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제목

북유럽 핀란드와 스웨덴에 한국 스타트업의 등대가 세워진다

관련국가 핀란드 분야 정보통신, 무역·투자
담당자
박순빈 기자(Weekly 공감)  
등록일자 2019-07-15


핀란드 대학부터 지역까지 혁신 창업 생태계,

스웨덴 최대 15년 지원, 실패 땐 사회안전망


스타트업 강국에서 배운다
북유럽 핀란드와 스웨덴에 한국 스타트업의 등대가 세워진다. 문재인 대통령은 6월 9일부터 15일까지 북유럽 3국 순방 때 한·핀란드, 한·스웨덴 정상회담을 통해 코리아스타트업센터(KST) 설치 등을 위한 정부 간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MOU에 따라 정부는 내년 중 두 나라에 코리아스타트업센터를 설치하고 창업 생태계에 대한 정보 교류와 투자 지원, 스타트업 기업의 역량 강화를 위해 서로 협력하기로 했다.


코리아스타트업센터는 스타트업 육성의 선진 모범사례를 도입하고 국내 스타트업의 세계시장 진출을 꾀하자는 목적으로 민관이 공동 설립하는 기관이다. 투자유치 행사 등 다양한 네트워킹 프로그램을 위한 공유형 오피스에서 현지 스타트업과 투자자의 소통과 교류, 글로벌 대기업과 다양한 개방형 혁신 활동이 펼쳐질 것으로 정부는 기대한다.

공학-인문학-경영학-디자인 융합
핀란드와 스웨덴은 유럽 내에서도 스타트업 강국으로 꼽힌다. 핀란드는 이른바 ‘노키아 쇼크’로 일컬어지는 경제 위기를 2000년대 중반부터 체계적이고 과감한 창업 활성화 정책으로 극복한 나라다. 특정 대기업에 편중된 산업구조에서 벗어나기 위해 핀란드가 선택한 정책 방향은 크게 세 가지다. 산학 전반의 혁신 역량 배양과 이를 활용한 스타트업 육성, 노키아 등 기존 글로벌 대기업에서 실무 경험을 쌓은 우수 인력 재교육과 직무 전환, 미래 신산업에 대한 연구개발(R&D) 투자 확대와 규제 개혁 등이다.


혁신 창업 생태계의 조성은 대학에서부터 시작됐다. 핀란드는 2010년 헬싱키공과대학, 헬싱키경제대학, 헬싱키미술디자인대학 등 3개 국립대학을 통합해 창업 교육에 초점을 맞춘 알토대학을 설립했다. 전공 분야와 함께 다른 분야의 지식도 두루 갖춘 인재를 육성하고자 교육과정과 학제를 개편했다. 공학, 인문학, 경영학, 디자인 과목 등을 융합한 교육은 기업과 함께 현장에서 이뤄지기도 한다. 또 대학 안에 소규모 창업 지원센터를 설치하고, 학생들이 주도하는 창업 동아리도 만들어 청년 창업 문화를 꽃피웠다. 알토대학 외에 공학 교육을 담당하는 주요 도시의 32개 대학에도 비슷한 교과과정과 스타트업 관련 지원 기관이나 조직을 구축했다.

핀란드 정부는 직접적인 창업 자금 지원보다 대기업과 민간 벤처캐피털의 스타트업 투자 활성화를 유도하는 데 정책 역량을 집중했다. 또 대학과 연구기관, 대기업의 미활용 연구개발 성과가 벤처 창업 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게 지역별 산학연 클러스터(집적단지)의 협력기반 강화에 힘썼다. 모바일게임 ‘앵그리 버드’로 유명한 로비오(Rovio)가 바로 이번 배경에서 탄생했다. 한때 세계 1위를 자랑한 휴대전화 사업의 정리로 1만여 명의 인력 감축 요인이 발생한 노키아는 ‘노키아 브리지 인큐베이터’라는 프로젝트를 2011년부터 운영하며 퇴직 인력의 벤처 창업을 정부와 함께 지원했다. 이 결과 노키아에서 3년 동안 배출한 스타트업만 2000개를 넘었다.


스웨덴은 핀란드보다 더 창업 친화적인 나라다. 유럽 내 스타트업 허브 지위를 차지하기 위한 국가 간 경쟁에서는 가장 앞선다는 평가를 받는다. 제도적 여건, 기술 수준, 금융 시스템, 인적 자원, 정보통신(IT) 인프라 등 여러 면에서 유럽 내 최고 수준을 자랑한다. 만 64세 이하 성인 가운데 언제든 창업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중이 60%를 넘으며, 전체 등록 기업의 7% 이상이 창업한 지 3년이 지나지 않은 스타트업이다. 스웨덴은 2000년대 이후 자산가치 10억 달러 이상의 비상장 기업을 뜻하는 유니콘 배출 실적에서도 유럽 회원국 가운데 1위다.


초기부터 도약, 고성장까지 단계별 지원
스웨덴에는 시스타 과학도시, 웁살라 생명과학단지 등 세계적인 ‘스타트업 메카’로 발돋움한 곳이 여럿 있다. 정부가 인위적으로 육성한 게 아니라 지역 또는 특정 산업별 민간 주체들이 긴밀한 협업을 바탕으로 오랜 기간에 걸쳐 조성한 혁신 생태계다. 스웨덴 정부는 이런 생태계 내 구성 요소들 간 균형이 유지되도록 조정하는 구실에 치중한다. 개별 스타트업에 대해서는 최소 5년에서 길게는 15년까지 바라보고 지원이 이뤄진다.


스타트업 지원 전담기관인 스웨덴혁신청(VINNOVA)은 지원 대상을 선정하면 단순한 공간 제공이나 자금 지원 등에 머물지 않고 창업 초기 단계에서부터 도약, 고성장으로 이어지기까지 기업의 성장 단계별로 필요한 경영 전반의 자원을 체계적으로 지원한다. 지원 기관이 섣불리 사업의 실패나 성공을 단정 짓는 것은 금물이다. 스타트업에 대한 장기적 관점의 촘촘한 지원 시스템과 함께, 탄탄한 사회안전망도 창업 활성화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요소다.


스웨덴에서도 창업 기업은 실패할 확률이 높다. 창업 뒤 1년 이내 폐업하는 경우가 30% 안팎이다. 그러나 창업자가 사업을 접더라도 개인 파산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하는 사회안전망이 잘 구축돼 실패에 대한 두려움 없이 쉽게 창업, 재창업에 도전할 수 있다. 새로운 기술이나 아이디어로 창업하는 일은 위험이 뒤따르지만 그 위험을 국가와 사회 전체가 지는 구조가 스웨덴 혁신경제의 토대다.

스웨덴에서는 활발한 창업 문화와 그 결과물을 당면한 경제문제 해결의 수단으로 여기지 않는다. 총리실 산하 혁신위원회가 내건 스타트업 지원 정책의 목표는 ‘지속가능한 일자리 창출을 위해 벤처기업이 성장할 수 있고 기업들이 신제품 개발 투자를 확대할 수 있는 경제 환경 조성’이다.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로 유명한 스포티파이 창업자이며 최고경영자(CEO)인 대니얼 에크는 2017년 한 언론과 인터뷰에서 스타트업 허브의 필요성을 이렇게 말했다. “스웨덴 스타트업들은 단지 돈을 벌기 위한 목적보다 앞으로 후손들에게 물려줄 유산을 창출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정부가 더 크고 높은 비전을 갖고 스타트업을 지원해야 한다.”


* 모바일 자료사진 : 한·핀란드 스타트업 서밋 2019.6.11


▷ 위클리공감 박순빈 기자


댓글 운영정책
  • 댓글입력
댓글목록 0개
  • 댓글이 없습니다.
국별수출입, 통계조회 수출입무역통계 관세율조회 세계HS정보시스템 해외직접투자통계