있고, 동시에 우리 정부가 신북방정책을 중점 추진하면서 국내기업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면서 “9-브릿지 분야는 물론 보건·의료, ICT, 환경 등 경제협력 잠재력의 풍부한 새로운 분야도 포함해 우리 기업의 진출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송 위원장은 “극동지역은 한·중·러 3국의 협력사업을 바탕으로 북한의 협력을 이끌어 내고 동북아의 항구적인 평화정착에 기여할 수 있는 지정학적 핵심”이라며 극동의 중요성을 재차 강조했다. 


참고로 러시아 극동지역은 러시아 전체 면적의 35%(한반도의 28배)에 이르는 광대하고 풍부한 에너지, 광물, 수산 자원의 보고이나 잠재력에 비해 개발은 지체되어 인구는 ‘16년 현재 620만 명 정도에 불과한 수준이다.


* 우리나라의 ‘17년 극동지역 교역 규모는 72억불(수출 61억불, 수입 10억불)로 물류, 식품, 무역, 농업 분야에서 약 35개 우리 기업이 진출

 ** 우리나라의 극동지역 투자 규모는 전체 해외 투자 유입 규모의 1% 정도로 아직은 미미한 실정임

 

보도자료
댓글 운영정책
  • 댓글입력
댓글목록 0개
  •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